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널
뉴스
"
journal
"(으)로 총 774건 검색되었습니다.
삼성이 원하는, 이런 게 진짜 도전 연구 ‘셋’
2015.07.24
길을 만들었더니 흡음 성능이 향상됐다. 김 교수는 이 연구 결과를 5월 ‘응용물리학저널(
Journal
of Applied Physics)’에 발표했다. 김 교수는 이상적인 흡음재에 ‘스큐 메타포러스(skew meta-porous)’라는 새로운 이름을 붙였다. 다공성 물질을 뛰어넘는 흡음재라는 의미다. 그는 “물리학의 기본 법칙에 ... ...
새 대장암 치료제 나온다
2015.07.22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성과는 의학분야 학술지 ‘미국실험의학회지(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6월 29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혈관과 뼈 동시에 3D프린터로 출력
2015.07.21
뼈 조직을 만드는 데 성공하고 영국왕립학회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재료화학저널B(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B)’ 21일자에 발표했다. 그 동안 줄기세포를 이용해 손상된 인체 조직을 재생하려는 연구가 다양하게 이뤄졌지만 재생시킬 수 있는 조직의 크기가 매우 작다는 한계가 있었다. ... ...
오늘 우울했니? 휴대전화에 물어봐
2015.07.16
휴대전화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학술지 ‘의학인터넷저널(
Journal
of Medical Research)’ 1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평균 나이 29세의 참가자 29명을 대상으로 2주간 휴대전화 사용패턴을 분석했다. 그리고 참가자들이 하루를 마무리할 때 그날의 기분을 1~10의 척도로 스스로 ... ...
운동하며 물 ‘벌컥벌컥’ 건강에 악영향?
2015.07.13
낮춰 ‘저나트륨혈증(EAH)’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학술지 ‘임상스포츠의학저널(Clinic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9일자에 발표했다. 저나트륨혈증은 혈중 나트륨 농도가 정상범위(135mmol/L)보다 낮을 때를 가리킨다. 1981년 이후 저나트륨혈증으로 14명의 선수가 사망했으며 사인은 대부분 운동 중 ... ...
탄저균만큼 위험한 야토균 손쉽게 검출
2015.07.02
국내 연구진이 생화학무기에 사용되는 병원체인 야토균을 손쉽게 검출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 방식보다 간단해 보건 및 국방 분야 대응 능 ... 말했다. 연구결과는 위험물질 전문 학술지인 ‘저널 오브 해저더스 머티리얼스(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5일자에 게재됐다. ... ...
패스트푸드 vs. 레스토랑 음식, 뭐가 더 건강에 안 좋을까
2015.07.02
때 콜레스테롤이나 나트륨 섭취량이 더 많다는 연구결과를 ‘유럽임상역양학회지(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1일자에 발표했다. 레스토랑에서 제대로 갖춰진 식사를 하면 비타민, 오메가3 지방산 등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는 만큼 건강에 크게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 ...
[메르스 업데이트] 독일, 메르스 백신 개발해 임상 돌입 예정
2015.06.24
효능을 확인하고 임상시험을 준비 중이라고 22일(현지 시간) 발간된 ‘바이러스학 저널(
Journal
of Virology)’ 6월호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쥐의 유전자를 조작해 메르스 바이러스에 감염되도록 만든 뒤 백신을 투여해 체내 메르스 바이러스의 양을 추적했다. 메르스 바이러스는 호흡기 바이러스인 만큼 ... ...
[메르스 업데이트] 메르스 바이러스 복제 막는 물질 찾았다
2015.06.22
분해효소를 방해하는 화학물질을 합성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생화학저널(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8일자에 발표했다.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에 침투한 뒤 자신의 유전물질을 복제하면서 새로운 단백질을 만들어 낸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길게 형성된 단백질을 중간에 끊어 주는 ... ...
“기침속 미세 침방울 60m이상 퍼져”
동아일보
l
2015.06.16
결과는 지난해 4월 영국 케임브리지대 출판사가 격주로 발간하는 학술지 ‘유체역학(
Journal
of Fluid Mechanics)’에 실렸다. 재채기를 하는 사람이 뿜어내는 비말과 연무질을 초고속 촬영한 결과, 크기가 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이상인 비말은 곧장 땅에 떨어졌지만, 1μm 이하로 크기가 작은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