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스페셜
"
태양
"(으)로 총 936건 검색되었습니다.
NASA 관계자 "2033년 美 화성 유인탐사 계획 실현가능성 떨어져"
동아사이언스
l
2019.05.20
로빈슨 NASA 국제우주정거장 수석연구원은 “장기간의 우주 비행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태양
및 우주 방사선에 노출될 우주인들을 보호하는 것”이라며 “의료 상황 발생시 어떤 경우든 우주인들이 알아서 스스로 치료를 해야한다”고 우려했다. 현재 기술력으로는 화성으로 떠난 우주선과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
계 탄생의 신비 간직한 '눈사람' 소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5.19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첫 심우주 탐사선 뉴호라이즌스호가 지난 1월 1일 촬영한 '울티마 툴레(2014 MU69)'. 사이언스 제공 땅속에서 갓 꺼낸 듯한 큰 ... 2020년까지 전부 지구로 전송될 예정이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울티마 툴레로부터
태양
계 출생의 비밀을 들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로켓·위성만 보면 안되는데…AI·로봇이 우주산업 이끌 것" 한불 우주포럼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현재 TAS에서는 정지궤도위성의
태양
전지판을 생산하거나, 이렇게 생산한
태양
전지판 8000~1만5000개를 인공위성에 붙이거나, 또는 생산 공정 중 문제가 없었는지 방사선으로 확인하는 일을 모두 로봇이 한다”며 “사람이 하던 일을 로봇이 대신해 반복적인 일을 실수 없이 정확하게, 그리고 ... ...
[과학게시판] 국제삼중수소 학회 22일부터 5일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개최한다고 밝혔다. 수소의 동위원소인 삼중수소는 미래 핵융합 발전 연료 중 하나다.
태양
이 에너지를 내는 원리인 핵융합을 지구에서 만들기 위해 가장 효율적인 방식은 중수소와 삼중수소간 핵융합 반응이다. 이번 국제삼중수소학회에는 전세계 삼중수소 및 수소 동위원소 전문가와 산업체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
계 기원 간직한 소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형성 초기에 만들어진 이후 열에 의한 변화를 거의 겪지 않은 운석을 뜻한다. 류구도
태양
계 초기에 형성된 원시 행성임을 추정할 수 있는 결과다. 류구의 지형적 특성도 분석됐다. 류구의 밀도는 1㎝당 1.19g이고, 내부에 구멍이 50% 이상으로 많은 소행성이다. 가파르게 형성된 표면의 ... ...
인류 앞에 베일 벗은 블랙홀...“다음 목표는 동영상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태양
보다 훨씬 강한 블랙홀의 중력으로 이론이 증명됐다. 사진제공 위키미디어 다만
태양
은 우주 전체로 보면 아주 중력이 약한 천체라 보다 강한 중력에서도 일반상대성이론이 통하는지는 증명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로 가장 강한 중력을 갖는 거대한 블랙홀을 관측해 블랙홀 뒤편 빛 및 블랙홀 ... ...
이스라엘 탐사선 베레시트,12일 새벽 민간 최초로 달 착륙에 도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이용해 달로 향했다. 베레시트는 갑작스런 시스템 재시작으로 인한 궤도 진입 실패와
태양
방사선에 의해 항법장치가 먹통이 되는 난항을 겪기도 했다. 이달 4일 오후 11시24분 시속 약 8530km에서 7560km로 속도를 줄이며 달 표면에서 최소 500㎞, 최대 1만㎞까지 떨어진 타원 궤도에 진입했다. 달 ... ...
우주여행 다녀온 햄버거…맛은 ‘매우 딱딱’
동아사이언스
l
2019.04.03
성층권은 지구 대기권의 두번째 층으로 대류권과 중간권 사이에 있다. 성층권의 오존은
태양
의 자외선으로부터 지구를 막아주는 보호막 역할은 한다. 우주여행을 다녀온 햄버거보다는 ‘오존층’에 다녀온 햄버거가 맞다는 지적이다. 스탄닐란드씨는 “사람들이 우주에 여러 물건들을 보내는 건 ... ...
액체헬륨 가격은 왜 치솟았나…장기화 땐 핵융합·발사체 사업 차질 불가피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이용하는 MRI는 초전도 자석을 유지하기 위한 극저온 액체 헬륨이 필요하다. ‘인공
태양
’으로 불리는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 ‘KSTAR’에도 쓰인다. 초전도 자기장 발생기,극저온 센서 및 검지기 등 응용 분야를 비롯해 핵융합, 입자물리학, 저온물리학 등 초전도 자석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연구 및 ... ...
[강석기 과학카페] 사람도 지구자기장을 느낄 수 있을까
2019.03.26
목적지에 이르는 과정은 세 단계로 나뉜다. 먼저 ‘먼 거리 단계’로 지구자기장과 천체(
태양
과 별)의 안내를 받아 이동한다. 다음으로 ‘고향찾기(homing) 단계’로 지구자기장 정보와 함께 시각이나 후각 정보도 이용한다. 끝으로 ‘도착(pinpointing-the-goal) 단계’로 익숙한 지형지물과 냄새를 통해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