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뒤죽박죽 백설공주 구출 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08호
- 백설공주는 침대에 누워 왕자를 기다린다. 이 때 백설공주의 안전을 책임질 보디가드가 바로 일곱난쟁이다. 하지만 문제가 생겼다. 일곱 명이어야 하는 난쟁이가 모두 여덟 명인 것이다. 앞에 있는 물건들이 일곱 난쟁이의 물건이라면 이런 물건이 없는 한 사람의 가짜 난쟁이를 찾아라! mission 4 누가 ... ...
- 미래형 '헬리플레인' 영국 판보로 에어쇼에 오다과학동아 l2006년 08호
- 이 무리의 자손이다 속이란 생물의 분류체계를 계, 문, 강, 목, 과, 속, 종으로 나눌 때 종 바로 위에 해당하는 단위다 모든 생물의 학명은 속과 종으로 이뤄진다 예를 들면 사람의 학명은 Homo sapiens라고 하는데 여기에서 Homo는 속에 해당하며 sapiens는 종이다 사람의 상위 분류체계는 사람과(Hominidae), ... ...
- 챌린저호 폭발 원인은 통계의 오판과학동아 l2006년 08호
- 즉 온도가 낮아지면 접합이상이 증가한다는 상관관계가 나타나는 것이다. 비극의 원인은 바로 여기 숨어있었다. 신용평가나 희귀병 진단에서도 나타나우주왕복선 챌린저호 참사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무엇일까. 성급함 때문에 충분히 보고 알 수 있는 사실마저 간과해버리고 말았다는 점이다. ... ...
- 개미는 무엇으로 사는가 - 앤트워크과학동아 l2006년 08호
- 땅 속에 묻혀 보이지 않던 개미의 생태를 쉽게 관찰할 수 있는 과학완구가 나왔다. 바로 2005년 타임(Time)지가 선정한 10대 장난감 중 하나인 앤트워크(AntWorks)다.앤트워크는 우주정거장 같이 중력이 약한 공간에서 개미가 어떻게 집을 짓고 사는지 알아보기 위한 NASA의 실험 과정에서 탄생했다. 보통 ... ...
- 오늘의 일기. 바람 습도에 따른 온도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07호
- 영하 10℃의 기온인데도 더 춥게 껴지는 날이 있고 덜 춥게 느껴지는 날이 있지? 그건 바로 체감온도가 다르기 때문이야. 체감온도란 말 그대로 우리 몸이 느끼는 온도인데 바람, 습도, 햇빛의 양에 따라 변하지. 또 개인적인 체질이나 심리 상태의 영향을 받기도 해. 마른 사람이 추위를 잘 타고, ... ...
- 토성관측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07호
- 과학의 달인 4월에 전국 각지에서‘2006 대한민국 별 축제’가 열립니다. 자세한 시간과 장소는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www.kasi.re.kr)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행사의 ... ‘카시니의 틈 ’이라고도 합니다. 지난해에 토성에 도착한 탐사선 이름이 카시니였던 이유도 바로 이것이지요 ... ...
- 뜨거운 질문 차가운 대답, 피임!과학동아 l2006년 07호
- 있다.Q1. 뜻하지 않게 관계를 가졌어요. 임신할까봐 너무 걱정이 되는데 피임약을 먹으면 바로 효과가 있나요?일반 경구피임약은 소량의 여성호르몬제로, 한 알 먹는다고 해서 피임효과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한 달 주기로 3주 동안 일정한 시간에 복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약을 먹지 않는 ... ...
- 위장 다스려 건강한 여름나기과학동아 l2006년 07호
- 이유는 뭘까.숙종도 반신욕 즐겼다삼계탕과 보신탕으로 더위를 이기는 풍습이 생긴 것은 바로 한의학 이론 때문이다. 한의학에서는 바깥 기온이 높으면 내장은 오히려 차가워진다고 본다. 가령 복날에는 사람들이 더위로 불편해하지만 위장은 반대로 가장 차갑다. 따라서 열을 내는 음식이나 약을 ... ...
- 아이팟 신발이 주는 음악적 자극과학동아 l2006년 07호
- 고해상도를 지원한다데이터를 기억장소에 써넣었다가 전원을 끄면 그 데이터가 곧바로 사라지는 반도체를 말한다전원을 끊어도 그 속에 있는 데이터가 없어지지 않는 기억소자를 말한다전원만 끊어지지 않으면 그 속의 정보가 오랫동안 지워지지 않고 보관되는 램반도체 D램에 비해 회로구성이 ... ...
- 발해의 닻을 올려라과학동아 l2006년 07호
- 논문은 발해 닻에 관한 것이었다. 그를 만나 직접 확인하고 싶었지만 그는 당시 모스크바로 거처를 옮긴 터라 만날 수 없었다.결국 블라디보스토크의 도서관을 샅샅이 뒤져 실란티에프 박사의 논문을 찾아냈다. 이로써 더 이상 발해 닻이라는 점을 의심할 필요가 없어졌다.그렇다면 남은 문제는 ... ...
이전7337347357367377387397407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