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개요
요약
적요
개괄
귀결
추정
d라이브러리
"
결론
"(으)로 총 2,13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자와 사람 기생충이 닮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생식관의 위치 등 27가지 형질을 이용해 연구한 결과, 두 종이 서로 다른 종이라는
결론
이 나왔다. 논란은 2000년 이후 미국에서 발행되는 의학 교과서에 아시아촌충102이 기술되기 시작하며 반전됐다. 아시아촌충은 새 종으로 인정받기 시작했고, 지금은 대부분의 의과대학에서 인체감염을 일으키는 ... ...
꽃 호르몬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나왔다. 어쨌든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학계는 플로리겐의 생화학적 분리는 불가능하다는
결론
에 도달하게 된다.그러자 이 문제를 유전학으로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결정적인 계기는 애기장대가 식물학 분야에서 모델생물로 채택된 것이었다. 애기장대의 가장 큰 장점은 ... ...
UPDATE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힘든 기술 관련 기사의 의미를 곧바로 깨달았다. 인유는 기사를 다급하게 위로 넘겨
결론
을 보았다.‘……이에 이보공학은 눈-704 소프트웨어의 즉각적인 삭제를 공표했다. 다행인 것은 현재 이 수술을 그대로 유지하는 피술자가 극히 적다는 점이다.’이게 바로 의료 공단이 전하고자 했던 말이었다. ... ...
PART 2. 데카르트의 악몽, 아인슈타인의 해몽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때문에 비틀림저울이 약간이라도 회전하게 된다(즉 관성질량과 중력질량은 다르다는
결론
이 나온다).외트뵈슈는 이 원리를 이용한 실험을 1885년 시작했다. 관성질량과 중력질량의 비율이 다를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두 추의 물질을 달리해보고, 비틀림저울보다 더 예민한 비틀림진자를 채용했다. ... ...
북핵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입자가 충분히 크기 때문에 공기 펌프로 빨아들인 뒤 종이 필터로 거르면 모을 수 있다고
결론
내리기도 했다. 방사성 동위원소로 핵실험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실제로 미군은 1949년 9월 3일, WB-29 폭격기를 이용해 구소련 캄차카반도에서 데이터를 수집했다. 이를 통해 비행 4일 전 구소련이 ... ...
친환경 벽지, 만능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전부터 등장한 것이 바로 친환경 벽지다. 그렇다면 친환경 벽지는 정말 효과가 있을까.
결론
부터 말하자면 친환경 벽지는 ‘정말’ 효과가 있다. 아토피 피부염이나 호흡기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을 쓰지 않는 것만으로도 효과가 있는 게 사실이다. 새집 증후군을 유발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과 ... ...
한국형 발사체와 은하 3호는 이란성 쌍둥이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RD-191엔진을 제작할 수 있을까. 이 엔진이 우리의 기술수준에서 적합한 엔진일까.
결론
부터 말하면 RD-191엔진은 우리에게 적합하지 않다. 왜 그럴까.RD-191엔진은 러시아에서도 최신 엔진이다. 굳이 통신에 비교하자면 LTE급이다. 그러나 처음 대형 액체 엔진 개발에 도전하는 우리에게는 그보다 낮은 ... ...
유물위성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어떻게 정육면체 안에 정사면체를 넣었을까. 일주일간의 토론 끝에 지상팀은 결국 이런
결론
을 내렸답니다. ‘저건 인간의 기술로 만들 수 있는 물건이 아니다.’”“외계인이 만든 거라는 말씀인가요?”“우스우시죠? 유럽우주국에서도 그런 생각을 했던 모양입니다. 과학자들이 잔뜩 모여 있는 ... ...
쓰레기 채식은 육식보다 해롭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그 결과 채식인은 채식을 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심장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24% 낮다는
결론
을 내렸다. 하지만 다른 요인에 의한 사망률에서는 큰 차이를 찾을 수 없었다.‘쓰레기 채식’은 소용 없다의사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채식을 하는 의사들은 어느 정도 적극적이냐에 따라 두 가지 부류로 ... ...
고독한 우주의 방랑자, 외톨이 행성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이용해 질량이 작은, 즉 행성일 가능성이 큰 천체를 500개나 발견했다. 여기서 두 가지
결론
이 나왔다.첫 번째는 우리은하에는 별보다 더 많은 목성 크기의 행성이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이들 중 일부가 중심별에서 아주 멀리 떨어져 있거나 어느 별에도 속하지 않고 우리은하 안을 자유롭게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