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상
지구
월드
천하
영역
전세계
world
d라이브러리
"
세계
"(으)로 총 1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지키는 독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조사는 10일간 계속됐다.독도는 ‘네이처’에도 나와2006년 겨울, 독도 현장 조사에서는
세계
적으로 보고된 적이 없는 새로운 생물을 발견하는 쾌거를 올렸다. 한국해양연구원 노현수 박사팀이 바다 밑바닥에서 건져 올린 퇴적물에서 중형 저서동물의 일종인 선형동물을 2종 발견해 각각 ... ...
그 많은 들쥐는 누가 다 먹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시리즈가
세계
적으로 큰 인기를 얻으면서 덩달아 유명해진 주인공이 있다. 해리 포터에게 편지를 배달하는 ‘가면올빼미’(Barn Owl)다. 한때 영국에서는 가면올빼미를 애완동물로 키우는 사람이 늘기도 했다. 올빼미는 생물학적으로 올빼미과에 속하는 새들을 통칭하는 말이다. 부엉이와 소쩍새 모두 ... ...
‘검은 태양’ 아래서 꿈을 꾸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서로의 장비와 관측 경험에 대한 얘기로 이어졌다. 그 중에는 일식이 일어날 때마다
세계
각처의 관측지에서 만나는 우정을 뽐내는 사람도 있었다. 한참 이야기꽃을 피우는데 갑자기 여기저기에서 각국 언어로 탄성이 터져 나오기 시작했다. 개기일식의 시작을 알리는 소리였다. 시간이 지날수록 ... ...
KSTAR 최초 플라스마 발생 실험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짓기 시작한
세계
유일의 핵융합실험로를 2015년까지 완공하고, 그곳에서 지난 40년 동안
세계
핵융합실험 장치들이 이뤄낸 실험 결과를 토대로 핵융합에너지를 상용화할 수 있는지 검증할 계획이다. 2030년 이후에는 실제로 전기를 생산하는 핵융합 시험발전소까지 세운다는 목표다.오영국 부장은 ... ...
[물리]변압기가 작동하는 원리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감시제어시스템을 설치해 안전하게 운전하고 있으며,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최초 초대형 해상 송전선로를 건설해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전력 손실량을 줄이고 대전력을 운반할 수 있는 수송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765kV 송전계통을 구성, 운영하는 등 송변전 전력 기술을 비롯한 다방면의 ... ...
‘양날의 검’ 항생제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내성 포도상구균(MRSA)이 가진 내성유전자 mecA는 1960년대 초 처음 발견된 뒤 20년 만에 전
세계
로 퍼짐.1966반코마이신 개발반코마이신으로 MRSA 치료.1966슈퍼박테리아 출현MRSA가 반코마이신 내성유전자를 전달받아 슈퍼박테리아로 진화.2020슈퍼항생제개발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양날의 검’ ... ...
꿀벌의 4번째 선물, 프로폴리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사실이 밝혀지면서 천연 항생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10월 한국에서 열린 ‘제1회
세계
프로폴리스 사이언스 포럼’에서 중국 농업과학원 양봉연구소의 지우 장 박사는 “프로폴리스에서 18가지 성분을 추출한 뒤 구강질환을 일으키는 원인균 5가지에 대해 항균실험을 한 결과 충치의 주요 ... ...
한우 꽃순이의 독백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3kg이면 되지만 쇠고기는 9kg나 필요하답니다. 차로 치면 저희가 연비가 훨씬 낮은 셈이죠.
세계
경작지의 24%가 소를 키우는 데 쓰인다는 거 아세요?그런데 가축을 키우려면 사료만 들어가는 게 아니에요. 물도 많이 필요하죠. 저희가 직접 먹는 것도 있지만 사료가 될 농작물을 키우는데도 물이 ... ...
‘숨겨진 보물’ 감자, 킹왕짱!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현재 벼, 옥수수 같은 곡물류에 비해 감자 재배 면적이 2배 이상 증가하면서
세계
적으로 생산량이 매년 3억t 이상 늘고 있다.물론 아직까지 해결해야할 문제는 많다. 현재 기술로는 감자 1ha에서 얻을 수 있는 바이오에탄올이 1830L 정도다. 사탕수수(1640L)보다는 많지만 고구마(5821L), 수수류(2196L) 보다는 ... ...
나노막대로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 길 연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전인 지난 2002년 김 교수팀은 특정한 온도 범위에서만 나노구조를 갖는 블록공중합체를
세계
최초로 개발해 ‘네이처 머트리얼스’에 실었다. ‘PS-b-PnPMA’라고 불리는 이 물질은 상온에서는 별다른 구조를 띠지 않지만 138.7℃가 넘으면 스스로 나노구조를 형성하고 224.1℃를 넘으면 다시 ... ...
이전
726
727
728
729
730
731
732
733
7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