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태양빛을 치약으로 쓰는 칫솔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8호
- 음이온이 나와 치약 없이도 입 속 플라크와 세균을 없앤다고 해요. 게다가 태양전지를 이용해 음이온을 만들기 때문에 전기도 필요 없답니다.태양빛으로 어떻게 음이온은 만들까요? 칫솔 밑 부분에 달린 태양전지 패널에 빛이 닿으면 전자가 만들어져요. 이 전자는 칫솔모에 연결된 이산화티타늄 ... ...
- 사라진 귀신고래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8호
- 북극고래, 귀신고래 등 이빨고래류이빨고래는 일생 동안 이빨을 가지고 살며, 이빨을 이용해 오징어·새우류·게·물고기 등의 먹이를 잡아먹는다. 고래 이빨은 사람과 달리 송곳니와 어금니로 구분되지 않고 모두 같은 모양이다. 이빨고래류의 외비공은 1개인데, 몸 안으로 조금 들어가면 2개의 ... ...
- 온 가족이 함께 하는 전통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8호
- 강아지였군. 칠교놀이는 크기가 다른 직각삼각형 5개와 정사각형, 평행사변형 조각을 이용해 다양한 모양을 만드는 놀이란다. 가장 큰 조각인 직각이등변삼각형부터 먼저 두고 시작하면 모양을 만들기 쉽지.오호~, 욕심쟁이라 그런지 다양하게 잘 만드는걸? 창의력이 대단해!어때? 16차원의 전통놀이, ... ...
- ‘ 똥’도 사람마다 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6호
- 더럽다고 무시했던 분들, 잘 들으세요! 똥을 지문이나 홍채처럼 사람을 식별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답니다.똥으로 사람을 식별한다고요? 도대체 어떻게요?같은 유전자를 갖고 태어난 일란성 쌍둥이라도 지문과 홍채가 달라요. 마찬가지로 일란성 쌍둥이라도 똥이 다르다는 거죠. ... ...
- 햇밫 받으면 전기가 찌릿찌릿! 태양광연구단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6호
- 해 주는 장치란다. 태양전지의 장단점장 점•공해 발생이 적어 친환경적이다.•무제한 이용 가능하다.•유지가 쉽다.•오랫동안 쓸 수 있다.단 점•비용이 비싸다.•설치 면적이 많이 필요하다.•설치 장소가 제한되어 있다.•낮에만 전기를 만들어 낼 수 있다.어때? 하늘에 태양만 뜨면 집에서 ... ...
- 오싹오싹 짜릿짜릿 공포의 숲을 탈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6호
- 창조한 생명체가 공포의 대상이 된 경우다. 대표적인 예가 프랑켄슈타인과, 유전공학을 이용해 만든 영화 ‘스플라이스’의 드렌. 생물 무기의 도래에 따른 좀비 영화2000년대 들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사스), 탄저병, 신종플루 등 원인도 잘 모르고 대책도 마땅치 않은 신종 전염병이 많이 ... ...
- 시원한 여름나기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5호
- 분야를 ‘건축환경계획’ 이라고 해요. 이런 연구 덕분에 자연이 주는 혜택을 최대한 이용해서 에너지를 절약하면서도 편안한 공간을 만들 수 있어요.동굴이 시원한 까닭은?여름철 시원한 피서지인 동굴! 그런데 여름에는 시원했던 동굴이 신기하게도 겨울에는 따뜻하게 느껴져요. 그건 동굴 속 ... ...
- 빨대 발명가 마빈 체스터스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5호
- 호밀 줄기가 아닌데, 과연 어떤 걸~까?”당시 사람들이 위스키를 먹을 때는 호밀 줄기를 이용했다. 잔에 손을 대면 위스키 온도가 올라가 맛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마빈은 호밀 냄새가 싫어서 호밀 줄기로 위스키를 마시는 것을 싫어했다.“마침 잘 됐어. 가뜩이나 호밀 줄기가 싫었는데….”문제 ... ...
- 주사바늘은 가라! 붙이는 주사약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5호
- 교수 연구팀은 콘텍트렌즈의 재료이기도 한 ‘폴리비닐피롤리돈’이라는 플라스틱을 이용해 길이가 0.65㎜이고 속이 빈 작은 바늘을 만들었어요. 그런 뒤 이 바늘에 백신을 넣고, 같은 바늘 100개를 평평한 판에 붙여 파스처럼 붙이는 약(작은 사진)을 만들었어요.연구팀은 이렇게 만들어진 약을 쥐의 ... ...
- 국가 태풍센터의 착한 태풍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5호
- 고려해 태풍이 어떤 세기로 어디로 이동하는지를 알아 내야 해.이 때, 슈퍼컴퓨터가 이용된단다. 다양한 환경이 태풍에 미치는 영향을 빠르게 계산해 주거든. 물론 슈퍼컴퓨터가 국가태풍센터에 있는 건 아니야. 충청북도 청원군의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에 있단다. 하지만 국가 태풍센터에서 ... ...
이전7287297307317327337347357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