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뉴스
"
생물학
"(으)로 총 2,357건 검색되었습니다.
"키 결정 8할은 유전자"...새 변이 1만2000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13
80%는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아이의 키는
생물학
적 부모의 평균 키를 이용해 예측하는데 여기에 유전적 변이를 더해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며 "키 성장과 관련한 의학적 문제를 빠르게 발견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편식 강요하는 무늬만 ‘맞춤형’ 교육과정 개편
2022.10.12
뜻이다. 현대 화학의 핵심인 화학열역학과 유기화학도 자취를 감춰버렸고, 현대
생물학
의 핵심인 진화론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완전히 퇴출되어 버렸다. 언론을 통해 떠들썩하게 알려졌던 ‘코딩’ 교육에 대한 의지도 실망스럽다. 중학교의 ‘과학/기술‧가정’이 ‘과학/기술‧가정/정보’로 ... ...
[의과학용어의 조건] ③ "'낯설다'와 '어렵다'는 별개...쉬워야 한다는 편견 버려야"
2022.10.07
상황을 만드는 사례가 됐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윤경식 경희대 의대 생화학분자
생물학
교실 교수(경희의과학연구원장)도 "의학에서는 해부학 용어의 많은 부분이 한글화됐다"며 "해부학을 가르치는 교수들은 한자어와 영어가 익숙한데 이를 다시 한글로 바꿔 설명하는데 되려 어려움을 ... ...
100년간 논쟁 이어진 화석 주인은 익룡 초기 조상
동아사이언스
l
2022.10.06
1907년 스코틀랜드 북동부 모레이셔 엘진 마을의 인근에서 화석 7개가 발굴됐다. 고
생물학
자들은 이 화석의 주인을 찾아내기 위해 노력했지만 화석은 내구성이 약한 사암으로 이뤄져 있고 훼손된 부분이 많아 해부학적 특징을 명확히 알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마이크로 컴퓨터단층촬영(CT)을 ... ...
[의과학용어의 조건] ② "노년층은 외래어에, 청년층은 한자어에 취약"
2022.10.06
익숙한 젊은이들 사이에 용어 이해에 대한 괴리가 크다. 윤경식 경희대 의대 생화학분자
생물학
교실 교수(경희의과학연구원장)는 "용어를 바꿀 때 한자를 쓰지 않는 세대가 등장했다는 사실을 감안해야 한다"며 "앞으로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할 사람은 젊은 세대이기 때문에 젊은층의 생각을 반영해야 ... ...
[노벨상 2022] 암 표적 찾는 신약에 기여...'클릭화학' 연구자 3인 화학상(종합)
2022.10.05
55) 미국 스탠포드대 교수. 스탠포드대 제공 클릭화학은 전 세계적으로 세포를 탐색하고
생물학
적 기작을 찾아내는 데 활용된다. 생물직교반응도 임상 시험 중인 암 신약 등에 활용할 수 있다. 김석희 교수는 "일례로 항체 신약을 개발하려면 단백질인 항체와 유기물(화합물)을 연결시키는 과정이 ... ...
[노벨상 2022] 화학상에 '클릭화학' 개척한 선구자 3명 영예(2보)
동아사이언스
l
2022.10.05
정상적 화학 반응을 방해하지 않고도 특정이 가능하다. 전세계적으로 세포를 탐색하고
생물학
적 과정을 추적하는 데 쓰이는 이유다.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는 1000만 스웨덴크로네(약13억4400만원)의 상금을 3등분해서 나눠 받는다. 시상식은 알프레드 노벨의 기일인 12월 10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 ...
[의과학용어의 조건] ① "용어에는 실마리가 있어야 한다"
2022.10.05
훨씬 쉬워진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용어 순화 작업을 하는 대한생화학분자
생물학
회 용어위원회에 참여해보니 국내 용어들이 일본 용어를 그대로 가져다 쓰는 경우가 많았다”며 “그러다 보니 용어의 느낌을 살리지 못했고 이해 못할 용어들이 늘어나게 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 ...
[노벨상 2022] 미라·고대인류 뼈 ‘덕후’ 첫 생리의학상 안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3
영향을 미치는 100여 개 유전자를 밝혀냈다"고 말했다. 스반테 페보는 최첨단 분자
생물학
적 기법을 고인류학에 도입했다는 점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는다. 김 교수는 "4~5만 년 전 뼈에서 DNA를 추출할 때는 DNA 자체도 잘 보존돼 있기 힘들고 박테리아 등 다른 DNA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는 ... ...
[노벨상 2022] "내 몸속에 네안데르탈인 유전자가"...생리의학상에 고유전체학 창시 스반테 페보
동아사이언스
l
2022.10.03
인류학 연구자다. 노벨 생리의학상에서 단독 수상자가 선정된 것도 6년 만이다. 2016년
생물학
자인 오스미 요시노리 일본 도쿄대 교수의 단독 수상 이후 한동안 공동수상자가 선정됐다. 정충원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인류학에서 노벨상을 받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 못했다"며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