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정
정정
캠퍼스
구내
개정
교열
보정
뉴스
"
교정
"(으)로 총 821건 검색되었습니다.
선수 유전자 통째로 바꾸는 ‘유전자 도핑’ 가능할까
2016.08.12
개발됐지만 사실 치료와 도핑은 종이 한 장 차이다. 실제로 운동선수들이 유전자를
교정
하고 경기장에 설 확률도 있는 셈이다. 다만 안정성 등이 확보되지 않아 아직 이 방법으로 도핑을 시도하는 운동선수를 찾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김진수 단장은 “현재 크리스퍼로 운동능력을 강화하는 ... ...
가장 오래 사는 척추동물은 ‘그린란드상어’
2016.08.12
북극해에 서식하면서 평균체온이 낮아졌다. 이 교수는 “실제로 시상하부의 유전자를
교정
해 온혈동물의 체온을 인위적으로 낮출 경우에 수명이 늘어난다”면서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브루노 콘티 교수팀은 이 같은 연구 결과를 2006년 ‘사이언스’에 발표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닐센 ... ...
국제학술지 표지논문 영광 뒤엔 화려한 그림 한 장
동아사이언스
l
2016.08.01
형태로 쌓아 올린 그림을 표지에 올릴 예정이다.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
교정
연구단장팀이 쓴 논문에 들어 있던 작은 원 그래프를 화려한 느낌이 나도록 바꾸어 그린 그림이다. 이영희 '큐브3D그래픽' 대표가 그린 국제학술지 표지그림. - 큐브3D그래픽 제공 이 그림은 국내에 몇 안 ... ...
손에는 핸드크림 듬뿍, 그런데 발에는 왜 안발라?
동아사이언스
l
2016.07.21
속담처럼 당장 놀라운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겠지만 위와 같은 방법을 따른다면 자세
교정
은 물론 티눈이나 물집, 족저근막염 등의 질병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손 관리만 하지말고 발 관리에도 신경 좀 쓰시지? 1년 365일 내내 핸드크림을 가지고 다니며 수시로 바르는 나를 ... ...
20년 전 오늘, 복제 양 ‘돌리’ 탄생
2016.07.04
서울대 의대 신장내과 교수는 “체세포 복제기술이 확립되기 전까지는 유전자
교정
이 매우 어려웠지만 이후에는 속도가 훨씬 빨라졌다”고 말했다. 동물 복제 실험을 통해 인류는 이전에는 몰랐던 많은 사실을 발견했다. 가령 같은 모체의 체세포로 얻은 복제 동물이라도 항상 똑같은 외모나 행동 ... ...
유도만능줄기세포 10주년을 맞이하며
2016.06.19
유도만능줄기세포 기술과 유전자 가위가 만나기도 했다. 유전자 가위는 특정 유전자를
교정
하는 기술로 특정 유전자를 오작동시켜 조직 발달 중 발생하는 질병을 없애거나 재현할 수 있다. 오늘날 유도만능줄기세포는 10년 전 처음 등장했을 때 만큼의 영광을 누리고 있을까. 각국의 연구자들이 ... ...
DNA만 알고 RNA는 모른다면, 아니 아니 아니되오~
2016.06.19
지속적인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술렌저 교수는 “mRNA는 유전자
교정
치료, 세포 재생 약물 등을 대체하게 될 것”이라며 “최근에는 mRNA 번역을 억제하거나 단백질을 조절하고 유전자를 재프로그래밍 하는 수단으로서 코딩되지 않은 RNA에 대한 임상적인 접근도 활발하다”고 ... ...
카푸치노 양, 삼겹살 2배 돼지…유전자 가위가 만든 신(新) 동물열전
2016.06.17
유전자 가위로 에이즈(AIDS·후천성면역결핍증)나 혈우병 환자의 유전자를
교정
하는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유전자 가위의 응용 가능성이 증명되면서 이 기술을 둘러싼 특허권 분쟁이 미국에서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는 지난해 4월 미국 특허청에 ... ...
新 유전자 가위로 돌연변이 쥐 생산 첫 성공
2016.06.07
공격하는 ‘독성 효과’가 거의 없어 생산력이 높다”며 “다양한 동물의 유전자를
교정
해 인간의 질병 연구나 신약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韓, GDP 대비 R&D 투자 비중 세계 1위지만 노벨상은 0”
2016.06.03
토론이 이뤄져야 하는데, 한국인 연구자들은 너무 조용하다는 것이다. 김진수 IBS 유전체
교정
연구단장(전 서울대 화학과 교수)은 “연구실에 새로운 학생이 들어오면 조용해지는 게 한국의 문화”라고 말했다. 시류에 흔들리는 한국의 과학기술 정책에 대해서도 강하게 꼬집었다. 올해 3월 구글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