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리
사고
일고
안
d라이브러리
"
생각하기
"(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When Animals Think and Talk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How do animals differ from humans? Or, how humans are different from animals? We humans also belong to the animal kingdom, but we often place ourselves at the highest spot on the intellectual pyramids ...
이중휴명 전략펴는 깽깽이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에 대해 잠깐 얘기를 해볼까요.보통 적당한 온도와 수분이 있으면 씨앗이 발아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렇게 간단하지가 않습니다. 물론 ‘쉽게’ 발아하는 종류도 있지만 까다로운 조건이 충족돼야 발아하는 종류도 많으니까요. 예를 들어 건조한 지대에 사는 식물의 씨앗 가운데는 겉에 발아를 ... ...
헬륨 부족하면 첨단 연구도 STOP! 헬륨 위기가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하면 많은 사람들은 목소리를 변하게 하는 가스를 떠올린다. 풍선이나 비행선을
생각하기
도 한다. 하지만 헬륨이 IT사회에 없어서는 안 되는 광섬유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은 잘 모른다. 광섬유는 2000℃ 이상의 고온으로 달군 뜨거운 유리를 매우 가늘게 당겨서 만든다. 그런데 대기 중에서 이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지구에서 가장 별이 잘 보이는 곳은 어디일까. 문명의 불빛이 미치지 않는 곳, 칠흑 같은 어둠 속에 오로지 별빛만이 존재하는 곳, 가장 깊은 우주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곳. 그곳을 찾아 7인의 별밤지기들이 천체관측원정대를 꾸렸다. 관측지는 호주 천문학의 수도인 쿠나바라브란(Coonabarabran)이다.우 ... ...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삑’ 소리와 함께 문이 열리는 자동차는 더 이상 신기하지 않다. 음성인식으로 시동을 걸거나 장소를 안내하는 기능도 특별하지 않다. 자동차가 점점 주인을 빠르고 안전하고 편하게 스스로 알아서 데려다 주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집도 마찬가지다. 외부에서 전기나 가스레인지를 ... ...
내 마음 알아채는 빛 반도체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미래에는 사람의 감성을 자극하는, 일명 스마트조명이 대세가 될 겁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머리 옆에 대면 심박이나 체온을 재거나 뇌파를 읽은 뒤, 조명에 정보를 보내는 거죠. 결국 조명은 사람의 기분에 따라 빛의 색깔과 조도를 바꿀 겁니다. 우울할 땐 밝고 따뜻한 색을, 화가 났을 때는 ... ...
[생물] 생물다양성과 우리 삶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생물다양성협약생물다양성협약은 1992년 리우의 지구정상회담에서 150개국 정부가 서명한 협약이다. 생물다양성협약은 생물다양성이 생태계에 관한 것 이상으로 인류의 생존과 건강한 환경에 대한 것임을 인식한 회의다.생물다양성이란 지구상의 생물종의 다양성, 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의 다양 ... ...
왼손잡이에 대한 또다른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아이의 웃음소리에 허 생원은 주춤하면서 기어코 견딜 수 없어 채찍을 들더니 아이를 쫓았다. “쫓으려거든 쫓아. 왼손잡이가 사람을 때려.” 줄달음에 달아나는 각다귀에는 당하는 재주가 없었다. 왼손잡이는 아이 하나도 후릴 수 없다. (중 략) “모친의 친정은 원래부터 제천이었던가?” “봉평 ... ...
성냥개비로 도형 만들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Q 1. 크기가 같은 성냥개비가 20개 있습니다. 이것을 6개와 14개로 나눠서 2개의 도형을 만들되 면적이 큰 도형이 작은 도형의 3배가 되도록 만들어보세요.2. 이번에는 같은 성냥개비 20개를 8개와 12개로 나눠서 면적이 3배가 되는 2개의 도형을 만들어보세요.A이달의 퍼즐크기가 같은 성냥개비가 20개 있 ... ...
자물쇠 속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 원시 시대에는 개인 재산이 없어 무언가를 감출 필요가 없었다. 하지만 문명이 발달하고 소유 재산 제도가 자리 잡으면서 개인의 무언가를 지킬 필요성이 생겼다. 자물쇠는 소중한 물건을 지키기 위해 등장했다.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고대 이집트에서 자물쇠의 흔적이 ... ...
이전
732
733
734
735
736
737
738
739
7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