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뉴스
"
DNA
"(으)로 총 2,12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중나선과 다른 4중나선
DNA
구조 발견...발암유전자 발현 조절
동아사이언스
l
2021.09.05
수 있음을 세포실험과 유전체 교정기술을 활용해 확인했다. 연구팀은 “AC-motif 같은
DNA
구조가 유전자 발현을 조절함을 규명, 유전자 발현 조절의 새로운 원리를 제시한 데 더해 질환 관련 유전자 발현을 제어하는 신약발굴 연구의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알츠하이머병 일으키는 '불량 단백질', 왜 생기는지 알아냈다
연합뉴스
l
2021.09.02
DB 금지] 모든 진핵생물의 유전 형질(유전자 정보)은 세포핵에
DNA
형태로 저장돼 있다.
DNA
의 유전정보가 실제로 쓰이려면 먼저 '전령 RNA(mRNA)'로 전사돼야 한다. 그러면 이 정보를 푸는 능력을 갖춘 리보솜이 나서 전사된 코드에 맞는 단백질을 만들어낸다. 그런데 이 기제가 돌아가는 속도가 ... ...
[과기원은 지금] 슈퍼컴으로
DNA
뭉침·풀림 현상 관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9.01
프랑스 투르대 교수팀이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가상실험으로 단백질에 의해 조절되는
DNA
뭉침-풀림 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관찰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기존 실험 연구의 대안으로 생체 내 여러 현상을 원천적으로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 ...
mRNA백신 핵심으로 떠오른 ‘나노전달체’ 신소재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30
개발에도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어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관련 연구가 한창이다.
DNA
나 mRNA 같은 핵산은 세포 안에서 단백질의 합성 과정을 통해 유전자를 발현시킨다. 하지만 핵산만 몸에 주사할 경우 혈류에서 이물질로 인식한 분해효소의 공격을 받아 없어지거나 설령 세포까지 도달하더라도 ... ...
한국인 장내미생물 유전자 지도 처음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7
것을 말한다. 연구팀은 또 실험실에서 배양이 불가능한 장내미생물 80%가량에 대해서는
DNA
를 추출해 유전체 전장 분석을 수행했다. 그간 세계적으로 구축된 마이크로바이옴 유전체 지도 가운데 가장 방대한 데이터는 영국 연구진이 지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게 공개한 ‘UHGG’다. 하지만 ... ...
화이자 CEO "코로나 백신 '내성 변이' 나올 것"…실제 가능성은?
연합뉴스
l
2021.08.25
게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변이는 바이러스나 세균이 분열을 통해 증식할 때 유전물질(
DNA
·RNA)이 복제되는 과정에서 일부 염기가 삭제되거나 추가되고 염기서열이 바뀌면서 발생한다. 변이는 무작위로 일어나기 때문에 변이 발생 위험도 유전물질 복제 횟수가 많아질수록 증가한다. 이 때문에 ... ...
세계 최초로 긴급 승인된 印 코로나19
DNA
백신...주삿바늘 없애고 효능 66.6%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인도 정부가 21일(현지시간) 세계 최초로 긴급 사용 승인한 코로나19
DNA
백신인 자이코브디. 사람을 대상으로 한
DNA
백신으로도 최초다. 인도 제약사 자이더스 캐딜라가 ... 표적으로 삼아 예방 효과를 높이고자 했다. 이외에도 캐나다와 호주, 일본 등에서 코로나19
DNA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 ...
UNIST, 카이랄 액정 결함 구조 위상수학으로 해석 성공
연합뉴스
l
2021.08.24
거울 상과 겹치지 않는 구조적 특성을 뜻하는 용어로, 카이랄성 구조의 대표적 예로는
DNA
가 있다. 또 위상수학은 물질의 기하학적 형태가 바뀔 때 보존되거나 불연속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연구하는 분야로, 물질의 형태 등을 수학적 데이터로 표현하기 위해 우주물리학,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에 ... ...
34년전 프레온가스 퇴출 결정이 기후변화 대응시간 벌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3
막는다. 식물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유해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되면 단백질과 세포의
DNA
가 손상돼 성장이 멈추고 생명을 잃는다. 식물들은 광합성 작용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식물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한다. 오존층이 유지돼야 식물들이 잘 자라고 대기 중 이산화탄소도 잘 ... ...
[표지로 읽는 과학] 폐경 늦추는 유전자 변이
동아사이언스
l
2021.08.21
정보와 대조해 검증했다. 그 결과 폐경과 관련된 유전자 대부분은 손상된 난모세포
DNA
를 복구하거나 복구가 안될 경우 난모세포를 파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게 ‘CHEK2’ 유전자다. 이 유전자는 손상된 난모세포가 스스로 체내에서 파괴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생쥐를 대상으로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