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율"(으)로 총 2,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 010] 맛의 과학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끊어 감칠맛 성분인 글루탐산이 최대로 나오도록 할 수도 있다.채소단백질의 비율이 낮아 글루탐산도 적지만, 10% 이상이 감칠맛을 느낄 수 있는 유리글루탐산이다.고기단백질 함량이 많아 글루탐산도 많다. 그러나 유리글루탐산은 1%에 불과하다. 그래서 숙성과정을 통해 유리글루탐산양을 ... ...
- Intro. 황금비의 대명사는 파르테논 신전과 앵무조개?!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속았다. 속아도 단단히 속았다.’황금비의 사례로 알려진 대부분의 건축물, 예술작품에는 황금비가 없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수학적으로 아름다움을 증명한 비라고 오해한 탓에 수많은 역사가와 예술평론가가 황금비에 쉽게 현혹되고 말았습니다. 한 번 잘못 알려진 황금비 작품은 그게 사실 ... ...
- Part 1. 파르테논 신전, 대표적인 오해수학동아 l2017년 02호
- 팔보는 2005년 논문 ‘황금비-반대 관점’에서 앵무조개의 나선은 1.24에서 1.43 사이의 비율로 만든 직사각형에서 생긴 나선이라고 밝혔어요.실제로 재보면 어떨까요? 2012년 미국 수학자 조지 하트는 앵무조개를 잘라 그 단면과 황금나선를 비교했어요. 그 결과 앵무조개 나선의 중심에서 그은 직선과 ... ...
- [페르미 추정] 잘 쓰면 과학자 못 쓰면 사기꾼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물질(유체)이 이동하던 방향으로 계속 가려는 힘(관성)과 유체의 점성에 의한 힘 사이의 비율이다. 만약 유체가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안에서 흐르고 있다면 레이놀즈 수는 다음과 같다.레이놀즈 수가 1보다 작으면 유체는 질서있게 흐른다. 반대로 3000을 넘으면 소용돌이치는 ‘와류’가 된다. ... ...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기자의 경우 다행히도(?) 낮은 베타파 지수가 4.7, 세타파 지수가 8.5로 두 지수 간 비율이 1.8로 낮았다(그런데 왜 기사 쓸 땐 집중이 안 되는 걸까. 미스터리다).뇌파를 측정한다고 집중력을 높일 수 있을까. ‘내가 세타파가 많으니 이것을 줄이고 싶다’고 생각한들 실제 뇌파를 조절할 수 있는 건 ... ...
- [Future] 안동 권씨가 대전에 살게 된 까닭은?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수리적 모델이라고 판단했다. pi는 i라는 행정구역의 인구에서 특정 성씨가 차지하는 비율이다.1985년부터 2015년까지 인구가 가장 많은 15개의 성씨에 대한 엔트로피 값을 비교해 본 결과, 밀양 박씨가 1985년부터 2015년 동안 줄곧 가장 큰 엔트로피 값을 유지했다. 전국에 가장 고루 퍼져 있다는 뜻이다. ... ...
- Part 4. 도시를 바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세계 최고의 자전거 도시로 유명해요. 네덜란드는 자전거를 교통수단으로 이용하는 비율인 *자전거 교통분담률이 36%로 전세계에서 가장 높아요. 고작 2%인 우리나라는 물론, 23%로 2위인 덴마크나 17%인 일본에 비해서도 월등히 높지요.네덜란드가 자전거 중심 도시로 바뀐 이유는 바로 어린이들의 ... ...
- Part1. 반려견 늘고, 유기견도 늘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1인 가구의 증가’로 보고 있어요.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의 비율이 지난 2000년 15.5%에서 2010년 23.9%로 늘어났거든요. 같은 기간 동안 반려견의 수도 꾸준히 늘었어요. 즉 혼자 사는 사람이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반려견을 키우는 경우가 많다고 분석되고 있답니다. 한 해에 6만 ...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검출된 헬륨의 양을 비교했다. 백두산 마그마는 지상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동위원소 비율을 가진 헬륨을 방출하는데, 이것의 양을 재서 핵실험이 마그마에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1차 핵실험의 인공지진 규모는 3.9, 2차 핵실험은 4.5로 2차 핵실험의 세기가 8배 이상 컸다. 하지만 ... ...
- [Knowledge] 뉴턴에 날개 달아준 여성 물리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소수지만, 물리학은 특히 성격차가 매우 크다. 미국 대학의 물리학과 교수 중 여성의 비율은 11%에 불과하다.연구자들은 고정관념이 큰 방해물이라고 지적한다. 18세기 볼테르는 독일 프로이센의 국왕 프리드리히 2세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에밀리는 위대한 사람이지만 그의 유일한 단점은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