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기
그자신
글자모양
자체금융
금융
본래
d라이브러리
"
자체
"(으)로 총 5,134건 검색되었습니다.
KAIST 과학로켓 우리새-2호 하늘을 날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무게를 대폭 줄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로켓 회수는 KAIST 인공위성연구소에서
자체
개발한 회수 시스템을 사용했다. 과학로켓은 데이터 분석 등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만큼 발사 이후 데이터 수집을 위해 로켓을 반드시 회수해야 한다. 서정기 책임연구원은 “회수 시스템은 낙하산을 자동으로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조르당 곡선에서 정사각형을 찾아라! 내접 사각형 문제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그런데 조르당 곡선의 넓이는 얼마일까요? 곡선이 만드는 내부의 넓이가 아니라 곡선
자체
의 ‘넓이’ 말이에요. 곡선의 폭은 0이므로 당연히 0이 아닐까 생각할 겁니다. 하지만 조르당 곡선의 일종인 ‘오스굿 곡선’ 위의 점들을 다 모으면 상식과 다르게 넓이가 0보다 큽니다. 이렇게 ... ...
part 3. 최석정의 10차 라틴방진은 ‘아벨 군’?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아벨 군이 뭐냐고요? 아벨 군은 대수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에요. ‘군’이라는 개념
자체
가 고차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해 만든 것이거든요. 아시다시피 5차 이상의 방정식은 근의 공식이 존재하지 않아요. 노르웨이 수학자 닐스 헨리크 아벨이 5차 방정식의 근의 공식이 없다는 것을 증명했고,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연자의 ‘아모르파티’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음악으로 여겼던 트로트에 요즘 세대들의 음악인 전자음악이 가미됐으니, 그
자체
로 특이하며 곡을 향유할 연령층을 넓히기에 충분했습니다. 여기에 가수 김연자의 탄탄한 가창력과 무대매너로 세대를 가리지 않고 음악을 들은 모두를 팬으로 흡수해 버립니다. 인생을 꿰뚫어 보는듯한 가사는 곡이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 12] 버는 만큼 써라! FFP 규칙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먹기로 지출을 줄이는 방법으로 해결했다는 게 문제입니다. 구단들 사이의 수입 불균형
자체
를 해결하지 못하는 한 부자 구단들과 그렇지 못한 구단들의 차이가 점점 벌어질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큰 상황입니다. 무엇보다 돈이 얽혀있는 문제인 만큼 이미 부패한 이미지가 있는 국제축구연맹과 ...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비해 털에는 멜라닌이 듬성듬성 있거나 아예 없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멜라닌
자체
는 검은색이나 갈색을 띤다. 깃털이 화려한 이유가 단순히 멜라닌 색소가 많아서만은 아니라는 뜻이다. 이 선임연구원은 “멜라닌은 굴절률이 굉장히 큰 편”이라며 “멜라닌의 크기나 모양이 조금만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2] 왜 대학은 독서를 중요하게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만화책도 엄연히 책이다. 책을 집고 페이지를 넘기며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는 행위
자체
를 경험해볼 필요가 있다. 방학 중 시간이 된다면 가족과 함께 만화카페 나들이도 나쁘지 않겠다. 본인이 좋아하는 주제부터 시작하는 것도 좋다. 예를 들어 축구를 좋아하는 학생이라면 유명한 축구선수의 ... ...
‘영원’을 쫓는 수학자, 2018 대한수학회 학술상 최영주 포스텍 교수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조언해주신다면? 수학 강연이나 세미나가 있으면 꼭 찾아 들으세요. 예전에는 그런 기회
자체
가 적었지만 요즘에는 좋은 강연이 많아요. 이해하지 못해도 괜찮아요. 그래도 무조건 들으라고 권하고 싶어요. 처음에는 수학자와 이론의 이름만 기억하고, 다음엔 1분 정도 이해하고, 그 다음엔 1분이 1 ... ...
지하 1100m 땅속 실험실 최초 공개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다마 팀의 실험과 상반된 결과를 얻었지만, 암흑물질 검출 시설을 갖추는 것
자체
가 어려운 만큼 신호가 똑같이 나오지 않았다는 사실도 충분히 의미가 있다”며 “정선에 지하실험실이 새로 구축되면 암흑물질 탐색을 계속해 5년 내 암흑물질 미스터리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에 이르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나온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김 교수는 분석 툴도
자체
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김 교수는 “생물학 연구와 컴퓨터 데이터 처리 연구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우리 연구실의 강점”이라며 “단일 세포 연구에 좋은 성과가 나오면 암 환자별 맞춤 치료도 가능해질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