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d라이브러리
"
다음
"(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등 동물일수록 뇌의 휴식이 필요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잠을 자지 않으면 안될까. 또한 사람이외의 동물은 어떤 방식으로 잠을 자는 것일까.
다음
은 '과학아사히' 최근호에 실린 수면에 관련된 기사를 요약발췌한 것이다.수면의 정의는 쉽지 않다. 상식적으로는 생명활동의 저하기 또는 휴지기라고 말할 수 있다. 모든 생명체는 '휴식과 활동'이라는 두가지 ... ...
생체처럼 환경변화에 감지·적응 능력지닌 21세기 신소재 「스마트 재료」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actuation)분야에서만 두드러진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현 세대의 이상적인 스마트재료는
다음
과 같은 능력을 갖춰야 한다. 첫째 외부자극의 변화에 대해 거의 즉시적으로 대응하는 능력, 둘째 현대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고체상태 전자공학과 결합하는 능력, 셋째 현대의 제어시스템을 실행하는 ... ...
보고 만지고 타보면서 느끼는 산 체험의 장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로봇이 자동차를 디자인하는 모습(로봇 CAD)이 선보인다. 여기서 등장하는 자동차 모델은
다음
의 모션베이스 극장에서 탑승할 미래형 자동차로 탑승요령 등을 미리 배우게 된다.모션베이스는 자동차관의 하일라이트. 16명이 한 차에 타고 시속 2백50~3백㎞의 속도감을 느낄 수 있다. "자동차가 직접 ... ...
지각변동도 미리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표준측위 및 P코드의 보조용으로 사용하며 L1주파수에서만 송신된다.위치측정의 원리는
다음
과 같다. 위성의 위치와 관측점 간의 거리를 알 수 있다면 관측 지점은 위성이 있는 위치를 중심으로 해 이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구면상의 한 점에 있다. 즉 위성 1개에 대해 1개의 구면이 대응되므로 3개의 ... ...
원격조종의 세계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결국 로봇 자체가 자동적으로 상황판단을 하여 작업을 수행해야만 한다.그 순서는
다음
과 같다. 환경 인식, 환경 자체모델링, 경로 기획 및 자동 운동 수행순이다.가상 현실감 - 작업자가 로봇의 환경을 느껴 이제까지의 일반적인 원격제어로봇은 로봇과 유사한 장치를 훨씬 가볍게 만들어 이를 ... ...
컴퓨터의사는 명의인가, 돌팔이인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불과하므로 이것은 엄밀한 의미에서 보면 컴퓨터 진단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이다.
다음
으로 요즘 많이 보편화된 전산화단층촬영(흔히 CT라고 한다)기계는 분명히 컴퓨터를 이용한 것이다. 그러나 질병을 진단하는 전체과정에서 본다면 이것도 단순히 병을 진단하기 위한 '자료'를 만드는 일에 ... ...
사람을 삼키는 비누방울과 네모난 비누방울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겁니다.2) 다 만들었으면 각 모서리에 아주 가는 끈을 묶어서 매달리게 합니다.3) 그런
다음
비눗물이 가득 담긴 그릇 속에 푹 담갔다가 꺼내면 그림과 같은 면이 생기지요.4) 그 안에 비눗물을 적신 빨대를 대고 불면 됩니다.어떻습니까? 재미있는 기하학적인 모양의 비누 방울이 탄생했지요. 어쩜 ... ...
② 인간과 기계와의 대화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로봇을 좋아한다' (4) '모든 소녀들이 로봇을 좋아하지 않는다'.
다음
에 컴퓨터에게
다음
과 같은 질문을 던진다. '철수와 영희중 누가 로봇을 좋아하는가?' 이때 우리가 기대하는 응답은 '철수가 로봇을 좋아한다'다. 이러한 상황이 가능하기 위해서 컴퓨터는 물론 주어진 문장들을 정확히 분석해 그 ... ...
독특한 삶 속에서도 빛나는 업적 남긴 20세기초 수학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때문에 이 논문은 심각하게 고려해볼 대상이 못된다고 하는 일부 수학자들에게 이들은
다음
과 같이 항변했다."예를 들어 B.S.F.나 Z.D.가 아니면 C.F.T.C는 A.L.V.와 연관이 된다는 등의 설명을 들으면 당신은 무슨 말인지 모를 것이 당연하다. 이런 식으로 10페이지 이상 계속되는 것을 상상하여 보라. ... ...
박쥐, '해로운 동물' 오해로 멸종위기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현저히 줄어들고 있는데 대해 큰 안타까움을 나타낸다. 비록 아직까지는 포유류 중 쥐
다음
으로 그 숫자가 않지만 현재의 격감추세로 보아 오래지 않아 멸종위기를 맞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북아메리카에서는 지난 20년간 박쥐인구의 80%가 줄어들었다.박쥐의 인구가 급감하고 있음에도 ... ...
이전
733
734
735
736
737
738
739
740
7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