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리
취급
운전
단속
관리
조작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종
"(으)로 총 1,099건 검색되었습니다.
UFO는 외계인 비행접시 아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가능성이 낮다는 결론을 내렸다. 관측된 현상들이 자연적 힘이 아닌 다른 형태의
조종
을 받은 것으로 볼 증거가 없으며, 충돌 위험을 불러일으킬 단단한 물체가 있다는 증거도 없다는 것이다.보고서에 따르면 일부 미확인 공중 현상은 유성이나 다른 대기 현상에 따른 것이다. 보고서는 나아가 ... ...
지구에서 운전하기는 정말 힘들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줄 알면 세 살 짜리 꼬마도
조종
할 수 있는데 말이야. 마치 비디오게임을 하는 것 같아서
조종
도 무척 재밌다고. 그런데 이렇게 복잡해서야 운전하는 행동 자체가 스트레스겠어. 흠…, 그래서 지구에서는 어른만 운전할 수 있는 걸까 ... ...
기획1. 학습콘텐츠가 살아 숨쉰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아바타가 반응한다. 내가 선택하는 가상 운주사 여행가상의 공간센서를 만들어 TV를
조종
하거나 문화 체험도 할 수 있다. 다시점 카메라를 이용해 사람의 위치를 파악하고 손으로 뻗어 닿을 만한 거리에 가상 육각기둥 몇 개를 세우면 이 기둥이 센서가 된다. 사람이 오른쪽 기둥을 만지는 시늉을 ... ...
2008년 4월 한국 최초의 우주인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중력 훈련을 받는 동안 척추, 목이나 허리에 힘이 많이 걸리기 때문이다. 실제 전투기
조종
사가 급격한 기동을 할 때 자기 몸무게보다 9배나 큰 힘을 받는데 비하면 소유즈 호를 타는 우주인은 이보다 적은 힘을 받는다. 최기혁 항우연 우주인사업단장은 “소유즈 호를 타고 우주로 가거나 다시 ... ...
온 가족이 즐기는 축구로봇 미스터싸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조종
할 수 있다. 어떻게 27MHz의 동일한 주파수를 쓰는 리모콘으로 여러 대의 로봇을 따로
조종
할 수 있을까? 제조사인 브레이브사는 ‘아이디 정보를 조합하는 독자적인 기술’로 주파수 혼선문제를 해소했다고 한다. 실제 축구처럼 11대 11 경기는 힘들어도 최대 7대 7 경기는 가능하다. 첨단 기술과 ... ...
태권V 로켓주먹 발사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상상력을 집어넣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영화 장면에서도 태권V의 주먹 발사 장면이
조종
사 훈이의 태권 동작과 겹쳐 나타난다. 태권V는 적이 멀리 있으면 가까이 있을 때처럼 주먹 지르기나 발차기로 공격하기 힘드니까 주먹이나 손을 날려 타격을 가하는 방식을 취한 것으로 보인다.4톤짜리 주먹을 ... ...
바닷속 누비는 우리 수중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로봇팔로 여러 가지 일을 하도록 조이스틱이나 팔과 똑같이 생긴 마스터 로봇팔로
조종
하지요 해미래를 개발한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안전연구소의 전봉환 박사님을 만나 보았어요. 박사님~, 해미래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 주세요! 왜 해미래를 만들게 되었나요?해미래는 미국, 프랑스, 일본에 ... ...
로켓 비행기 경주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007년 미국에서 열릴 로켓 비행기 경주에 참가할 첫번째 팀이 탄생했다.미국 공군
조종
사 출신인 로버트 리처드와 돈 대거가 팀을 이뤄 2007년 열릴 로켓 경주 대회에 참가하기로 결정했다고 ‘뉴사이언티스트’가 1월 31일 보도했다.이 대회는 하늘에서 열리는 비행기의 경주다. 하늘에 그려진 가상의 ... ...
1. 반갑다, 태권로보트야!!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않겠냐”며 조심스럽게 전망했다. 로봇전문가들도 “1편처럼 손으로 직접 로봇을
조종
하는 방식 대신 컴퓨터가 스스로 알아서 움직이는 장면처럼 더욱 발전한 IT기술을 선보이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주문한다.새 태권V의 모습 역시 아직 베일에 싸여있다. 디자인 유출을 조심한 탓도 있지만 논란을 ... ...
3. 태권V 10대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포함해야 할 것이다.이밖에도 파괴된 부분을 스스로 치유하고, 재생하는 스마트소재나
조종
사의 생체신호에 반응하는 첨단 소재기술이 곳곳에 필요하다. 7.힘 - 인체를 모방한 태권로봇의 근육기름이나 공기가 밀고 당기는 힘을 이용해 로봇을 움직이는 지금의 기술은 한계가 많다. 여러 가지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