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류"(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용어 따라잡기] 로버·초음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행성의 지질구조나 토양, 대기 등을 탐사해요. 또, 생명체가 살았던 증거를 찾거나 향후 인류가 살 수 있는 지형을 탐색한답니다. 로버는 행성의 궤도를 돌며 멀리서 관측하는 궤도선과 달리 행성을 가까이서 세세하게 탐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또, 고정된 착륙선과 달리 다양한 지형을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국제우주정거장의 첫 일본인 선장 와카타 고이치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우주 유영, 우주선 운용, 러시아어 훈련 등을 계속해나갈 것”이라며 “향후 인류가 다시 한 번 달에 갈 때 국제적으로 협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가 우주인으로서도 행정가로서도 성공할 수 있었던 비결이 뭘까. 그는 과거 비행에서 브라이언 더피 같은 멋진 선장들과 함께 일하면서 ... ...
- [Go!Go!학자]곳곳에 숨겨진 유적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이 학설을 만든 학자의 이름을 따서 ‘모비우스 학설’이라고 불렀죠. 여기에는 유럽 인류가 더 우월하다는 인종차별적인 시각도 섞여 있었어요. 그런데 전곡리에서 발견된 아슐리안형 주먹도끼가 모비우스 학설을 와르르 무너뜨린 거예요. 보웬의 발견이 고고학의 지형도를 바꾼 거지요.비슷한 ... ...
- 신을 쫓는 기계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인류 역사상 최대의 과학 실험장치로 꼽히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 스위스 제네바에 위치한 LHC는 2012년 ‘신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를 최초로 발견하면서 전 세계에 자신의 존재를 각인시켰다. LHC는 지하 175m 깊이에 둘레 27km인 원형 터널 안에 놓여 있다. ... ...
- 식물학자의 한국 우주인 도전기 한국형 SF소설 ‘중력’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영화 ‘바이센테니얼 맨’) ‘더 이상 인간이 살 수 없게 오염된 지구를 떠나 인류는 다른 행성으로 이주할 수 있을까?’(영화 ‘인터스텔라’) 같은 SF의 질문은 적어도 한국에서 한국인이 답할 만한 문제는 아니다. 우주인과 소통을 하거나, 우주 침략자에 맞서 싸우거나, 로봇과 사랑하는 등의 ... ...
- [수학 THE LOVE] 수학에 지친 그대에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구조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감각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프랑스의 유명한 인류학자 클로드 레비 스트로스는 구조주의 창시자였는데요. 인간관계, 전통, 신화 등을 수학적인 구조로 분석해 문화 시스템을 지배하는 일반 법칙을 이해하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철학의 경우도 인식론에서 ... ...
- 연금술에서 과학으로 '화학 혁명' 이끈 위대한 불꽃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인간에게 화학이라는 학문을 선물했으며, 해저와 우주도 허락했다. 산소야말로 생명과 인류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친 세상을 바꾼 위대한 원소라고 할 수 있겠다. 글. 김경택 인하대 고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캐나다 토론토대에서 고분자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삼성전자, 네덜란드 ... ...
- [세상을 바꾼 원소] 수소, 미래를 여는 '작은 거인'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액체 수소와 액체 산소를 연료로 썼다. 수소가 없었다면 하늘과 우주를 향한 인류의 도전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연료전지부터 핵융합까지 최근 수소는 미래 에너지원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화석연료는 매장량이 한정돼 있고 연소 과정에서 대기오염과 지구온난화를 촉발하는 기체를 ... ...
- 세계 첫 민간 달 착륙선 '베레시트' 실패가 남긴 것과학동아 l2019년 05호
- 통신망 등이 대표적이다. 달 착륙은 궤도 진입보다 한 단계 더 어렵다. 베레시트는 인류가 달에 첫 발을 디뎠던 용암 평원인 ‘고요의 바다’에 착륙할 예정이었다. 베레시트는 ‘소프트 랜딩’을 목표로 삼았지만, 애초에 목적지에 정확히 착륙할 용도로 개발된 탐사선은 아니었다. 앞서 언급했듯 ... ...
- 화학 세계의 탐험지도, 원소주기율표 대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비밀이 다 들어있단다! 앞으로 계속 마주칠 원소들이니 잘 봐 두렴!‘원소주기율표’는 인류가 지금까지 발견한 118가지의 원소를 특성에 따라 배열한 표를 말해요. 가장 왼쪽 위에 있는 1번 원소인 수소(H)에서 시작해서 오른쪽 아래로 갈수록 차례로 번호가 큰 원소가 나오지요. 이 번호는 ‘원자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