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가"(으)로 총 2,1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부르지요. 올해 바이오블리츠에는 전문가와 일반인 498명이 참가했어요. 일반 참가자들은 여덟 모둠으로 나뉘어 전문가들과 함께 양구군 펀치볼 일대에 사는 생물종을 조사했지요.지사탐 대장이신 장이권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교수님과 아마엘 볼체, 배윤혁 연구원도 친구들과 ... ...
- [출동! 섭섭박사] 그림이 살아 움직인다~! 거울 애니메이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그리고 싶은 그림을 그려서 자신만의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도 있었답니다.실험에 참가한 이윤수 친구는 “이렇게 간단한 방법으로 그림을 움직이게 만들 수 있다니 신기하다”고 말했어요.섭섭박사와 함께하는 재밌는 실험, 이번에도 대성공! 다음 실험도 기대해 주세요. ... ...
- 친환경 비행기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어린이가 되세요~!요트의 수중날개를 샤크렛처럼오라클USA팀은 ‘아메리카스 컵’에 참가해 지난 2회 연속 우승을 한 강호팀이에요. 그리고 지난 2014년부터는 저항을 줄이고 요트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비행기 제조회사인 에어버스와 함께 머리를 맞대기 시작했지요.일반적으로 물에서는 공기 ... ...
- Part 3. 게임이론으로 본 항공사의 속사정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빨간 양복을 입은 두 요원을 발견한 곳은 몬트리올 국제공항의 발권 창구입니다. 선물이 가득든 짐을 부치고 비행기 표를 받는 요원들을 보는 항공사 직원의 눈빛이 심상치 않습니다. 어떤 문제가 있는 걸까요? 특수 장비로 그들의 대화를 엿들어 보겠습니다.요원이 비행기 표를 받고 발권창구를 떠 ... ...
- Part 3. 항성탐사를 위한 무한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좁은 영역에 몰려 있기 때문에 일반 빛보다 훨씬 강력하지요. 브레이크스루 스타샷에 참가한 과학자들은 수십 개의 레이저를 돛에 집중시키면 우주선이 점차 가속되어 나중엔 빛의 5분의 1에 가까운 속도로 이동할 수 있을 거라고 예상하고 있어요. 이건 알파 센타우리까지 20년 만에 갈 수 있다는 ... ...
- [과학뉴스] 심장 건강에 좋은 초콜릿 만드는 비법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플라바놀 함량이 166~2110mg로 다양한 초콜릿 19가지를 2~52주 동안 먹게 했다. 그리고 실험 참가자들의 혈액을 분석한 결과, 플라바놀을 매일 200~600mg씩 먹은 사람들에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고밀도지단백질(HDL)이 최대로 증가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혈당량을 낮추는 인슐린의 작용을 ... ...
- [과학뉴스] ‘링딩동’ ‘암욜맨’… ‘수능금지곡’의 특징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튀빙겐대 공동연구팀이 귀벌레 현상이 나타나는 곡의 특징을 알아냈다.연구팀은 3000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귀벌레 현상을 자주 일으키는 100곡을 조사했다. 그리고 이 곡들이 음악 차트에 있던 기간과 가장 높았던 순위를 찾았다. 또 이 곡들과 재생시간, 차트 순위, 장르가 유사한 다른 100곡의 ... ...
- [News & Issue] 대통령 담화문에서 배우는 올바른 사과 비법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지도로 공개사과와 인지적 영향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최근 실험참가자 40명의 뇌를 fMRI(기능적자 기공명영상)로 촬영하면서 책임을 인정하거나 부정하는 공개 사과문을 읽게 했다. 실험 결과, 책임을 인정하는 사과문을 읽은 사람은 공감을 담당하는 ‘사회적 뇌’ 부위가 ... ...
- [Tech & Fun] 공감만으론 세상을 바꿀 수 없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쪽에는 얼마나 많은 아이들이 힘든 상황에 처해 있는지 통계 자료를 보여줬다. 그리고 참가자들 모두에게 돈을 준 다음, 갖거나 기부하도록 했다. 또 공감과 측은지심과 관련된 설문을 통해 도덕적 책임감을 얼마나 느꼈는지, 메시지에 마음이 얼마나 움직였는지 등을 물었다.그 결과 두 그룹에서 ... ...
- [지사탐 소식 1,2] 수청이 보금자리가 되살아났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어린이들은 창의력을 발휘해 생각지도 못한 좋은 작품을 금방 만들어낸다”며 참가자들이 만든 작품에 칭찬을 아끼지 않으셨답니다.이번 축제를 기획하신 장이권 교수님은 “생물과 생태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한자리에 모여 재미있게 탐사하는 방법을 서로 공유하는 자리를 만들고 싶었다”며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