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소리가 매력적이면 성생활도 왕성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밝혔다.연구팀은 1백49명의
대학
생을 대상으로 자신들의 목소리를 녹음하게 한 뒤 다른
대학
생들이 그들의 얼굴을 보지 않은 채 목소리에 대한 매력도를 평가하도록 했다. 또 목소리를 녹음한 학생들이 자신의 성생활과 관련된 익명의 질문서를 작성하게 했다.연구 결과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조건에서 이처럼 환상적인 모습을 그려낸다. 이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 폴리머를 전공한
대학
원생 싱 수는 얇은 막의 폴리스티렌에 전기를 걸었다고 한다. 그러자 얇은 막의 표면에 불규칙한 모양이 증폭되면서 이런 형상이 나타났다. 광학현미경으로 찍었다. 이 사진은 미 과학재단이 지원하는,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공동연구 위력 증명한 유비퀴틴이스라엘로 귀국한 허쉬코 박사 연구실에 1977년
대학
원생이 들어왔다. 이 학생이 바로 시카노버 박사. 이때부터 두 사람의 기나긴 인연이 시작된 셈이다. 이들의 연구 목표는 여전히 단백질 분해에 ATP가 필요한 이유를 규명하는 것이었다.미국에서부터 간세포추출물을 ... ...
X선 회절분석기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부산분소 나노표면분석팀 조채룡 박사의 첫마디다. 그는 지난 10월 2일부터
대학
생 인턴 프로그램인 ‘박막과 분말소재의 결정성 분석에 대한 연구’를 지도하고 있다. 결정성 분석에 사용되는 장비는 바로 X선 회절분석기(XRD, X-Ray Diffractometer)다.XRD가 물질의 결정성 분석에 사용되는 이유는 뭘까. ... ...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둘은 강력의 점근자유성을 보이는 이론을 찾기 위해 연구 중이었다. 하버드대
대학
원생이었던 폴리처 역시 이들과 독립적으로 동일한 문제에 심취해 있었다.그 해 여름 이들은 강력의 점근자유성을 보이는 이론이 딱 하나 있음을 동시에 밝혀냈고, 이를 물리학 저널 ‘피지컬 리뷰 레터스’ 에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설립된 생명공학기업인 알나이람(Alnylam)뿐 아니라 시르나사를 비롯한 많은 제약회사와
대학
연구진들이 여러 종류의 암과 에이즈 바이러스, 간염 바이러스, 류마티스성 관절염 등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siRNA를 개발 중에 있다.식물학자들 역시 RNA 간섭 기술에 적극적이다. RNA 간섭 기술을 식물에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지금도 문 박사는 “한국에서 태어난 것, 연구소에 들어온 것 모두 행운”이라며 “만약
대학
에 있었다면 엄두도 못냈을 일도 연구소에 몸담고 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또한번 환하게 웃는다.연구원 최고 연봉의 주인공2003년 문 박사에게 외국 과학자가 부러워했다는 우리나라 연구여건을 십분 ... ...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연료전지보통 여러개의 연료전지가 겹겹이 쌓여있는 모습이다. (+)극과 (-)극 사이에 수소이온이 통과하는 전해질막(PEM)이 있다.최근 주목받는 원자력수소제조 ... 등지에서 화학을 공부하고 89년 하이델베르크
대학
연구소 소장대리, 90년 프라이부르크
대학
화학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19 ... ...
정보통신부 장관 진대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탄탄한 덕에 남들이 못 푸는 문제를 향해 늘 과감하게 도전할 수 있었다. 진 장관이
대학
원을 다니던 1975년 미국에서 전자공학 전문가로 활동하던 김충기 박사가 한국과학원(현재 KAIST) 교수로 부임해오면서 서울대에 강의를 나왔다. 진 장관은 김충기 교수로부터 미국의 최신 반도체 연구 동향을 ... ...
서울대 화학부 백명현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교수의 어려움을 가장 알아주는 사람은 남편이자 서울대 화학부 동료인 서정헌 교수다.
대학
동기였던 그들은 졸업과 동시에 결혼을 했고 함께 유학을 떠났다.서 교수는 힘든 유학생활 동안 그의 곁을 든든히 지켜줬다. 지금 까지도 때론 부부로 때론 동료로 때론 경쟁자로 학문과 인생을 같이 하고 ... ...
이전
718
719
720
721
722
723
724
725
7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