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박
반론
반박
논쟁
쟁론
공박
말다툼
d라이브러리
"
논란
"(으)로 총 1,279건 검색되었습니다.
똑똑한 전력망 스마트 그리드가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쓰는 가전제품의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는 사실은 이 기술이 정착되는 과정에서
논란
거리가 될 소지가 높다.만약 이 같은 특징을 두고‘빅 브라더’시비가 일면 스마트 그리드는 정착되기도 전에 소비자에게 외면당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이미 스마트 그리드는 가전제품 업계의 중요한 테마로 ... ...
로드킬, 환경 오염 없는 경춘고속도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산을 관통하는 터널 구간이 무려 21곳이나 되는 만큼 착공 초기부터 환경파괴에 대한
논란
이 끊이지 않았다. 그래서 터널을 만들 때 굴착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소일 네일링(soil-nailing)’ 공법을 썼다.일반적으로 터널의 안전성을 높이려면 반원형 터널의 폭을 넓혀 옆으로 길쭉한 모양을 ... ...
얼굴 없는 범인 잡는 심리수사기법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힘이 생기고 시공을 초월하는 능력이 부여되지는 않지만, 현실 속에서도 빙의와 관련된
논란
은 상당히 많이 일어난다.어린 소녀가 갑자기 돌아가신 할머니 목소리를 내거나 전혀 다른 인물이 돼 이상한 행동을 하는 현상들. 이런 현상은 비단 우리나라나 동양에 국한된 일은 아니다. 미국이나 영국 ... ...
북한 로켓 발사 소동 위성인가, 미사일인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이 로켓은 발사되는 순간까지도 미사일인지 위성발사체인지 그 정체가 불분명해 많은
논란
을 불러일으켰답니다. 그런데 이상하지 않나요? 하나의 로켓을 놓고 어떤 사람은 미사일이라고 하고, 또다른 사람은 위성발사체라고 주장하다니요. 무기인 미사일과 위성을 나르는 발사체가 서로 헷갈릴 ... ...
생명의 책, DNA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유전자의 무한한 가능성과 위험성이 널리 알려졌다. 이번 호에는 DNA 연구가 많은
논란
속에 진행되는 이유와 그 논리를 살펴보자. [제시문] 최근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해 새로운 유전자를 가진 생물을 만드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여기에는 DNA를 절단하는 단백질인 ‘제한 효소’와 ... ...
품위 있게 죽을 권리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첫 합법적 안락사로 생을 마감한 바 있다.그러나 그 뒤에도 존엄사의 정당성에 대한
논란
이 끊이지 않았다. 결국 미 연방 대법원은 2006년 ‘존엄사는 각 주별로 결정할 수 있다’는 판결을 내렸다. 현재 법률로 존엄사를 인정하는 곳은 오리건 주와 워싱턴 주 2곳뿐이지만, 인공호흡기 제거행위는 40개 ... ...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된 비둘기의 굴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집비둘기가 많아지면서 사람들 사이에서 비둘기가 가축이냐 야생동물이냐를 두고
논란
이 생겼다. 농림수산식품부는 더 이상 가축이 아니라고 주장했고, 환경부는 산이나 강이 아니라 도시에 살기 때문에 야생동물이 아니라는 입장을 고집했다.지난해 11월 법제처는 “‘야생동물’은 인간이 소유해 ... ...
400년 된 무덤에서 되살아난 금빛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이성계가 죽은 뒤에도 왕릉을 석실묘 대신 회격묘로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
이 일었다. 이후 회격묘는 점차 석실묘를 대체하기 시작해 조선 중기에 이르러 사대부가에서 크게 유행하기 시작했다.행주 기 씨의 직금단 치마, 금빛 찾기까지회격묘 덕분에 행주 기 씨의 직금단 치마와 ... ...
하늘에서 내리는 생명수 ‘빗물’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지구를 살리는 빗물의 비밀 |한무영 지음 | 그물코|161쪽 | 1만 원 최근 물에 대한
논란
이 많다. 우리나라가 유엔이 정한 물 부족 국가라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4대강 살리기 사업의 목적도 부족한 물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슬그머니 바뀌고 있다. 물에 관한 국민들의 생각도 극명히 갈린다. 일부는 ... ...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우리 곁에 산 원시 인류올해 ‘네이처’ 5월 7일자에는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에 대한
논란
을 가라앉힐 논문 2편이 나란히 실렸다. 미국 스토니브룩대 해부과학과 윌리엄 융어스 교수팀이 LB1의 발뼈를 넓적다리뼈(대퇴골)와 비교한 결과 발 길이와 넓적다리뼈 길이의 비가 0.7로 0.54인 현생인류보다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