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넓이
크기
너비
폭
건평
용적
지적
d라이브러리
"
면적
"(으)로 총 1,98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도 물 위를 달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물 위를 달릴 수 있을까. 바실리스크가 물 위를 달릴 수 있는 이유는 체중이 가볍고, 발의
면적
이 넓으며, 한 발이 빠지기 전에 다른 한 발로 물을 디딜 만큼 빠르게 다리를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탈리아 밀라노대 인간생리의학과 알베르토 미네티 교수팀은 지구의 중력이 현재의 22%로 ... ...
초대륙 아마시아가 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2011년 동일본대지진이 일어난 곳에서 동남 방향으로 약 1300km 떨어진 곳에 있다. 총
면적
이 48만km2로 일본열도(37만km2)보다 넓다. 이 거대한 해산이 태평양판에 실려 묵묵히 우리나라로 다가오고 있다.태평양판이 한반도의 동남쪽으로 매년 약 10cm씩 이동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1300만 년 후 샷스키 ... ...
태양전지 옷 갈아 입혀 파워 업!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넓은
면적
에 설치하지 않고도 그만큼 많은 양의 태양광을 받을 수 있다. 이 방법으로
면적
을 500배 이상 효율적으로 쓸 수 있다.하지만 아무리 빛을 모은다 해도 태양전지 표면의 반사율이 높으면 시쳇말로 ‘도로 아미타불’이다. “태양전지 표면에 나노기술로 특수코팅 처리를 해 최대한 빛을 ... ...
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왔는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한반도
면적
이 22만 2000㎢로 태평양은 한반도보다 약 750배 넓다. 바닷물의 양도 엄청나다.
면적
과 평균 수심으로 계산한 바닷물의 양은 약 13억 7000만㎦로 무게로 환산하면 1.37×1018t이다. 저토록 많은 바닷물은 도대체 어디에서 왔을까. 바닷물의 기원을 찾으려면 우선 지구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 ...
- 여수엑스포 빅오의 과학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가장 큰 스크린으로 기록된 CGV영등포 스타리움의 스크린 크기는 가로 31.38m, 세로 13.0m로
면적
이 407.9㎡이다. 디오가 만드는 워터스크린은 약 660m2으로 1.5배가 넘는다.디오 주변에는 자세히 봐도 알기 어려운 안개효과가 총 5분 정도 나타난다. 이 안개는 디오 주변을 감싸 디오에 맺히는 영상이 더 ... ...
살 빼주는 단백질 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붉은 부분이 갈색지방이다. 쥐에 BMP8B 단백질을 주입하자(아래) 붉은 색의
면적
이 줄어들었다.] 살을 빼기는 참 어렵다. 적게 먹고 운동도 열심히 해야 한다. 쉽게 살을 빼는 방법은 없을까. 영국의 케임브리지대 신진대사과학연구소는 뇌와 신체조직에서 혈관이 많이 분포해 분해가 쉬운 갈색지방의 ... ...
거대 곤충의 시대 - 공룡 피는 무슨 맛이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폈을 때의 폭이 31cm 정도이고, 아틀라스 나방은 폭이 25cm 정도입니다. 하지만 날개의
면적
은 아틀라스 나방이 더 넓으니 둘이 비겼다고 쳐 두지요. 그나저나 이렇게 큰 나방이 밤에 얼굴을 향해 날아온다면 오줌이 찔끔 샐지도 모르겠습니다.이번에 새로 발견된 제 소개를 한다는 게 그만 덩치 큰 다른 ... ...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미토콘드리아의 대부분이 손상돼 있는 것을 발견했다. 미토콘드리아는 한정된 공간에서
면적
을 최대로 넓히기 위해 ‘크리스테’라는 주름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알츠하이머병에 걸리면 이 부분에 파괴가 일어난다는 사실을 눈으로 확인한 것이다.“과학자와 기술자 협력으로 바이오 이미징 기술 ... ...
반도체 행성 3D 대공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실리콘 웨이퍼 아래로 새는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채널이 짧은 동시에 전류가 흐르는
면적
이 늘어나면서 더욱 적은 전압으로 전류를 흘러보낼 수 있어 전력 사용도 적다.특히 전류가 처음 흐르게 만들기 위한 임계전압도 낮출 수 있다. 임계전압은 수도꼭지를 떠올리면 이해하기 쉽다. 물이 ... ...
차세대 연료전지 나노 기술로 상용화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1m)로 잘게 쪼개면 그 안에는 백금 원자 100~200개만 들어갑니다. 알갱이가 작아질수록 표
면적
은 넓어지고 그만큼 반응은 커지는 것입니다.”성 교수는 수소연료전지에서 백금의 사용량을 5% 줄이면서 성능을 잃지 않는 ‘팔라듐-백금 합금 나노입자’를 개발했다. 백금에 팔라듐을 첨가시킨 나노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