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식
풍
스타일
주의
식
여과기
sieve
뉴스
"
체
"(으)로 총 719건 검색되었습니다.
짧은 스침과 긴 여운, 아이손의 근일점 통과기
동아사이언스
l
2013.12.05
혜성의 잔해가 보이게 된다면, 다음 주부터 점점 가시권으로 들어오게 될 것이다. 천
체
사진가들과 아마추어 천문 애호가 여러분들의 많은 무운을 빈다. 특히 이번 아이손 혜성을 위해 머나먼 몽골 땅으로 원정을 떠나는 분들에게도 특별한 성공을 기원한다 ... ...
아이손 혜성은 왜 녹색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21
어떤 여학생이 물었다. "혜성 사진을 보니까 반짝반짝하던데, 그것은 혜성 자
체
가 빛을 내는 건가요?" 나의 대답은 "혜성은 스스로 빛을 내지 않고 햇빛을 받아서 반사하는 겁니다"였다. 필자가 받은 또 하나의 질문은 "왜 아이손 혜성의 코마가 녹색을 띠느냐" 하는 것이었다. 그것에 ... ...
첼랴빈스크 유성 폭발 비밀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1.17
‘사이언스’ 7일자에 실린 연구결과에 따르면 첼랴빈스크 상공에서 폭발한 유성
체
는 120만 년 전에 모성에서 분리돼 우주를 떠돌던 소행성이었다.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는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애완견 중 하나인 ‘바센지’를 표지에 실었다. 바센지는 고대 이집트 ... ...
11월의 아이손, 나도 한번 찍어볼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15
파일을 합성한 것이다. 오른쪽 일주 사진에서 녹색 불빛은 연구용 레이저 불빛. 아래의 물
체
는 세종대왕 때 만든 천문관측 기구인 간의(簡儀)이다. -안상현 박사 제공 *아이손 혜성을 11월 25일(월) 개관하는 과학동아 용산 천문대에서 관측해보세요! 과학동아 천문대 홈페이지 ... ...
혜성이 멀리서 찾아오니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동아사이언스
l
2013.11.07
애호가들이 촬영한 아이손 혜성 사진을 SNS 상에서 만날 수 있었다. 아이손 혜성. 천
체
사진가 김종태 씨(남원항공우주천문대 소속)가 10월 12일 새벽 5시경에 전라북도 남원에서 촬영 지금 아이손 혜성은 새벽에 동쪽 하늘 사자자리 근처에서 잠시 볼 수 있다. 이 혜성은 지금 해에 빠르게 ... ...
'러시아 운석우' 120만 년 동안 태양계 떠돌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7
6700만 년 전 태양계가 형성된 지 약 1억년 뒤 화성과 목성 사이 소행성대에서 만들어진 모
체
에서 120만 년 전의 어떤 충돌로 인해 떨어져 나와 우주를 떠돌다 지난 2월 15일 지구와 충돌했다. 국제연구팀을 이끈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올가 포포바는 “첼랴빈스크에 떨어진 운석은 아주 흔한 형태의 ... ...
영화 속 로봇 실제로도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06
‘영화로 보는 미래의 로봇기술들’이라는 주제로 강연한다. 김 박사는 신
체
를 보조하거나 대신할 수 있는 보조로봇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고, 로봇기술이 어떤 식으로 발전해야 할지를 영화 속 미래 로봇 기술과 비교하면서 알아볼 예정이다. 이에 앞서 정은경 대전 도마초 교사는 ‘동글동글!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노벨상 수상 연사 4人
동아일보
l
2013.10.21
1980년 무렵에는 세상에 알려진 제한효소의 75% 이상이 그의 실험실에서 분리됐다. 관련 업
체
들이 이 효소들을 상업적으로 활용할 기미를 보이자 로버츠 박사는 이를 무료로 과학자들에게 제공하기도 했다. 프로필 생년: 1943년 국적: 영국 소속: 미국 뉴잉글랜드 바이오랩스 주요 이력 1993년 노벨 ... ...
美도 중도포기한 ‘틸트로터 무인기’ 떴다
동아일보
l
2013.10.18
5시간 연속비행 성공 - 세계 첫 수직이착륙 무인기 우리기술로 날다 - 미국 무인 항공 비행
체
X-47B, 암살용 항공기? - 무인자동차와 드론, 그리고 터미네이터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 ...
한가위 보름달은 수학으로 뜬다!
수학동아
l
2013.09.16
8세기에 오일러가 찾은 2개의 초승달을 포함해 5개뿐이다. 그리고 20세기에 이르러 수학자
체
바토루와 도로드나우는 구적이 가능한 초승달은 5개뿐이라는 것을 증명했다. 즉, 달의 모양은 고대 수학자들의 연구 대상이자 현대 수학자도 관심을 갖고 도전한 난제였던 것이다. 이밖에도 ... ...
이전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