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 핵실험 심층분석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플루토늄탄에 비해 비교적 제작이 쉽다. 농축한 우라늄235(${U}^{235}$)에 뇌관을 설치하면
바로
우라늄탄이 된다. 하지만 그대로 사용할 경우 뇌관이 오작동하면 폭발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우라늄235(${U}^{235}$)를 임계질량(핵분열이 일어날 수 있는 핵물질의 최소량) 이하로 둘로 나눠 담고 있다가 ... ...
특집Ⅰ 뿌리 깊은 나무 노벨상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급한 일에 둔다. 중요하지만 급하지 않은 일은 당장 해치우기 힘들다.기초과학 육성이
바로
이런 일에 속한다. 현재 선진국은 오랜 세월 기초과학에 투자한 결실을 맛보고 있다. 요즘 기업이나 국가 경영자는 흔히 필요한 것은 사오면 된다는 아웃소싱(outsourcing)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 ...
소음은 떨어지는 폭탄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가전연구소….’“집안으로 들어온 스텔스라면 혹시….”김 탐정은 주저하지 않고 곧
바로
삼성전자 가전연구소로 향했다.“네. 스텔스는 진공청소기의 소음을 최대한 줄이는 저희 프로젝트 이름입니다.”삼성전자 기술연구소의 주재만 박사와 이준화 박사가 김 탐정을 반갑게 맞이했다 ... ...
맨눈 관측의 달인, 망원경 압도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뒷받침하는 밑거름이 됐다. 하지만 티코 브라헤에 못지않은 맨눈 관측의 달인이 있었다.
바로
폴란드의 요하네스 헤벨리우스(Johannes Hevelius)다.헤벨리우스는 폴란드의 단치히에서 양조장을 경영하던 부유한 사업가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레이덴대에서 법률학을 배웠고, 시행정관과 시의원을 ... ...
사과 원자, 포도 분자?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들어있다.배수비례냐, 기체반응이냐5번째 규칙은 돌턴의 역작이라고도 할 수 있다.
바로
‘배수비례의 법칙’이다. 돌턴은 질소(N)와 산소(O)에서 서로 다른 세 종류의 기체가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돌턴이 이들 기체의 질소 1g당 산소의 질량을 재봤더니 1:2:4가 됨을 발견했다. 또한 탄소(C ... ...
아는 만큼 받는다! 이공계 장학금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타지 못한다 하더라도 준비하는 기간 동안 얻는 것과 남는 것은 분명히 있다. 이것이
바로
‘꿩 먹고 알 먹고’다.알았다면 지금부터 준비하자. 아는 만큼 장학금을 탈 수 있는 기회도 많아질 뿐 아니라 미리미리 준비 한다면 결코 그림의 떡이 아니다. 장학금을 탈 수 있는 시기와 기회는 한정돼 ... ...
대~한민국! 2006 동물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골키퍼는…, 거미2002년 월드컵에서 멋진 활약을 보여 준 이운재 선수 별명이 뭔지 알아?
바로
거미손이야. 두 개는 발로 쓴다면 손이 여섯 개나 된다구! 또 내 손 끝에 있는 작은 털들은 천장이든 유리든 내가 붙어있게 해 주지. 공도 이 손으로 척척 잡아 낼 거야!평점 7 ... ...
지구를 살리는 친환경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수 없는 단점이 있다.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과학자들이 연구하고 있는 것이
바로
우주태양광발전소다. 우주태양광발전소는 1968년 미국 아서디리틀이라는 회사의 물리학자 피터 글레이저 박사가 처음으로 제안했다. 지구궤도에 태양전지판을 단 위성을 띄우거나 달표면에 태양광 발전소를 ... ...
조상님들은 옛날부터 골프를 즐기셨다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그 중에서 씨름이나 태권도만큼 후세에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많이 즐겼던 운동이
바로
‘격구’입니다. 격구는 지금의 하키나 골프처럼 막대기로 공을 치는 운동이에요. 1500년 전 페르시아에서 시작된‘폴로’라는 운동이 중국의 당나라로 전해지고 고구려, 신라가 받아들였어요. 이 운동이 고려 ... ...
지구속은 어떤 모습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여행을 계속한다.지구를 통과하는 사고실험을 소설로 풀어 낸 사람이 있었으니, 그가
바로
프랑스의 작가 쥘 베른이다. 그의 책 ‘지구 속 여행’ 에서는 화산의 분화구를 파고 내려가며 조금씩 지구의 중심으로 향하는 흥미진진한 모험이 펼쳐진다. 우연히 발견한 낡은 양피지 조각의 암호문은 ... ...
이전
727
728
729
730
731
732
733
734
7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