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별
특유
특수
독특
특이
본래
타고남
d라이브러리
"
고유
"(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1. 대한민국 최고과학자의 몰락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수를 늘리기 위한 방법이다.DNA지문검사 : 사람은 누구나 자신만의
고유
한 유전자(DNA)를 갖고 있다. 세포에서 DNA를 추출해 이 유전정보를 파형으로 나타낸 것이 ‘DNA지문’이다. 유전정보가 다르므로 파형도 사람마다 다르게 나온다.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에 사용된 체세포와 ... ...
PART1 과학잡지가 바꾼 세상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모습, 피어리의 극지방 사진을 ‘구경’하면서 다른 대륙과 다른 인종, 자연에 대한
고유
한 이미지, 위대한 대륙 미국과 미국인에 대한 자부심을 함께 키워갔다. 현재 미국의 수많은 학교에서 이 잡지가 만든 각종 자료를 수업에 사용하는 등 과학 교육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잡지가 각국에 널리 ... ...
겨울철 불청객 감기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제외하면 한약은 충분히 빠른 효과를 나타낸다고 한다.한약을 처방할 때는 한의학
고유
의 진찰 방법에 따라 적합한 한약재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감기에 걸린 뒤 시간에 따른 환자의 증상 변화와 개인의 체질을 고려해 각기 다른 처방을 내린다.몸살로 머리와 온몸이 아프고 열과 오한이 난다면 ... ...
우리 문화재를 지킬 피리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9호
따라 음파가 진동하는 횟수, 즉 진동수가 달라서 그렇답니다. 플라스틱 선들도
고유
의 진동수를 가지고 있는데요. 목소리의 진동수와 같은 진동수를 가진 플라스틱 선이 떨리게 되는 것이지요. 이러한 현상을 바로‘공명’이라고 한답니다. 높은 소리일수록 짧은 플라스틱 선이 낮은 소리일수록 긴 ... ...
금성의 베일 벗길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기록하는 지진계 ① 수평동지진계 : 7kg의 추를 두 철사줄로 매단 것을 주체로 하며
고유
주기는 12~25s 정도② 상하동지진계 : 비헤르트지진계와 마찬가지 원리로서 크기가 훨씬 작다 골수의 백혈구 생성조직이 무제한으로 증식하는 질환 소위 혈액의 암(癌)이며 골수에서 유약한 세포가 계속 생성되어 ... ...
디지털 지휘봉과 뮤지컬 재킷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하지만 수동 입력 세션에서는 컴퓨터가 사람의 역할을 대신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고유
의 역할을 그대로 하고 있다. 디지털 지휘봉에서 컴퓨터가 사람의 악기 연주를 좀더 정확하게 하는 것이라면 수동 입력 세션에서는 컴퓨터가 실제에서는 불가능한 디지털의 세계를 그리고 있고, 더욱이 실제 ... ...
시리우스 커플의 빛나는 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즉 시리우스는 일정한 방향의
고유
운동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마치 별이 흔들리는 듯
고유
운동이 변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베셀은 이 현상이 밝은 별 주위에 어두운 별이 있어 밝은 별을 흔들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즉 밝은 별이 어두운 별과의 중심을 기준으로 돌고 있기 때문에 이런 ... ...
중국 두 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6호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경우, 섭동에 의해 두 비섭동계의
고유
상태 전이의 중간상태로서 섞여 들어오는 다른
고유
상태 예를 들어 전자와 전자기장의 계에 이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도입하면 광자나 전자의 수를 달리하는 여러 가지 상태가 중간상태로서 가능하다 이 때 “전자는 광자를 가상적으로 방출 흡수하고 ... ...
1. 레이저로 측정 한계 극복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표준자 대신 새로운 미터 정의를 채택했다. 즉 빛의 파장을 이용해 변하지 않는 원자의
고유
주파수를 측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미터를 정의한 것이다. 1 미터는 크립톤원자 특정 분광선 파장의 1 650 763.73 배로 정의됐다.1967년에 세슘원자 공명 주파수의 9 192 631 770주기 지속시간으로 1 초가 정의됐다. ... ...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허블우주망원경 차세대 적외선우주망원경 지상에 들어오는 별빛은 대기층을 통과하면서
고유
한 성질을 잃게 된다. 또 특정 파장을 가진 빛들은 대기 중에서 흡수되어 아예 들어오지 못한다. 결국 선명한 천체 사진을 찍기 어렵다는 뜻. 그래서 만든 것이 바로 허블우주망원경이다. 하지만 15년이나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