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일회용컵 줄이기, 대안은 다회용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0호
있지요. 또한 종이컵 내부는 플라스틱 코팅지 대신 물에 잘 풀리는 ‘수성 분산 코팅’
기술
을 이용했어요. 표면 인쇄도 식물로 만든 잉크를 이용해 종이컵이 다른 종이처럼 잘 재활용될 수 있도록 했지요. 그런데 전문가들은 재활용률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근본 대책은 일회용컵을 덜 쓰는 ... ...
[에디터노트] 그대와 함께 한 달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5개. 후보 주제를 놓고 독자들은 열띤 토론을 벌였습니다. 기후 부동산과 인공중력
기술
이 치열하게 경합했죠. 저는 선거 개표방송보다 더 재밌었습니다. 마지막까지 손에 땀을 쥐고 지켜봤죠. 투표 결과 1등 주제는 특집, 2등 주제는 기획이 됐습니다(자세한 내용은 12쪽). 8월 26일에는 ‘2023년 ... ...
자격루의 두뇌, 588년 만에 깨어나다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움직임으로 바꾸는 장치가 필요했다. 그게 바로 주전의 역할이다. 주전은 당대 최첨단
기술
의 집약체였다. 수수호에 물이 일정 수위 차오를 때마다 구슬을 방출했다. 그러면 구슬이 자동 시보 부분으로 굴러가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원리다. 자동 물시계의 시각 조절 장치이자 동력 전달 장치인 ... ...
제2의 우주개척시대 '인공중력
기술
'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달에 찍은 발자국처럼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제2의 우주개척시대 '인공중력
기술
'Part1. 회전하는 우주기지에서 중력을 느끼다Part2. 인공중력 만드는 우주토목공학[인포그래픽] 달과 화성에 세워질 우주 ... ...
[기획] 회전하는 우주기지에서 중력을 느끼다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유리 가가린이 인류 최초로 우주에 간 이후 60여 년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인공중력
기술
이 본격적 으로 시도되는 것은 최근의 일입니다.그동안 과학자들은 미세중력이 생명체와 물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더 알고 싶어했습니다. ISS에 굳이 인공중력 장치를 탑재하지 않은 것도 이 때문입니다. ... ...
한화솔루션이 그리는 탄소중립 청사진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후면에 반사판을 추가로 삽입해 빛이 더 많이 반사되면서 발전량이 증가하도록 설계된
기술
이다.이에 더해 한화큐셀은 출력을 더 높인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고효율 탑콘(TOPCON) 셀과 대형 웨이퍼를 활용한 생산라인을 구축하고 있다. 탑콘 셀은 더 효율적인 n타입 웨이 퍼가 적용된 셀이다. 원가가 ... ...
[SF 소설]톨리의 숲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편집자 주. 그림을 대신 그려주는 인공지능 ‘Disco Diffusion’에 소설 내용을 입력해서 만든 그림입니다. 여러 번의 시도 끝에 인공지능의 힘을 빌려 멋진 그림 ...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로 우리나라의 과학
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특집] 2교시 파도와 시소를 타듯 서핑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0호
구사하는가, 이런
기술
을 경기 중 얼마나 빠른 시기에 하는가를 봐요. 그리고 다양한
기술
들을 얼마나 완성도 있게 구성하는지 등을 골고루 살피죠. 경기 시간은 당일 바다 컨디션에 따라 심판이 결정해요. 주어진 시간 동안 선수가 타는 파도 하나마다 0.1점에서 10점의 점수를 줄 수 있어요. 총점은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AR(증강현실)의 놀라운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0호
이름, 주소, 전화번호를 보내 주세요. 선물을 보내드립니다! 다음Mission내 일상에서 AR
기술
을 접목해 볼 수 있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요?참여 방법어과수 홈페이지-포스팅에 [디지털 바른 생활] 말머리를 달아 올리기 ... ...
[핫이슈] 1폰 2번호 나도 써볼까?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1일 ‘1폰 2번호’가 가능한 e심(eSIM) 제도가 본격 도입됐다. 2021년 12월 과학
기술
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가 발표한 국내 e심 도입 계획에 따른 결과다.기존에 쓰던 유심(USIM)은 통신사를 바꿀 때마다 새 칩으로 바꿔야 한다. 유심칩에 고유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e심을 쓰면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