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면
표면
겉
바깥면
밖
노천
뉴스
"
외부
"(으)로 총 3,356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 드론에 '화들짝'...전문가들 "한반도 전역 들여다볼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1.13
이렇게 다양하게 드론이 활용되는 것은 드론의 눈 역할을 하는 컴퓨터 비전 기술이나
외부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 배터리 기술의 발전 덕분이다. 김승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연구소장은 “다양한 목적과 수요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을 정도로 드론 관련 기술력이 크게 발전했다”며 “10km ... ...
"KAIST 우주연구원, 우리별1호 귀환 이어 탐사 목적 소행성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23.01.13
예산 확보와 원장 선임, 학교 내 위원회 승인 등의 과제가 남았다. 한 단장은 “원장은
외부
에서 초빙할 수 도 있다”며 “올해 가능한 빠르게 설립을 완료하겠다”고 밝혔다. 한 단장은 우주연구원이 설립 후 대학의 특성을 살려 국제 협력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그는 “국제협력은 대학이 ... ...
태아 상태에서 자궁내 수술로 이분척추증 고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의료진은 이번 환자의 경우 기존 방식인 복강경으로 수술을 진행하지 않고 자궁을
외부
로 드러내는 방식을 적용했다. 이 방식을 활용해 수술에 성공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자궁 내 태아의 이분척추증 교정 수술을 받은 산모의 조기 분만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식으로 기대된다. ... ...
9일 오후 미국 위성 추락…예측 범위에 한반도 포함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전 재난안전문자 등을 통해 국민들에게 알릴 예정이며 추락이 예측되는 시간 동안
외부
활동 시 유의하고 방송 매체 등 뉴스를 주시하기를 당부했다. 만약 낙하 잔해물로 의심되는 물체를 발견할 경우 직접 접촉하지 말고 소방서(119)에 즉시 신고할 것을 당부했다. 이번에 추락하는 위성은 1984년 ... ...
양자의 '기분’을 바꾸는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23.01.07
민감하다는 단점은 현재 양자 기술 연구에서 풀어야 할 큰 숙제”라고 했다. 이어 “
외부
환경의 변화에 강한 큐비트 후보를 제안하는 것 또한 우리 연구단의 목표”라고 했다. “양자상태는 사람의 기분과 같습니다. 가끔 기분이 좋기도 하고, 가끔 기분이 나쁘기도 하지만, 그 중간에 약간 ... ...
의약품·화장품 있게 한 '토끼'...대체 '오가노이드' 연구 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6
소재의 장기칩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항체 생산도 토끼에 병원체를 주입하는 방식 대신
외부
에서 만드는 기술이나 축적된 연구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만들어내는 연구도 이뤄진다. ● 생태계에 꼭 필요한 그 자체로 귀중한 동물 토끼는 그 자체로 귀중한 동물이다. ... ...
항우연 내홍에 전 원장단 "우주강국 소명 잊었나" 우려 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이러한 시점에 항공우주연구원의 일부 연구자들이 조직의 개편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외부
에는 기득권 유지하기 위해 내부 분열을 조장하는 듯하게 비춰지는, 조직 내부의 논란을 언론으로까지 끌고 와 국민들을 걱정하게 만들고 있는 것 같아 심히 걱정스럽습니다. 지금은 오히려 치열하게 ... ...
주변 환경 따라 성장방향 바꾸는 인공물질 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4
계산된 동작을 하는 반면 개발된 물질 시스템은 구조적 특성상 인지 및 연산 과정없이도
외부
자극에 반응할 수 있다"며 "
외부
개입없이 스스로 주변 환경을 탐사하고 물질을 이송할 수 있는 만큼 향후 사람의 접근이 힘든 극한 환경을 탐사하는 로봇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천년 이어진 장기 이식...'이식용' 부족 해결해야
2023.01.03
있는 약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을 개발했다. 이 면역억제제는 장기 수혜자의 몸에서
외부
로부터 온 장기에 대한 면역반응을 담당하는 세포가 분비하는 물질의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거부반응을 막는 역할을 한다. 면역억제제가 이식수술 성패에 아주 중요하다는 사실이 알려진 후 의학자들은 더 ... ...
생쥐에 이식한 인간 뇌,
외부
자극에 반응 순간 포착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30
못했다. 실험용 생쥐에게 이식된 인간의 뇌 유기체가 동일한 기능을 유지하면서
외부
자극에 반응하는지 증명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기존 뇌 촬영 기술로는 아주 짧은 시간 발생하는 자극반응을 장시간 관찰하는 것이 어려웠던 탓이다. 이전에도 인간의 뇌 오가노이드(장기유사체)를 쥐에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