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정용 텔리미터링 시스템 개발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빨리 자체 개발해내 이에 대한 서비스가 앞당겨질 예정이다.이 시스템이 시행되면
서울
만 하더라도 연간 약 4억원의 검침 경비절감이 가능하며 전략사용량을 매시간 정확히 측정 피크타임제를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검침원을 가장한 강도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첨단기술이다. 이 ... ...
파인 세라믹스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제3의 소재요사이 신소재, 세라믹스, 또는 파인 세라믹스라는 낱말이 신문이나 TV등 매스컴에 빈번히 대두되어 일반 대중의 관심을 끌고 있다.지구상에 가장 풍부하게 존재하며 또 이 넓은 우주에 무진장으로 존재하는 무기질을 원료로 한다는 것. 그리고 금속, 플라스틱의 뒤를 이어 제3의 산업소재 ... ...
엔지니어 푸대접은 이제 옛말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한대·공업경제학) 김관섭상무(인하공대·기계)심재완상무(한대·원자력) 강신웅상무(
서울
대·조선) 김영국상무(한대·광산)등이 이공계 출신이다. 일일이 열거하기에 숨이 가쁠 지경이다. 이상은 대락적으로 주요기업의 임원실태를 살펴본 것에 불과하지만 엔지니어출신들의 활동이 대단하고 ... ...
한반도는 어떻게 형성됐나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0대1의 경사도를 보이는 태백산맥 태백산맥의 특징은 '10대1'이란 수치로 나타낼 수 있다.
서울
서 대관령 꼭대기까지는 직선거리로 약2백㎞인 것.남미의 안데스산맥은 이것이 15대1이나, 습곡산맥으로 돼 있다. 이 습곡산맥은 나즈카판이라는 대양암판이 남미서해안 아래로 1년에 9.3㎝의 속도로 ... ...
강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평야지대를 차지하는 한강 하류부는 신석기시대로부터 문화발달의 터전이 돼왔다.
서울
시역에만 16개의 다리가 놓여진 한강은 82년 9월부터 종합개발사업이 시작돼 금년안에 완공되면 다목적으로 하천공간을 이용케 될 전망이다. 낙동강은 그 길이나 유역면적에 있어서 우리나라에서 3번째이고 ... ...
화장품-알고쓰자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여심을 매료시키는 화장품. 그 용기 속에는 비너스의 선물이 들어있다고 믿는 것이 여성의 심리다. 그러나 화장품은 과연 무엇으로 만들어지는 것일까. 미용에 좋다고 맹목적으로 믿고 써도 되는 것인가. 어떤 화장품에 어떤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과학적으로 파악해 둘 필요가 있는것이 아닐까. ... ...
능률높이고 행정공해 최소화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행정체제-행정전산망은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 우리에게 어떤 혜택을 가져다주게 되나?
서울
강동구 둔촌동에 사는 H씨는 결혼생활 7년만에 조그만 집을 마련했으나 모은 돈이 부족해 산 집을 은행에 담보융자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은행에서 요구하는 서류는 인감증명서, 주민등록 등본, ... ...
점점 커지고 화려해지는 핼리혜성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과학동아 취재팀도 사진촬영을 시도했으나 워낙 기상상태가 좋지않아 실패하고 이틀후
서울
근교 문산에서 저녁 7시10분 촬영에 성공하였다.일반 국민들이 핼리혜성관측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는 앞으로도 많다. 국립천문대에서는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4월23일~24일 이틀간 전국적으로 천체관측회를 ... ...
화산이 만든 낙원 화와이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열대에 속하면서도 무덥지 않은 섬. 자연의 아름다움과 인공(人工)의 편리가 조화를 이룬 낙원. 이 낙원은 누가 만들었나. 그것은 땅속의 힘으로 이룩되었다.태평양 중부의 남동쪽에서 북회귀선을 따라 약 8백㎞에 걸쳐 점철되어 있는 1백30여개 섬의 '지상의 낙원' 하와이 제도. 이 섬들은 수심5천 수 ... ...
핼리혜성 다시오다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육안관찰이 가능하지만 도시상공에서는 공해와 조명때문에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서울
상공에서는 맑은 날씨에도 3등성은 돼야 희미하게나마 보이는게 현실이다. 예를들어 2등성인 북두칠성도 맑은 날씨에야 뚜렷하게 보인다. 결국 핼리의 모습을 직접 보자면 어둡고 공해가 없는 시골로 ... ...
이전
716
717
718
719
720
721
7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