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해
불이익
침해
위험
가해
희생
분실
d라이브러리
"
손실
"(으)로 총 813건 검색되었습니다.
통신에 활용되는 빛의 「유도탄」 광섬유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깨끗한 분위기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또 고(高) 순도 재료를 사용, 불순물에 의한 빛의
손실
을 최소화하여야 광신호 전달가능거리를 최대로 할 수 있다. 또 정밀하게 광섬유 직경을 조절, 광유도상의 산란과 분산현상을 극소화해야만 한다. 그래야 광신호 전달시 신호모양에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 ...
환경파괴 없는 남극개발에 나설 때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헬리콥터 두대가 탑재돼 있었는데 침몰하면서 이륙을 못해 모두 1억달러 이상의 경제적
손실
을 입었다. 인간의 발길이 드문 남극의 자연환경은 순간이라도 방심하면 엄청난 재앙을 초래하고 또 그 회복이 상상밖으로 느리다.88년 6월 뉴질랜드 웰링톤에서는 남극지하자원개발방안이 합의됐다. 이 ... ...
PARTⅠ날로 용도가 확대되는 태양열 발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에너지 절약개념은 건물의 지붕이나 벽에 충분한 단열재를 사용, 실내의 열이 외부로
손실
되는 것을 최대한 막아주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것을 역으로 생각하면 태양열을 차단, 외부의 열을 이용할 수 없게 한 결과를 초래했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지붕구조 자체가 집열기 역할을 할 수 있는 ... ...
인간의 수명한계는 115~120년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통념은 유전인자계에 영향을 주는 환경인자에 의해서 유전인자의 손상, 재생능력의
손실
, 단백질합성의 오류 등이 발생해서 노화가 생긴다는 것. 따라서 노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노화에 관계하는 유전인자계를 규명해서 유전인자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인자를 제거해줌으로써 사람이 ... ...
장거리전송 가능한 광섬유 증폭기개발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5~10μ)까지 광통신영역을 늘이려는 연구도 진행중이다. 이러한 경향은 대부분 빛의
손실
을 줄이고 장거리통신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광섬유증폭기술도 이러한 측면에서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에서 활발히 연구가 진행중이지만 아직 실용화된 사례는 없다. 최박사팀이 개발한 증폭기도 아직 ... ...
인공장기 시대를 여는 신소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공동으로 인공고관절연구를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화상에 의한 피부
손실
을 해결하기 위한 인공피부도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한양대 공업화학과 김계용교수팀은 최근 젤라틴과 키틴을 합성, 사람의 피부와 유사한 인공피부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이 인공피부는 화상이나 ... ...
중국의 과학기술 정책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걸쳐 진행된 문화대혁명의 10년간은 생산과 과학연구가 거의 정체되었고 또 파괴되어
손실
이 대단히 컸다. 그러나 그 뒤 지금까지의 10여년간의 회복기를 지나 바야흐로 도약의 궤도에 오르려 하고 있다.과학기술과 경제발전을 연결지금은 과학기술을 국가의 경제발전에 연결시키는 것을 제일 ... ...
국내에 암약하는 바이러스 프로그램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있는 결과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심각할 수 있다. 즉 자체가 가져오는 데이터의
손실
도 크겠지만 그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후유증이 더 문제인 것이다. 그 후유증이란 프로그램의 개발지연, 경비상승 및 이로 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컴퓨터 보급의 둔화이다.컴퓨터 바이러스가 만연된 ... ...
알칼리성 이온음료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모두 골격근과 심근의 수축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발한을 통한 ${Ca}^{++}$과 ${Mg}^{++}$의
손실
은 실제로는 매우 적은 양에 불과하지만, 식이적 결핍이 장기간의 훈련과 병행될 때 근육피로와 심장리듬의 파괴가 일어날 수도 있을 것이다.”이렇게 스포츠음료는 과격하게 운동을 하거나 높은 고열 ... ...
말썽많던 KAIST 연구부·학사부로 갈라진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자신의 전공과는 관련없이 2~3년의 공백을 가져야 한다면 이는 국가적으로 크나큰
손실
일 수밖에 없다.연구자율화를 외치면서 새로 부활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고급인력 양성과 연구중심대학이라는 본연의 모습을 되찾기 위해 새출발하는 한국과학원(KAIS)이 제길을 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