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310건 검색되었습니다.
활동 많은 여름, 우리 아이 건강 지키는 7가지 방법
2017.07.30
합니다. 이는 잔디나 모래사장에서도 필수입니다. 신발을 벗고 놀면 미처 보지도
발견
하지도 못한 깨진 유리 조각 같은 날카로운 것에 발을 다치거나 진드기와 같은 벌레에 물릴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드와이어 박사에 따르면 위와 같은 부상은 여름철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사고 중 하나라고 ... ...
오지랖 넓은 한국사회에서 자신을 되돌아 보는 방법
2017.07.30
손으로 뭔가를 만드는 즐거움, 글을 쓰는 즐거움, 생각에 빠져있는 즐거움 등을 새로
발견
할 수 있었다. 실제로 자기 자신에게 쓰는 시간이 더 많다는 측면에서 기혼인 사람보다 미혼인 사람들이 더 ‘성장하고 있다’는 느낌을 많이 받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다. 나 자신을 위해 쓰는 시간의 ... ...
[때와 곳 15] 열쇠꾸러미도 기다리는 곳: 버스정류장
2017.07.29
있었고 다음 정차역이 승차했던 신촌역이었단다. 그제야 자신의 신발이 없는 것을
발견
한 그분은 주위 승객에게 민망해 서둘러 하차했단다. 자동문이 열리고 문 앞 발밑을 보니 자신의 신발이 벗어놓은 그대로 가지런히 놓여 있었단다. 실소 끝에 나는 열쇠꾸러미를 놓고 간 분도 오래전 신발처럼 ... ...
남겨진 DNA로 범인 행동 분석까지…진화하는 과학수사
과학동아
l
2017.07.28
해결한 대표적 사례다. 용의자 마크 에드워드 런디의 셔츠에서 죽은 부인의 살점이
발견
됐고, 세이언 팀장은 그 살점이 뇌의 일부임을 밝혔다. 런디가 가까운 거리에서 부인의 머리를 내리쳤다는 구체적 행동을 유추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결과 런디는 15년 만인 2015년 결국 실형을 선고받았다. ... ...
호주의 거대한 사냥꾼 거미 ‘포착’
팝뉴스
l
2017.07.27
붙여진 이름. 호주에는 헌츠맨 스파이더가 200종이 살고 있고 아직도 새로운 종이
발견
된다고 한다. 사진 속의 헌츠맨 거미는 크기가 비범한 수준이다. 이 헌츠맨 거미도 독을 갖고 있다. 먹이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데 쓰인다. 또 방어를 하면서 상대를 물 수도 있는데, 다행히 건강한 ... ...
머리에 투구 달린 신종 공룡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7.07.27
화식조가 어떻게 이동했는지도 추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태평양 남부에서만
발견
되는 현재의 화식조가 이 지역 고유종인지 사람들의 거래를 통해 분포하게 된 것인지 명확히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었다. 중국에서 화식조와 닮은 공룡군이 연속으로 나오면서 이를 분석할 길이 열릴 수 ... ...
스마트폰으로 질병을 진단하는 해외 앱들
과학동아
l
2017.07.27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 무선의료 학술회의에서는 눈동자 움직임만으로 자폐증을 조기
발견
할 수 있는 앱이 발표됐다. 자폐증은 사회성 결여, 반복적인 행동 등으로 대표되는 발달장애다. 아직 학부생인 미국 뉴욕주립대 컴퓨터공학과 조근우 씨(아래)가 개발했다. 자폐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 ... ...
2004년 수마트라 대지진 원인 밝혔다
과학동아
l
2017.07.26
결과, 지하 1300m 지점에서 지각을 구성하는 규산염 암석에 탈수 작용이 진행된 흔적이
발견
됐다. 연구팀은 탈수 현상이 섭입 전까지 계속 증가하면서 암석이 파괴 임계점에 가까워져 섭입 직후 지진이 발생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송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가 천부 대지진의 원인을 좀 더 ... ...
지카 바이러스 치료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26
보인 것이다. 유펑 연구원은 “임신 쥐와 태아 쥐 모두에서 Z2 단백질로 인한 부작용이
발견
되지 않은 게 의미가 크다”며 “임상을 거쳐 (Z2 단백질이) 약으로 인정되면, 발병 지역에 사는 여성이나 여행자들의 감염증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2015년 논문에 실린 자료로 초파리(B)의 경우 2016년과 2017년 두 가지 습도수용체가 잇달아
발견
되면서 수정이 필요하다. 즉 기계감각뉴런(mechano)을 바퀴벌레(A)처럼 mechano(dry cell)과 mechano(moist cell) 두 가지로 표시해야 한다. - 신경생리학저널 제공 이에 따르면 우리가 고온에서 다습을 느끼는 건 ... ...
이전
726
727
728
729
730
731
732
733
7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