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뉴스
"
초
"(으)로 총 5,581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탄생 수수께끼 밝힐 '거대마젤란망원경', 마지막 반사경 제작 돌입
동아사이언스
l
2023.10.05
천문연 책임연구원은 “GMT 주경 7장 중 마지막 거울의 공정이 시작된다는 것은 21세기
초
거대 망원경 시대를 가장 먼저 여는 첫걸음이라는 의미가 있다”며 “GMT가 완성되면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 우주에는 우리뿐인가’와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며 우리나라가 추격자 역할이 아닌 ... ...
[노벨상 2023] QLED TV에서 첨단의료까지…'양자점' 세상 연 3인, 화학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3.10.04
더 예민하게 감지하는 센서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에서도 현택환 기
초
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 단장이 이끄는 연구단이 의료 분야에서 양자점을 활용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현택환 교수는 글로벌 학술정보분석 서비스 기업 클래리베이트가 2020년 선정한 유력한 노벨상 ... ...
고양이가 내는 소리 '가르릉' 뇌 활동과는 무관
동아사이언스
l
2023.10.04
근육의 움직임과 좀 더 관련이 깊다. 1970년대 과학자들은 고양이가 퓨링을 하기 위해 1
초
당 30회 후두 근육을 활발하게 수축하고 이완시킨다고 주장했다. 이후 이 같은 주장은 정설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 따르면 고양이의 퓨링은 뇌나 근육 운동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펜하이머'와 '반중력'
2023.10.04
제네바에 있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는 1990년대 반수소 프로젝트를 시작해 2002년 최
초
로 반수소를 만드는 데 성공했고(아테나 실험) 2010년 반수소가 1000
초
동안 소멸되지 않고 유지하는 방법을 개발했다(알파 실험). 영하 266도의 극저온과 진공 환경에서 전기장과 자기장을 교묘히 배치한 용기 ... ...
[노벨상 2023] X레이의 DNA 파괴 순간 포착…'아토
초
' 시대 연 과학자들, 물리학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3.10.03
이룬 성과로 여겨진다. 남창희 기
초
과학연구원(IBS)
초
강력 레이저과학연구단장은 ”아토
초
빛의 파동을 활용하면 지금까진 볼 수 없었던 핵의 운동까지 들여다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노벨상 수상자에겐 2022년보다 약 100만 크로나 증액된 1100만 스웨덴 크로나(한화 약 13억 5894만원)이 ... ...
[노벨상 2023] 물리학상에 '100경분의 1
초
' 아토
초
펄스광 고안한 과학자 3인 (2보)
동아사이언스
l
2023.10.03
교수(61), 앤 륄리에 스웨덴 룬드대 교수(65)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아토
초
에 해당하는 매우 짧은 시간에 빛의 파동을 만들고 파동이 원자와 분자 내부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에 대한 이미지를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혔다. 위원회는 "실험을 통해 원자와 분자 내부의 전자 ... ...
[노벨상 2023] '변방 mRNA연구' 30년 뒤인 2005년에 결실…15년 뒤 인류 구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03
계속할 수 있었다는 것이 놀랍고 부럽기도 하다”고 말했다. 당장 성과를 낼 수 없는 기
초
연구가 지속될 수 있었던 연구 환경이 과학자들의 최고 영예인 노벨상으로 이어졌다는 이야기다. 우 교수는 “카리코 교수도 연구비 수혈에 어려움을 겪은 것은 맞지만 연구 자체는 지속할 수 있었다”며 ... ...
[노벨상 2023] mRNA 백신 개발 길 연 의학자들, 생리의학상 수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23.10.02
카리코(왼쪽), 드루 와이즈먼(오른쪽)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은 2020년
초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대유행 사태에서 코로나 바이러스에 효과적인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을 개발하는 데 기여한 의학자들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상위원회는 2일 2023년 ... ...
외계 생명체 찾는 건 '시간 문제'..."몇 년 내 징후 발견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10.02
이는 지구에서 살아있는 유기체만 생성하는 화학물질을 찾는 수단이 된다. 지난달
초
실질적으로 120광년 떨어진 K2-18b 행성의 대기에서 지구에서 해양 생물에 의해서만 생성되는 가스 신호가 감지됐다. 디메틸황화물 분자가 있을 잠재적 가능성이 확인된 것이다. 향후 1년 내에 이에 대한 명확한 ... ...
[주말N수학] 우리는 왜 '미분'에 관심이 생겼을까
수학동아
l
2023.09.30
뉴턴과 별개로 여러 서신에 미분학적 연구를 진행했는데 수학자들과 주고받은
초
고들이 남아있습니다." ※관련기사 수학동아 9월호, [Rethinking] 우리는 왜 미분에 관심을 갖게 됐는가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