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작"(으)로 총 3,811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내 첫 삼성전자 계약학과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에 가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시스템 설계까지 반도체를 제작하는 전 과정을 순서대로 배우기 때문이다. 반도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필요한 재료를 발굴해 소자를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이런 소자를 이용해 회로를 설계한다. 회로 설계는 아날로그 설계와 디지털 설계로 나뉜다. 아날로그 설계란 저항과 전압 등을 고려해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국제우주정거장의 첫 일본인 선장 와카타 고이치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환경에서 회전하는 이미지를 이용해 ‘스파이럴 톱(Spiral Top)’이라는 시각예술 작품을 제작했는가 하면, 국제우주정거장의 일본 우주실험 모듈인 키보(Kibo)에서 촬영한 달 사진을 음악으로 변환해 ‘달 악보(Moon Score)’를 만들기도 했다. 우주를 이용하는 것에는 한계가 없다는 사실을 다시금 깨닫게 ... ...
- 신을 쫓는 기계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작품을 오마주한 것으로, CMS의 구조적 아름다움을 단순화해 실크스크린 기법으로 제작했다. 첨단 과학 장비인 CMS는 과학과 예술의 경계를 허물어뜨리며 과학 장비 또한 예술적 아이콘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마이클 호치 CERN 연구원은 이 같은 과학-예술 융복합 작업으로 과학을 대중화하고 ... ...
- [로보트 재권V] 로봇, 1시간 움직이게 해보자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재권V에는 어떤 배터리를 달아야 할까요. 리튬 계열 배터리의 전압은 3.7V(볼트)의 배수로 제작됩니다. 7.4V, 11.1V, 14.8V, 18.5V, 22.2V 이런 식이지요. 공장에서는 3.7V 전압의 배터리만 생산하는데, 이것을 직렬로 연결하면 전압을 늘릴 수 있습니다.이 중에서 로보트 재권V가 사용할 전압부터 선택해 봅시다. ... ...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총 13만 개의 뉴런과 1억3000만 개 시냅스를 14나노미터(nm·1nm는 10억분의 1m) 선폭으로 제작했다. 지금까지 개발된 뉴로모픽 반도체 중 집적도가 가장 높다. 국내에서는 SK하이닉스가 2016년부터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과 함께 유기물질인 ‘강유전체(ferroelectrics)’를 이용해 인공신경망 반도체 소자를 ... ...
- 연금술에서 과학으로 '화학 혁명' 이끈 위대한 불꽃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프랑스 과학의 대표주자로, 유능한 관료로서도 명성이 높았던 인물이다. 그는 직접 제작한 실험 장비를 이용해 화학 반응 전후의 반응물과 생성물의 무게 변화를 정교하게 측정했다. 이어 계량을 통해 가열한 산화수은이 수은으로 변할 때 수은의 질량이 산화수은보다 줄어들며, 줄어든 ... ...
- 예쁜꼬마선충으로 ‘제6의 감각’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연구를 위해 예쁜꼬마선충의 머리 부위를 따라가며 영상을 찍는 현미경을 직접 제작했죠.”5월 3일 김규형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의 안내에 따라 연구실에 들어서니 책상 위에 놓인 현미경 두 대가 눈에 들어왔다.김 교수는 “예쁜꼬마선충의 몸길이는 약 1mm”라며 ... ...
- 수학으로 만든 장난감들의 사연 토이스토리4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적용해 입체 캐릭터를 자연스럽고 생생한 모습으로 만들어 냈어. 이 기술을 이용하면 제작 시간이 단축되는 건 물론이고, 캐릭터의 입꼬리를 어느 정도 올릴까를 고민할 수 있을 만큼 정교한 조작이 가능해. 픽사는 이 방법을 거의 모든 작업에 이용하고 있어. 이외에도 자연환경에서 반사되는 ... ...
- [프리미엄]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세계 연구팀은 이 자료를 토대로 커넥톰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더욱 완벽한 뇌 지도를 제작하고 뇌의 작동 비밀을 밝히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뇌세포 1억 개 중 지배적인 역할은 7%뿐조 교수팀은 공개된 확산텐서영상 자료 중 100명의 자료를 골라 1억 개에 이르는 방대한 뇌세포가 만드는 신경 ... ...
- 손에 붙이고, 옷에 심고 웨어러블 패션의 시작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신체 구조나 크기가 제각각이라는 점이다. 그래서 개인별로 기기를 매번 새로 설계하고 제작해야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사용자별로 쉽게 맞춤형 웨어러블을 만들 수는 없을까. 홍 교수팀은 우선 각 부품들을 센서와 회로, 전극, 발광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등 기능별로 묶었다. 그리고 이들을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