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숲이야기] 광릉숲의 겨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무려 세 달이나 빠르게 꽃을 피운거지요. 국립수목원에서 가장 빨리 꽃을 피우는 풍년화가 2016년 2월 23일 개화한 걸 보면 얼마나 빠른지 잘 알 거예요.이미 꽃을 피운 겨울눈은 진짜 봄이 찾아와도 다시 꽃을 피우지 못해요. 그러면 열매나 씨앗도 맺지 못하지요. 2015~2016년 겨울에는 유독 이런 ... ...
- [출동! 섭섭박사] 화산모형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지구 내부로 들어가다 보면 온도가 점점 높아져요. 깊숙이 들어갈수록 온도는 급격히 높아지는데, 수십km 이상 들어가면 딱딱한 암석들이 일부 * ... 대형 화산모형을 선물로 받기도 했답니다. 2016년의 마지막 실험답게 선물도 푸짐하죠? 2017년에도 계속될 섭섭박사님의 활약을 기대해 주세요 ... ...
- Part 2. 지구의 마법같은 진화 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시작됐어요. 그리고 고생대 초기이자 캄브리아기 중기에 해당하는 약 5억 2000만 년 전부터 5억 500년 전까지, 지구 역사상 가장 희한한 동물들의 집합인 ‘버제스 셰일 동물군’이 등장했답니다.고생물학자들은 이 동물군에 속하는 화석을 복원할 때마다 당혹감을 감출 수 없었어요. 복원을 잘못한건 ... ...
- Part 4. 여기로 가 보자! 신종 발견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특히 전체 생물종의 약 10%가 사는 아마존은 손꼽히는 핫스팟이라 할 수 있지요. 지난 10년간 찾기 어렵다는 신종 포유동물만 600여 종이 발견됐을 정도랍니다.이 밖에도 마다가스카르, 중앙아메리카, 중앙아시아 등에 많은 습하고 숲이 울창하게 우거진 장소에 지구 척추동물의 절반이 살고 있어요. ... ...
- [특별 인터뷰] 아마엘 볼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연구할 것이 많아 내년에도 지사탐 대원들을 만날 수 있을 것 같아요. 앞으로 한국에 2년만 더 있으면 제 평생 가장 오래 산 나라가 될 거예요. 그때는 한국을 고향이라 불러도 되겠죠?참, 개구리는 작고 약한 생물이에요. 탐사할 땐 개구리가 다치지 않도록 조심해 주시고, 탐사 기록도 많이 올려 ... ...
- Part 3. 폭발적인 진화의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눈덩이 지구는 선캄브리아 시기 말기인 약 7억 5000만 년 전부터 약 6억 3500만 년 전까지 이어진 지구 전체 규모의 빙하기를 말해요. 이후 빙하들이 녹아내린 시점부터 생물 폭발이 일어나요. 얼어붙어 있던 바다가 갑자기 따뜻하고 밝아지면서 산소 농도가 높아지고, 생물들이 번성하기 쉬워진 거예요 ... ...
- Part 5. 머글 세계의 뉴트 스캐맨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등으로 진화하는 과정을 보여 주는 종이에요. 그 동안은 화석으로만 알려져 있다가, 1939년 살아있는 개체가 발견됐답니다. 그 결과 고생대에 일어났을 거라고 ‘추정’만 하던 ‘동물이 땅으로 올라온 과정’을 자세히 연구할 수 있게 되었지요.신종 연구는 생물다양성을 넓히는 방법이기도 해요. 20 ... ...
- [과학뉴스] 시민과학자의 놀라운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발견된 원시태양계는 ‘적색왜성’을 중심으로 돌고 있어요. 적색왜성은 태양보다 50억 년을 더 살 수 있을 정도로 수명이 긴 별이지요. 적색왜성이 중심인 원시태양계는 전체의 1.3% 정도로 매우 드물답니다.연구를 이끈 스티븐 실버버그 교수는 “시민들의 도움이 없었다면 새로운 발견은 ... ...
- [과학뉴스] 18년간 바다를 감시한 로봇 홍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많이 입을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하려고 로봇 홍합을 만들었다”고 설명했어요. 하지만 18년간 연구한 결과, 연구팀의 예상과 달리 기후 변화로 인한 홍합의 체온 변화는 지역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답니다. 같은 북쪽 지역이라도 홍합의 체온 변화가 제각각으로 나타난 거예요.헬무스 교수는 ... ...
- Part 1. 우주는 쓰레기 천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도대체 얼마나 많은 쓰레기들이 지구 주변에 있는 걸까요?케슬러는 알고 있었다!1978년, 미국항공우주국의 도널드 J. 케슬러는 인공위성들이 서로 충돌해 생긴 우주쓰레기들 때문에 결국 우주선을 쏘는 일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고 얘기했어요. 이를 ‘케슬러 증후군’이라고 부르지요. 당시 ... ...
이전7277287297307317327337347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