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스페셜
"
동물
"(으)로 총 1,470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장류 실험서 코로나19 항체 형성·감염 방어 효과 잇따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7.31
효능을 확인하는 검사에 들어갔다. 이런 가운데 일부 백신 후보물질에 대한 영장류
동물
실험 결과도 속속 공개되고 있다. 영국 옥스퍼드대 제너연구소와 아스트라제네카는 자체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을 영장류에 접종한 뒤 바이러스를 인위적으로 감염시켜 방어 여부를 확인하는 ... ...
'감염 확인까지 딱 15분' 임신진단키트 같은 코로나19 진단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30
염기서열을 분석해 항원으로 쓸 수 있는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 등을 찾아냈다. 이를
동물
에 주입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반응하는 항체들을 만들었다. 이중 항원 단백질에 잘 결합하는 항체를 10종 가량 추려내 기술에 활용했다. 이번 연구는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의 지원을 받아 올해 ... ...
[백신 업데이트] WHO 임상 3상 6종...美·中·러에서는 '검증 완료 전 접종'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0.07.30
효능을 시험하는 공격접종시험 결과를 NEJM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감염병 모델
동물
로 쓰이는 3~6세의 암수 붉은털원숭이(레서스 마카크) 24마리를 준비한 뒤 세 그룹으로 나눠 각각 고농도 및 저농도 백신 후보물질과 위약을 한 달 간격으로 두 차례 접종했다. 그 뒤 다시 한 달 뒤 체내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적 인본주의자의 길
2020.07.30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진학했지만 간절히 원하던
동물
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 ...
슈퍼컴으로 코로나19 잡는 인공 단백질 설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9
장익수 DGIST 슈퍼컴퓨팅빅데이터센터장팀이 코로나19를 치료할 수 있는 단백질을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설계했다. 그 중 하나인 PEP9가 하나로 존재하는 단량체 혹은 두 개가 결합한 이량체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돌기 부분에 존재하는 RBD(빨간색)에 결합해 인간 세포 표면에 있는 ACE2에 결합하지 못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토콘드리아 게놈 편집 성공했다
2020.07.28
쓰일 것으로 예상했다. 인간의 미토콘드리아 질병을 일으키는 특정 변이를 염기편집으로
동물
미토콘드리아의 해당 위치에 재현하면 이로 인해 유발되는 질병을 이해하고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리우 교수는 안면이 없는 모고스 교수가 알려준 효소 덕분에 이번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코로나 감염에 멀쩡한 박쥐, 유전자 지도로 비밀 밝혀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5
추가로 분석할 계획이다. Bat1K 프로젝트의 공동 설립자인 엠마 틸링 아일랜드 더블린대
동물
학부 교수는 “박쥐 게놈 정보는 인간 건강과 질병에도 활용할 수 있다”며 “박쥐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을 견디는 방법을 찾으면 미래에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에 대한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너무 무리했으니까 살고 싶으면 좀 쉬렴"
2020.07.25
환경을 변화시키는
동물
이다. ‘장래 희망’ 같이 장기적인 목표를 꿈꾸는 인간이라는
동물
은 애초에 미래가 어느 정도 내 손으로 통제할 수 있는 무엇이어야 성립하는 존재라는 것이다. 이렇게 미래를 통제하려는 욕망이 큰만큼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어서 어떤 행동을 선택해야 할지 알 수 없는 ... ...
[프리미엄 리포트] 바이러스는 우주에서도 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07.25
상당히 많은 조건이 부합했을 때 나타나는 일부 사례에 불과하다. 바이러스를 운반하는
동물
이 사람과 자주 접촉해야 하고, 바이러스가 숙주 바깥에서 오래 살 수 있어야 하며, 그리고 무엇보다 그 바이러스가 인간의 면역시스템을 효과적으로 회피해야 하는 등 여러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이처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박 속살은 원래 빨간색이 아니었다
2020.07.21
참외를 먹다 보면 가끔 꼭지 부근에서 굉장히 쓴맛이 느껴진다. 이는 오이과 식물이
동물
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만드는 분자인 쿠커비타신(cucurbitacin) 때문이다. 따라서 작물화 과정에서 쿠커비타신 생합성을 억제하는 쪽으로 선별이 일어나기 마련인데, 오이와 참외에서는 여전히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