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궤도"(으)로 총 2,146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멸인가 생존인가, 아이손의 행방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거랍니다. 하지만 현지 시간으로 12월 2일, NASA는 아이손이 근일점을 지나며 ‘소멸’하는 궤도를 공개하며 “핵이 남아있지 않다고 본다”고 밝혔지요.한국천문연구원 역시 아이손의 영상을 분석해, 근일점을 통과한 아이손의 꼬리가 부채꼴로 퍼져 있다는 점을 보고 핵이 결국 사라져 버렸다는 ... ...
- 별빛 속의 환상적인 토성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3호
- 궤도에 도착한 카시니는 호이겐스를 토성의 가장 큰 위성인 타이탄에 내려 보내고 홀로 궤도를 공전하며 토성을 관측하고 있지요. 이번에 찍은 고리 사진 말고도, 토성 대기를 분석하거나 토성이 뿜는 제트 기류의 성분을 확인하는 등 다양하게 활동하고 있답니다. 임무를 마치는 2017년까지 카시니의 ... ...
- “화성, 기다려!” 21번째 탐사선 발사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3호
- 현지 시각으로 11월 18일, 미국의 21번째 화성 탐사선 ‘메이븐’(MAVEN)이 미국 케이프커내버럴 기지의 발사대를 떠나 우주로 솟아올랐어요. 메이븐의 ... 아직 모르고 있어요. 메이븐은 이 이유를 정확히 알아내기 위해 내년 9월부터 1년 간 화성 궤도를 돌며 여러가지를 조사할 예정이랍니다 ... ...
- 아이손, ‘혜성’처럼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이번 기회가 아니면 평생 볼 수 없어요. 75.3년 마다 찾아오는 핼리 혜성처럼 일정한 궤도를 돌고 있어서 주기에 따라 태양을 여러 번 찾아오는 주기 혜성이 많아요. 하지만 아이손은 한 번 오고나면 언제 올 지 알 수 없는 비주기 혜성이기 때문이죠.혜성의 꼬리는 항상 태양의 반대쪽혜성의 꼬리는 ... ...
- 우주에 울려 퍼지는 레이더 아리랑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5호랍니다. 지난 8월 22일에 러시아의 야스니 발사장에서 발사돼 목표였던 550㎞ 높이 궤도에 무사히 도착했지요. 지금은 지구 주변을 하루에 15바퀴씩 돌면서 밤낮을 가리지 않고 한반도를 지켜보고 있어요. 발사 5시간 56분이 지났을 때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상국과 첫 번째 교신을 하긴 했지만, ... ...
- 끊임없이 소원 비는 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모두 끝나 버렸어. 아직 지지지 밖에 못 했는데!유성우는 거의 매달 있어요. 특히 혜성 궤도를 지나는 7~8월에 집중돼 있지요. 또 올해 11월에는 혜성 ‘아이손’이 태양에 가까이 접근하는 우주쇼가 있답니다. 지금 예상으로는 11월 20일 이후부터 12월 초까지 맨눈으로 볼 수 있을 만큼 밝은 혜성을 볼 ... ...
- Part 2_ 보이지 않는 68%의 수수께끼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12호
- 68%를 차지하지만 정체조차 모르는 암흑에너지를 찾는 과학자들의 노력이 본격적인 궤도에 들어섰다.이제 10여 년 뒤면 암흑에너지가 어떤 존재인지, 혹은 있는지 없는지 알아낼 수 있을 전망이다. 눈에 보이지도 않는 암흑에너지는 과연 어떤 방법으로 자신의 존재를 우리에게 알리고 있을까.1998년은 ... ...
- Part 1. 그들은 안다! 당신의 모든 것을…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이용하는 텔레비전이나 전화 중계, 레이더 등을 도·감청한다. 이론적으로는 3개의 정지궤도 위성만 있으면 세계 전역의 전파를 받을 수 있다. NSA가 운용중인 머큐리 위성은 개인 휴대전화의 전파신호도 수신 가능하다.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이 800MHz 이상이어서, 미약하지만 인공위성이 있는 곳까지 ...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지름만큼 빛이 더 달려오느라고 22분이나 늦게 일어난 것이다.따라서 뢰머는 지구 공전궤도의 지름을 22분으로 나누어 광속을 구할 수 있었다. 그 속도는 약 21만 4000km. 현재 알려진 빛의 속도는 30만km다.블랙홀의 존재 가능성을 생각한 피에르 라플라스(1749~1827)프랑스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 혜성과 ... ...
- 과학기술위성 3호, 관측임무 시작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생태학] 과학기술위성 3호, 관측임무 시작우리나라 첫 우주관측 위성인 ‘과학기술위성 3호(사진)’가 11월 21일 오후 1분 10분(현지시각)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드네 ... 2003년 발사 후 2009년 운영을 종료했고, 과학기술위성 2호는 두 번의 나로호 발사과정에서 궤도진입에 실패했다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