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동물기관"(으)로 총 787건 검색되었습니다.
- ‘털복숭이’를 ‘민둥 몸’으로 바꾸는 이것2015.12.13
- 네이처 제공 사과를 깎아 두거나 바나나 껍질을 쌓아두면 어디선가 작은 파리가 모여들기 마련이다. 이 작은 파리의 이름은 생물학 실험에서 자주 이용하는 모델동물인 초파리다. 초파리는 등에 있는 털을 감각기관으로 이용하는데, 이번 주 ‘네이처’ 표지에는 투과전자현미경(SEM)으로 확대한 ... ...
- “과학자와 시민 간 벽을 허물어야”2015.12.09
- 마커스 바이스코프(Markus Weisskopf) 독일 대화하는 과학재단 회장은 '2015 과학창의 연례컨퍼런스' 기조강연에서 과학과 대중간 쌍방향 소통을 강조했다. - 한국과학창의재단 제공 “과학자와 시민 간의 벽을 허물어야 합니다. 과학커뮤니케이션이 일방향이 아닌 쌍방향이 될 수 있도록 말이지요. ... ...
- 커피 향 성분 ‘멜라노이딘’, 의료영상에도 쓰인다2015.12.08
- 연구팀은 커피에 포함된 성분이 '멜라노이딘'을 이용하면 인체에 피해없이 의료영상촬영을 진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동물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 포항공대 제공 커피 원두를 로스팅할 때 갈색 빛을 띠며 구수한 향이 나는 이유는 ‘멜라노이딘’이라는 화합물 때문이다. 국내 연구진이 이 멜라노 ... ...
- “미국에서 승인된 GM 연어, 캐나다는 아직”2015.12.03
- 로버트 데블린 캐나다 해양수산청 연구관 - 권예슬 기자 yskwon@donga.com “유전자변형(GM) 연어를 캐나다인이 만들었지만 아직 캐나다에선 GM 연어를 팔 수 없습니다. 캐나다에선 연어 사랑이 유별난 만큼 더 신중하게 처리하려는 거지요.” GM 연어가 지난달 20일 GM 동물로서는 처음으로 미국식품의약 ... ...
- 맛은 혀에서 느낄까요, 뇌에서 느낄까요2015.11.23
- 쥐의 대뇌 피질 중 단맛을 인식하는 부위(적색)와 쓴맛을 인식하는 부위(녹색). 이 부위의 뉴런이 활성화되면 각각 단맛과 쓴맛을 느끼게 된다. - 찰스 주커 교수, 컬럼비아대 제공 맛을 구분하는 기관이 혀라는 상식을 깨뜨리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혀가 아니라 뇌에서 맛을 구분한다는 것이다. ... ...
- “내시 중에 대머리 없었다”...남성호르몬 역설을 아시나요?2015.11.16
- pixabay 제공 머리카락이 얼굴의 윤곽을 결정한다. - 니콜 로저스 & 마크 아브람 생로병사라고 나이가 들면서 질병(그리고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때가 점점 잦아지는 것 같다. 보통 병에 걸리면 몸이 아프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질병이 꼭 고통을 수반하는 건 아니다. 즉 고통을 유발하지는 않지만 ... ...
- 대학 안전의식 심각… 안전사고 10건 중 9건이 대학2015.11.09
- 일반적인 생물실험실. 실험재료가 다른 미생물에 오염되거나 다루는 미생물이 실험실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무균실험대’ 안에서 실험을 진행한다. 사람에게 병을 일으킬 가능성이 낮은 미생물을 다루는 ‘생물안전도(BL)1’ 실험실이 여기에 해당한다. - 동아일보DB 2007~2014년 국내 실험실에서 ... ...
- [토요스케치] 엄마 아빠 장점만 골라 닮았네, 토종돼지의 ‘점프’2015.11.08
- [동아일보] 토종돼지 “우린 좀 특별해” “한국 토종 돼지고기를 한번 맛 본 사람은 다들 다른 돼지고기는 못 먹는다고 하더라고요.” 단풍놀이와 야유회의 계절. 삼삼오오 둘러앉아 먹는 저녁식사 자리에선 단연 불판에 지글지글 구워 먹는 돼지고기가 인기 있다. 어떤 돼지고기를 구워 먹는 것 ... ...
- [토요판 커버스토리]드론, 취미용으로 즐기려면동아일보 l2015.11.02
- [동아일보] 서울 허가구역외 드론 띄울땐 수방사 승인 받아야 26일(현지 시간) 오후 1시 15분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웨스트할리우드 지역 700여 가구의 전기가 끊겼다. 로스앤젤레스 보안당국의 조사 결과 시내 교차로 인근을 비행하던 무인항공기(드론)가 전깃줄에 걸려 추락하면서 발생한 사고였다. ... ...
- [인간은 과식할 준비가 돼 있지 않다] 삼시 세끼 꼬박 챙겨먹고 간식, 후식, 야식까지?과학동아 l2015.10.30
-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한 사람에게 하루 동안 공급된 열량은 전세계 평균 1961년 2196kcal에서 2011년 2870kcal로 50년 사이에 무려 30%가 늘었다. 2011년 벨기에인들은 하루 섭취 권장량(2000~2500kcal)을 훨씬 웃도는 3793kcal를 공급받아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오스트리아(3784kcal), 터키(3680kcal), 미국(363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