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머니
모친
맘
마미
어머님
엄니
어무이
d라이브러리
"
엄마
"(으)로 총 976건 검색되었습니다.
너에게 주고 싶은 달콤함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여자가 쓴맛에 더 민감하도록 진화했을 거라고 추측하고 있어. 맛까지 다르게 느끼는
엄마
의 사랑이 정말 대단해.설탕은 어떻게 만드는 걸까?설탕은 순수하게 식물에서 얻는 천연 당분이야. 사탕수수나 사탕무의 즙에서 불순물을 걸러내고 하얀 알갱이로 만들지. 사탕수수나 사탕무는 주로 연평균 ... ...
PART1. 공부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안 그래도 재미 없는 공부에
엄마
의 잔소리까지 들으면 스트레스가 엄청 쌓이지만
엄마
는 조그만 게 무슨 스트레스냐며 또 잔소리를 하셔. 휴~, 어쩌겠어. 그냥 참고 공부해야지 뭐.자~, 이제 어떤 생각이 들어? 아마 많은 친구들이 자기가 공부하는거랑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거야. 그런데…, ... ...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인형을 거꾸로 매단다. 하지만 몇 개를 거꾸로 매달아도 비의 계절은 끝나고 결국
엄마
는 6주간의 즐거운 추억만 남긴 채 아카이브 별로 떠나버린다.일본 사람들은 비의 계절, 즉 장마가 빨리 끝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소년이 영화에서 거꾸로 걸었던 인형을 바로 걸어둔다. ‘테루테루보우즈’라고 ... ...
거꾸로 솟는 고드름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 어머님 고정하세요~.”역고드름 현상을 멋지게 과학적으로 해명해 준 닥터고글. 과연
엄마
와 아들의 평화로운 관계도 회복시킬 수 있을까? 닥터고글 화이팅~ ... ...
다시 우뚝 선 우리 공룡 천년부경룡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이야기안녕? 난 천년부경룡이야. 영어로는 부경고사우루스 밀레니엄이지. 나는 둘리
엄마
처럼 목이 길고, 몸길이가 15~20m로 큰 용각류 초식 공룡이란다. 1억 4000만 년 전 백악기에 한반도를 뛰어놀며 살았어.그러던 백악기의 어느 날, 난 세상을 떠났어. 죽은 내 몸은 흙이 곱게 덮어 주었지. 그리고 난 ... ...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북쪽의 추운 겨울을 피해 여기까지 날아왔어. 태안이 겨울을 나기에는 최고라고
엄마
가 얘기해 주셨거든. 도대체 어떤 곳이기에 칭찬이 자자한 걸까? 한눈에 바라본 태안우선 하늘에서 태안을 내려다보니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건 구불구불한 해안선! 에헴! 아는 체 좀 해 볼까? 태안은 동쪽을 뺀 ... ...
영화보며 눈물 흘리게 하는 거울뉴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불어 식힌다. 그리고 아이를 한번 보고 난 뒤 스푼을 자기 입으로 가져간다. ‘뭐 저런
엄마
가 있어?’ 정겨운 눈빛으로 모자를 지켜보던 웨이터는 뜻밖의 광경에 깜짝 놀란다. “놀람을 통해 우리는 그 직전의 순간에 우리가 어떤 기대를 하고 있었는지 알 수 있다.” 미국 하버드대 심리학과 대니얼 ... ...
당뇨병과 간질병이 '사랑'받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배우 메릴 스트립이 간질병을 앓는 자식을 위해 케톤식이법을 발명하는 열혈
엄마
의 역할을 훌륭히 소화하기도 했다. 진피에 염색되는 문신마지막으로 백장미의 매력을 드러내는 문신을 살펴보자. 문신은 피부에 상처를 만들고 색소를 넣어 그림이나 문자를 새기는 것을 말한다. 이미 기원전 3000년 ... ...
사랑과 절망이 낳은 명작 모딜리아니展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통해 당시의 사회상까지 짐작할 수 있다. 열여섯의 나이에 모딜리아니를 만나 한 아이의
엄마
가 됐지만 잔의 정체성은 여전히 사춘기 소녀시절에 머물고 있었다. 아이에 대한 모성보다는 열병 같은 사랑에 휘둘렸을지도 모른다. 건강이 악화된 모딜리아니가 자선병원에 입원했을 때 잔은 근처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그 순간 수심 7m의 바다가 두렵기보다는 포근하게 안아주는 듯한 느낌이 들었죠. 마치
엄마
품처럼.” 제주도 출신인 고 교수는 어려서부터 바다와 더불어 살았고 자연스레 해양생물을 연구하게 됐다. 하지만 해양생물학자가 된 뒤 힘든 고비도 많았다. 임신 7개월 때도 억척스럽게 채집을 나갔고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