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d라이브러리
"
계속
"(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여름 피부 지켜주는 나노 화장품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등 나노소재 제조를 목적으로 하는 30여개 이상의 중소기업이 설립돼 있으며 신규 창업이
계속
늘고 있다. 창업형태로는 기술을 보유한 대학과 연구소의 과학기술자들에 의한 직접창업이 지배적이며 아직까지 손익분기점을 넘긴 회사는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세계 및 국내 나노소재 시장의 빠른 ... ...
올여름 저녁은 금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변화는 7월에서부터 시작해 9월말까지
계속
된다. 그러므로 대략 10일 정도의 간격으로
계속
해서 금성을 천체망원경으로 관측할 필요가 있다.날이 갈수록 천체망원경에서 크기와 모양이 달라지는 금성의 모습은 끈기 있는 사람들에게 좋은 흥밋거리가 될 것이다 ... ...
곤충세계의 해커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실제 맵시벌이 가짜 페로몬을 분비한 뒤 50일이 지나도 개미들끼리 싸우는 일이
계속
이어졌다. 부전나비 애벌레 속에 있는 맵시벌의 알은 이 와중에 애벌레를 먹고 무럭무럭 자라나 성충이 돼 개미굴을 빠져나간다. 적의 손에서 자라나는 해커들흥미로운 것은 맵시벌의 공격을 받은 부전나비 역시 ... ...
파키스탄 유령 호수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장기간 가뭄이 지속됐기 때문이라는 일설도 있다. 수천년 세월이 지난 지금에도 인간은
계속
되는 가뭄을 대처할 뾰족한 수단을 갖고 있지 못하다. 그래서인지가뭄 때문에 유령 호수가 돼버린 한나 호수의 이야기가 더욱 안타깝게 느껴진다 ... ...
왜 과학자들은 남극을 찾아갈까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점을 들 수 있다. 낮과 밤이 각각 여섯달씩
계속
되는 남극점에서는 태양이나 별을
계속
해서 관찰할 수 있어 천문학과 우주 연구에 아주 유리하다. 또 남쪽에 있고 문명세계의 교란이 적어 극궤도를 지나가는 인공위성의 제어와 궤도추적을 포함해 통신 연구와 위성연구에 유리하다.그렇다면 ... ...
산화·환원 이용한 음주측정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안의 산소량이 감소해 플라스크를 흔들어도 푸른색으로 변하는 정도가 줄어든다.
계속
실험하고 싶다면 공기를 주입하고 지시약을 한방울 정도 더 넣어주면 된다.슬기는 실험실에서 구할 수 있는 물질로 음주측정기를 만들었다. 이를 갖고 학교에 남아있는 친구들의 음주 여부를 가려내는데 성공해 ... ...
미생물이 만든 인류의 역사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고생하고 겨울이면 독감이 유행한다. 또한 뇌염과 출열혈, 에이즈 등 새로운 질병도
계속
해서 발생하고 있다.어쩌면 늘 인간들은 병원성 미생물들과 만남과 이별을 거듭하는 운명을 타고 난 것인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진정으로 질병을 극복하는 일은 결국 의학의 역사성을 제대로 파악할 때 가능할 ... ...
화성의 호수와 얼음, 그리고 생명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행성 화성은 태양계에서 생명체에 대한 논란이
계속
되고 있는 행성이다. 하지만 화성에서는 생명체뿐만 아니라 생명체에게 필수적인 물이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논의가 진척되지 못했다. 어떤 과학자들은 과거에는 화성에 물이 풍부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렇다면 그 많았던 물은 지금 어디로 ... ...
PART4 전자 하나로 작동되는 트랜지스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2010년이면 한계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나노기술은 2010년 이후에도 무어의 법칙을
계속
실현시키기 위해 원자나 분자를 하나하나 조작해 소자를 만드는 전자혁명을 꿈꾼다. 이를 위해서는 반도체 기판에 회로를 새겨넣는 기존의 제조방식인 ‘탑-다운’(top-down)이 아니라 원자나 분자를 ... ...
Ⅱ 붉은악마 열광시킨 대형 전광판 LED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미니 브라운관과 미니 형광램프는 수명이 약 5천시간 정도로, 장시간 사용할 경우
계속
교체해줘야 한다. 또한 이들은 전력 소모가 많고 단위 소자의 값이 비싸다. 이에 반해 LED 기술은 발광소자의 수명이 수만 시간이 돼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에너지 효율도 좋아 운영비용을 상당히 ... ...
이전
730
731
732
733
734
735
736
737
7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