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d라이브러리
"
바깥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그로부터 몇 년 뒤인 2001년 미국 로렌스리버모어 국립연구소는 우주에서 태양계
바깥
행성까지 관찰할 수 있는 망원경을 계획했다. 하지만 이 망원경의 크기는 지름만 100m. 축구장만한 크기의 망원경이었다. 이는 당시 미국 항공우주국(NASA) 기술로 우주에 쏘아 올릴 수 있는 한계치의 10배나 됐다. ... ...
얼굴 읽어 주는 수학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것이다.일명 ‘마쿼트 마스크’라고 부르는 이 가면을 살펴보면 코의 중심선에서 눈
바깥
쪽까지의 거리와 눈의 가로 길이 등이 황금비를 이루고 있다. 특히, 콧구멍 주변에는 72°, 36°, 72°도로 이뤄진 황금 삼각형이 나타난다. 황금 삼각형은 길이가 서로 다른 두 변의 비가 황금비를 이루는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걸까.나는 태양이다. 인류가 만든 탐사선이 우주공간을 헤매다 내 힘이 미치는 가장
바깥
쪽 경계를 통과했다는 뉴스가 들린다. “보이저 1호가 태양계를 벗어났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내 힘이 미치는 범위를 너무 얕잡아 보고 있다. 물론 보이저 1호는 내가 내뿜는 플라스마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월드컵 맞이 송종국FC 건강한 축구교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발을 자유자재로 안으로 굽히면서 공이 움직이는 방향을 바꿀 수 있어요. 발등
바깥
쪽으로 공을 밀어내는 ‘아웃사이드 드리블’은 공을 좀 더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어요. 그래서 인사이드 드리블과 아웃사이드 드리블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공을 옮기는 기술을 연습하면 좋답니다.드리블을 ... ...
스킨십하면 행복 호르몬 퐁퐁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배아에 있는 이 3개의 세포층들이 우리 몸 전체를 만든답니다.피부와 뇌는 배아에서 가장
바깥
에 있는 세포층인 외배엽에서 발달한 기관이에요. 그래서 피부를 ‘제 2의 뇌’라고 불러요. 실제 대뇌피질에서 피부감각과 손의 움직임을 처리하는 면적이 아주 넓다고 하니, 피부와 뇌가 친한 형제라고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사실을 보여주기 위해” 그래프를 그렸다. 안쪽 작은 그래프는 주별 평균온도고,
바깥
큰 그래프는 사망자 수다. 그는 콜레라가 나쁜 기운(공기)에 의해 감염되며 이 기운은 템즈강의 물이 증발되면서 나온다고 잘못 알고 있었다. 그가 온도 그래프를 그린 것도 증발이 콜레라의 원인임을 밝히기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미국항공우주국은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가 토성의 고리 가운데 하나인 ‘F고리’
바깥
쪽에 있는 위성 ‘판도라’를 예술적으로 포착한 사진을 공개했다. 그런데 이번 달 9월 28일, 이렇듯 아름다운 고리를 지닌 토성이 달 뒤로 사라지는 모습을 우리나라에서 관측할 수 있다. 바로 ‘토성 엄폐’가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ㅠ.ㅠ내가 가장 무서워 하는 건 자외선이야. 내 몸은 안쪽에 유전물질인 RNA가 들어있고
바깥
쪽이 지질막으로 덮여 있어. 지질막에는 단백질 수용체가 붙어 있지. 이 단백질이 있어야 열쇠처럼 세포문을 열고 들어갈 수 있어. 그런데 못된 자외선이 내 단백질 수용체를 망가뜨린단 말이야! 이것뿐만이 ... ...
[hot science] 중심별에 바싹 붙은 뜨거운 목성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은 밀도가 토성과 비슷하기 때문에 ‘뜨거운 토성’이라고도 불린다.또 뜨거운 목성의
바깥
층을 이루는 수소와 헬륨 기체는 시간이 지나면 결국 행성을 탈출할 것이므로 마지막에는 암석과 금속으로 이루어진 중심핵만 남게 돼 지구형 행성과 비슷해 보일 것이다. 이 때 뜨거운 목성에서 우주로 ... ...
‘진짜’ 별에서 온 그대, 태양계 밖 먼지 확인!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역시 입자 하나하나를 확대해 분석하는 데 큰 도움을 줬다.그 결과 태양계
바깥
성간공간에서 온 우주먼지 7개를 처음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 그 중 세 가지는 기존의 우주먼지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새로운 사실도 밝혀냈다. 과학자들은 이 발견이 기존의 성간물질 생성 이론을 뒤바꿀 수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