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우주는 눈을 감을 때 더 잘 보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때 눈은 아무 쓸모가 없다. 이렇게 제한된 정보만을 볼 수 있는 우리 눈으로 우주와 삶
전
체를 지각할 수 있을까.난 가끔 내 학생들에게 말한다. 최소한 내 우주는 눈을 감을 때 더 잘 보인다고. 우주가 어떻게 시작됐을까. 어떻게 뜨거운 초기우주에서 물질의 근원이 만들어졌을까. 식어가는 우주 ... ...
“외국 학생들이 유학 오는 대학으로 발
전
할 것”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준비의 일환이다.한단계 더나아가 기초과학을 응용과학으로 발
전
시키고 이를 비즈니스화하는 산학협력의 글로벌 스탠더드를 모델로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포스텍은 국내 경쟁 대학인 서울대 공대나 카이스트 등에 비해 규모가 작다. 때문에 유연하고 빠른 의사결정을 할 수 ... ...
How the Concept of Invention Changed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만들어내고 애니메이션으로 바꾸기 시작했다. 그가 당시 했던 작업에는 많은 사람들이
전
시 작품으로 알고 있는 벌새 애니메이션도 포함됐다. 이 네 가지 기술은 현재 첨단 정보통신 기술을 구성한다. 이들에겐 모두 지금은 사망한 컴퓨터 업계의 선구자 스티브 잡스의 작업이 녹아있다. 그런데 ... ...
별걸 다 정해 주는 수학 행복도 지수로 푼다!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있다. 하지만 퍼지이론은 애매한 개념을 수치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제로 로봇이나
전
자제품 등에서 유용하게 쓰인다. 23:00 행복도 지수로 정할 수 있다?잠자리에 들면서 생각하니 오늘 하루는 정말 뿌듯했어. 예쁜 나예뻐랑 얘기도 많이 나누고, 다음 주면 넉넉한 용돈을 갖고 동아리 MT도 갈 수 ... ...
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자연적으로 출산율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이제는 아프리카를 제외하면 더 이상 예
전
같은 폭발적인 인구 성장을 기대할 수 없다. 오히려 지구 인구가 100억을 돌파할 수 있을지 여부조차불투명한 실정이다. 학자들 중에는 인류가 지구에 끼치는 지질학적, 기후학적 영향이 엄청나기 때문에 현대를 ... ...
Part1. 2049 인류 최초 화성 기지 '웰즈'의 기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들어가면 건강에도 좋지 않다.그때 누군가가 웃음을 터뜨렸다. 한번 웃음이 터지자 마치
전
염병처럼 다 같이 웃기 시작했다. 웃음이 그치자 새 대원 중 하나가 말했다. “대장님, 화성 참 재미있는데요?!” 역시 지구에서 아무나 뽑아 보내지는 않았구나 하는 안도감이 들었다. 화성 기지의 미래는 ... ...
오로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달빛 아래 펼쳐진 오로라겨울에는 몇 m 두께의 얼음이 덮여있는 호수이지만 여름 한철은 이렇게 맑은 물 위로 오로라의 반영을 볼 수 있다. 9월 ... 볼 수 있다.➋ ➌ 오로라 폭풍오로라가 밝아지면 온 천지가 형광 빛으로 물든다. 밤하늘
전
체를 물들이는 오로라 폭풍을 어안렌즈로 담았다 ... ...
물고기, 뚜벅뚜벅 걷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행동이 네발 동물의 기원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동물이 네 다리로 땅에 첫 발을 딛기
전
에 물고기는 이미 육지에서 살 수 있는 과정을 끝낸 셈이다. 연구 결과는 지난해 12월 12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됐다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이 된다.]#2컴퓨터로 식물 키운다가상의 생물을 컴퓨터 안에서 키우는 게임이 있다. 오래
전
에 나왔던 다마고치나 진화의 원리를 도입한 인공생명 게임인 스포어가 그런 예다. 그런데 학습에 이용할 수 있도록 비슷한 게임을 개발한 사람이 있어 황당맨이 찾아갔다.김성하 한국교원대 생물교육과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각종 식물들로 가득 차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제초제를 연구하던 박사과정 시절 때는
전
혀 보이지 않던 풍경이었다. 신선한 충격이었다.“이름 없는 잡초란 없습니다. 다만 사람들이 이름을 모를 뿐이죠 ... ...
이전
717
718
719
720
721
722
723
724
7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