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지식들이 오늘날 공학, 혹은 기술학의 원천이다. 기술은 간단히 정의해보면 '생존을 위한
물질
의 생산방법에 관한 지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장인들의 경험을 통해 발전해 오다가 근대과학의 정립과 더불어 하나의 학문으로서 체계를 갖추게 된다.신분이 낮은 장인들과 직인들에 의해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엄청나게 작다는데 있다. 최근에 행한 은하들의 관측을 통해 알려진 에너지밀도는(
물질
밀도×${C}^{2}$, C는 광속도)는 ${10}^{-29}$g/㎤ 이하다. 따라서 진공의 에너지밀도가 달리 관측되지 않으므로 역시 이 값을 넘을 수 없다.그런데 양자물리학에 따르면 진공의 에너지밀도는 우리가 생각하는 가상적 ... ...
아인슈타인은 역시 옳았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필요로 하거나 제5의 힘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과학자들이 확인하고 싶은 점은 반
물질
의 입자들이 실제로 떨어지고 실제로 인력에 반응하는 가이다. 그래야만 그들은 확신을 갖게될 것이다.그러나 80년 가까이 아인슈타인은 단 한번도 틀리다고 입증된 적이 없으며, 나 역시 앞로도 그러한 일은 ... ...
천왕성 Uranus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두번째로 질량이 큰 오베론(oberon)은 수많은 충돌크레이터로 덮여있고, 여기서 흘러나온
물질
로 이루어진 밝은 줄이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으로 큰 산이 있는데 높이가 5km나 된다.타이타니아(Titania)는 가장 큰 위성인데 표면은 수없이 많은 충돌크레이터로 덮여 있다. 또한 이 위성에는 거대한 ... ...
1 하이테크기술 완전제패를 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IBM의 초전도성
물질
을 재현한 이래 보다 높은 온도에서 초전도현상을 보이는
물질
을 찾기에 부심하고 있다.아무튼 초전도체의 상품화에도 일본이 한발 앞서 갈 것으로 보이는데, 이 또한 외국의 기초연구를 들여와 재빠르고 훌륭하게 상품화한 좋은 예가 될 것이다.초전도체 연구의 가장 가시적인 ... ...
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업적은 매혹입자(charmed particle)에 관한 것이다.캘리포니아공대의 겔만교수는 모든
물질
과 소립자는 u(업)쿼크 d(다운)쿼크 그리고 전자라는 기본입자로 구성돼있다는 '쿼크가설'을 제안했다. 그후 하버드대학의 글래쇼 교수는 두가지 쿼크외에 c쿼트라는 새로운 쿼크가 있어야한다고 주장했다.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유영제 교수는 공학의 특성을 '유용성과 경제성'으로 설명한다. "과학의 경우 그 목적은
물질
세계의 근본질서를 찾는 것이다. 물론 그런과정에서 실생활에 유용하게 되는 어떤 발견을 이루어내는 경우도 있지만 유용성 자체가 목적이 돼서 연구를 시작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비해 공학은 쓸모와 ... ...
'볼보'를 만드는 끈기와 정확성의 과학전통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선정하는 것이다. 만일 원자력발전소에 지진이 일어나 원자로가 깨지거나 기울면 방사능
물질
이 누출돼 엄청난 피해를 일으키기 때문이다.그 당시 국내에는 지진학을 전공한 전문가가 없었으므로 응용에 선행돼야 할 기초연구가 되어있지 않았고 기본적인 자료수집도 안된 상태에서 예정된 원자력 ... ...
타임머신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자연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확률이 증가하는 방향으로만 진행한다는 것을 뜻한다.
물질
이 질서있게 배열돼 있는 것보다는 무질서한 것이 확률이 높다. 따라서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은 자연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더욱 무질서한 쪽으로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법칙이라고 할 수 있다.잉크가 ... ...
100번 죽이고 101번 고쳐 살고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많은 세균들은 베타락타마제를 생성하는등 끊임없이 변이를 일으켜서 항생제나 항균
물질
을 무력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항생제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셋째는 항균효과가 높아야 하고 독성과 부작용이 적어야 한다. 최근에 각광을 받는 퀴놀론계 항생제는 매우 높은 항균력을 ... ...
이전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
7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