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거
지난날
옛적
예전
태고
고대
왕년
d라이브러리
"
옛날
"(으)로 총 1,321건 검색되었습니다.
두나무 가지 이어져 한 몸 된 연리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해리면 동호해수욕장에 자라는 아름드리 곰솔은 뿌리목 부분이 서로 연결돼 있다. 아마
옛날
에는 뿌리가 서로 이어져 있었으나 세월이 지나면서 노출돼 가지처럼 된 것으로 생각된다.같은 종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연리가 되는 과정은 이렇다. 가까이 심겨진 두나무의 줄기나 가지는 자라는 동안 ... ...
잃어버린 기억을 몸에 새기다 메멘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부분 중 하나인 변연계의 일부분이다. 만약 해마가 손상된다면 ‘메멘토’의 레너드처럼
옛날
기억은 갖고 있지만 새로 얻은 기억은 오랫동안 간직할 수 없게 돼 단기기억상실증 환자가 되는 것이다.환자 통해 밝혀진 메커니즘‘메멘토’의 주인공 레너드 셀비는 H.M.이라는 실존 환자의 증상을 ... ...
하늘 창문으로 바라본 늦가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먼 천체인 셈이다. 안드로메다은하의 뿌연 빛다발은 지구에 인류의 조상이 나타났던 먼
옛날
에 이 은하를 떠나 2백만년이 넘는 긴 우주여행을 마치고 우리 눈에 도착한 빛이다.안드로메다자리의 머리에서 다리로 이어지는 별을 따라 좀더 가면 페르세우스자리의 알파(α)별 미르파크에 다다른다. ... ...
손바닥 위에 세워진 첨단 실험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동시에 이러한 일은 학문적성과 이외에도 산업적 파급효과가 매우 큰 중요한 일이다.그
옛날
심청이가 인당수에 몸을 던져 눈먼 심봉사에게 새로운 세상을 보여줬던 것처럼, 생의학 분석화학의 연구는 자연을 이해하는‘새로운 눈’을 만든다는 기쁨으로 분석의‘바다’에 몸을 던진다 ... ...
착한 머슴이 된 별 토사공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가을철 별자리에 재미난 이야기 하나를 붙여주기로 했다.크고 사나운 소 부리는 방법
옛날
에는 자기 논이 없는 사람들은 남의 집 머슴살이를 했다. 어느 마을에 덩치가 크고 힘이 항우 장사인 머슴이 살았다. 다른 머슴들은 도저히 힘으로 이 머슴을 당해낼 수가 없었다. 덩치 큰 머슴은 자기 힘을 ... ...
건축문화유산의 보존과 복원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안압지는 1975-1976년 연못과 주변 건물지에 대해 준설을 겸한 발굴조사과정에서 유구(
옛날
토목 건축의 구조와 양식을 알 수 있는 실마리가 되는 잔존물) 가 발견됐다. 뿐만 아니라 발굴조사의 과정에서 적지 않은 수량의 건축부재들이 발굴됐고, 발굴이 끝난 뒤 그 결과를 토대로 1980년 2동의 건축물과 ... ...
지금은 새로운 멸종 시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그 어떤 때보다도 혹독한 대멸종기가 시작됐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는데….우리나라의
옛날
얘기에는 유난히 호랑이가 많이 등장한다. 아마도 예전에는 우리나라에 호랑이가 많았기 때문이리라. 그런데 지금은 호랑이를 보려면 동물원에 가야 한다. 얼마 전 경상도 어느 지방에 호랑이가 나타나 ... ...
가을비처럼 쏟아지는 별똥별 잔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별똥별 잔치를 기대해보자.초순엔 용자리, 중순 이후엔 오리온자리를 주목하라.요즘은
옛날
같이 별똥별을 많이 보기 힘들다. 도시의 밤하늘에도 변함없이 별똥별이 떨어지지만 하늘을 덮고 있는 오염물질 때문에 아주 밝은 것 외에는 보기 어렵다. 오랜 동안 보지 못해서일까. 도시를 벗어난 곳, ... ...
스스로 사이보그가 된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경우를 대비해 인간도 기계를 능가하는 방향으로 진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먼
옛날
침팬지와 인간이 갈라진 것처럼 이제는 자연 그대로의 인간과 반은 인간, 반은 기계인 ‘사이보그’(cyborg)로 진화하는 단계라는 것.예를 들어 앞을 보지 못하는 사람에게 적외선 감지장치를 이식하면 자유롭게 ... ...
약되는 독, 독되는 약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자세히는 모르지만, 나팔꽃 씨에 독성이 있다는 것만은 틀림없는 사실이다.아주 오랜
옛날
어떤 노인이 검은 소를 잡을 때에 사용했다는 전설로 인해 ‘견우자’(牽牛子)라고 이름 붙여진 나팔꽃 씨는 한의학에서 변비가 있을 때 설사를 유발하는 약물로 사용된다. 이 약을 30g 정도 복용하면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