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발
개척
d라이브러리
"
실용화
"(으)로 총 91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글문화에 알맞는 컴퓨터를 개발하자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한다. 문자인식의 경우는 인쇄체 한글의 자동입력은 제한적이나마
실용화
되고 있고 필기체의 경우에도 필자가 제한되어 있을 때 높은 인식률을 얻을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다. 음성을 이용한 입출력시스템도 많은 응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많은 연구진전이 있다. 한글의 ... ...
빠르다 안전하다 쾌적하다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충분한 신호처리능력이 주어지면 이 충돌경보장치와 차량 브레이크가 연결된 장치가
실용화
될 것이다.■자동조절현가장치/보다 쾌적하게현가장치는 차축과 차대를 연결하고 주행중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장치이다.재래식 현가장치는 스프링 ... ...
밤에도 본다 야간 감시장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활용, 고감도 적외선카메라를 제조하려는 시도도 이뤄지고 있다. 아무튼 이 센서가
실용화
돼 물체를 1백만분의 1도까지 식별할 수 있게 된다면(현재는 1/1천도정도까지 식별) 새로운 적외선의 세계가 펼쳐지리라 기대된다.레이저 레이다의 등장이번에는 야간감시장비와 함께 영상을 나타낼 수 있을 ... ...
PART Ⅱ 태양전지와 태양광 발전의 원리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뿐만 앙니라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설계 설치 운영을 통하여 국내 태양광발전 기술의
실용화
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이에 비해 국내의 연구개발 현황은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선진국에 비해 연구및 기술 수준이 다소 떨어지고 체계적인 연구결핍, 연구인력 부족 등 문제점을 안고 있다.그러나 최근 ... ...
3천미터 심해탐사선을 목표로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장비들이 이젠 자원의 개발 측면에서 상당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 장비는 이미
실용화
되어 현장에서 활용 중에 있는 것이 많다. 해저탐사 작업 시스템이나 원격 조종 로봇 등이 바로 그것이다. 해양 자원의 개발에 있어서의 성패는 이러한 장비의 성능과 기능이 좌우할 것이라는 인식을 ... ...
자유로이 에너지형태 바꾸는 현대판 부싯돌 압전 세라믹스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깊이나 어군을 탐지하는데 쓰인다. 이 수중 소나중 스캐닝 소나(Scanning Sonar)가 최근 많이
실용화
되고 있는데 이는 전방향으로 초음파를 발사, 3백60˚범위의 표적의 방향 거리 이동상황 등을 탐지하는 것이다.이때 큰 표적은 형태가 그대로 나타나지만 고기와 같이 적은 표적은 전체 집단이 점의 ... ...
ASIC 미래의 반도체를 주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그리는 방법이다. (그림 5)의 도면은 단 2개의 트랜지스터 밖에 사용되지 않았는데 현재
실용화
되고 있는 집적회로에 들어가는 트랜지스터의 수가 수십만개에 이르고 있는 것을 고려해볼때 전주문형 IC 설계 기법을 이용하는 것은 설계 기간이나 설계에 필요한 경비의 면에서 소량생산에는 대단히 ... ...
장거리전송 가능한 광섬유 증폭기개발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이러한 측면에서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에서 활발히 연구가 진행중이지만 아직
실용화
된 사례는 없다. 최박사팀이 개발한 증폭기도 아직 연구실 수준이며 흔히 쓰이는 1.3μ파장대보다 1.0~1.1μ대 파장의 빛이 더 많이 나와 효율성을 높이는 문제가 새로운 연구과제로 되고 있다.최상삼박사는 지난 77년 ... ...
수퍼컴 개발 「해프닝」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정비례로 증가할지는 의문이고 1백여개의 노드를 통제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아직
실용화
된 것이 없다.하이퍼큐브방식의 슈퍼컴은 현재 거의 한계에 부딪쳐있는 슈퍼컴의 처리속도를 무한대로 향상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미국을 중심으로 연구가 한창이지만 아직 이론에 불과할뿐 상품화된 사례는 ... ...
인공장기 시대를 여는 신소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있을까.인공장기의 개발은 소재분야와 의학분야의 공동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이를
실용화
하기 위해서는 동물실험 등 오랜기간의 임상실험 결과가 쌓여야 한다.우리나라 인공장기의 선두주자는 인공심장이다. 서울대 의공학과 민병구박사팀은 88년초 우리 체형에 맞는 전기구동식 인공심장을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