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등학교"(으)로 총 2,1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 컴퓨터공학”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합니다. 자기소개서에 적은 교내활동을 확인하는 질문인 경우가 많죠. 예를 들어 저는 고등학교 때 ‘과학탐구 토론대회’라는 교내 대회에 나갔는데, 팀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어떻게 팀에서 협동을 이끌어냈는지 등의 질문을 받았습니다. 실제로 본인이 적극적으로 참여한 활동이라면 그다지 ... ...
- INTRO. 21세기 파브르 곤충기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곤충학자파브르는 대학이나 연구소에 소속된 정식 학자가 아니었다. 19살 때부터 중·고등학교 선생님으로 학생들을 가르치며 생계를 유지했고, 수업이 없는 날에 곤충을 연구했다. 지금으로 치면 아마추어 곤충학자인 셈이다. 종종 가르치는 학생들을 데리고 함께 곤충을 관찰하기도 했다.인생 ... ...
- [과학뉴스] 시내 공립고등학교에 망원경이 있는 이유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수원 망포고 옥상에는 ‘별볼일’ 천문대가 있다. 무려 12억6000만 원을 들여 지은, 전국에서 가장 큰 교내천문대다. 매주 3~4회씩 경기도 일대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무료 천체관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올해는 8월부터 12월까지 일정이 꽉 차 있는데, 48회에 걸쳐 학생 1000여 명이 이곳을 다녀갈 예 ... ...
- 논문에서… 내 이름이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생물학 · 의학분야 연구자들의 온라인 커뮤니티인 ‘생물학연구정보센터(이하 브릭)’가 지난 7월 이용자 116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논문 저자권 관련 진단’ 설문조사를 보자. 전체 답변자의 48%가 “최근 3년간 저자 순서교체나 저자 끼워넣기 등 연구 부정행위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바로 옆 ...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프랑스에 파브르 곤충기가 있다면, 한국에는 정부희 곤충기가 있다.’ 정부희 고려대 한국곤충연구소 박사가 버릇처럼 하는 이야기다. 그녀는 2010년 ‘곤충의 밥상’을 시작으로 매년 곤충기를 펴내고 있다. 현재 5권까지 나왔다. 파브르가 곤충기를 집필한 것보다 두 배는 빠른 속도다. 심지어 수 ... ...
- [Hot Issue] 조선시대에도 5차 방정식을 풀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방법이다. 방정식의 각 항을 세로로 배열하고 숫자를 나뭇가지로 표현한 뒤 현재 고등학교 과정인수분해 단원에서 나오는 조립제법의 원리로 해를 구한다.연필로 기록을 하는 형태가 아니라 나뭇가지를 옮겨서 계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숫자를 여러 번쓰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김 교수는 ... ...
- [Life & Tech] 여름이 추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절레절레 고개를 흔듭니다. “휴…. 누나도 참. 이럴 때 꼭 나이 먹은걸 티 낸다니까. 고등학교 졸업한 지 얼마 안된 내가 알려주지!” 바로 그 때, 안내자의 목소리가 동굴을 울립니다. “석회암 지대에 이산화탄소가 섞인 빗물이 흘러들면, 석회암의 주성분인 탄산칼슘이 반응해 탄산수소칼슘으로 ... ...
- 수학은 죄가 없다 수학 교실을 재밌게!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분석을 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박제남 인하대 수학교육과 교수도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 이공계의 경우 대학교까지 유기적으로 연결된 수학의 일부만을 비교해 우리나라가 많다고 주장하는 것은 결론을 정해 놓고 조사한 것과 다름없다”고 말했다.난이도가 아니라 남보다 앞서야 하는 게 ... ...
- [참여] 수학의 신대륙을 찾아서 신일고 Math Pioneer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어떻게 문제에 접근하는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어 새롭다. 류 선생님은 “고등학교 수학을 막 시작하는 1학년들에게는 혼자서라도 꼭 수학독서활동을 해보길 추천한다”고 말했다.어려운 수학을 쉽고 재미있게매스 파이오니어는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수학문화축전’ 등 여러 수학 ... ...
- 유명 학자 연구도 비판하는 정신 필요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항상 비판적인 시각으로 면면을 살펴야 합니다. 어떤 과학도 약점이 있기 마련이에요. 그 약점을 정확히 파악해 해결하는 게 미래의 생명과학자인 여러분이 앞으로 해야 할 일입니다.” 재생의학과 줄기세포의 미래에 대해 강연을 하던 이수홍 차의과학대 의생명과학과 교수가 말했다. 7월 28일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