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정하기"(으)로 총 3,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암흑물질, 버리거나 취하거나?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암흑물질의 존재가 예측된 지 80년이 훌쩍 지났지만, 아직 정체가 밝혀지지 않았다. 과학자들은 암흑물질의 존재를 암시한 다양한 관측 증거를 암흑물질 없이 설명하려고 노력했다. 그 중 하나가 수정뉴턴역학(MOND)이다.수정뉴턴역학은 1983년 이스라엘 바이츠만연구소의 물리학자 모티 밀그롬이 ... ...
- [Issue] 100만 군중 안전하게 대피하려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을 요구하는 촛불집회가 지난해 10월 29일부터 매주 열리고 있습니다(2016년 12월 19일 기준). 거리에는 촛불을 든 시민들과 함께 경찰버스를 이용한 ‘차벽’ 역시 매주 등장합니다. 차벽이 설치되는 주된 이유는 집회를 하는 사람들이 신고한 집회 장소 이외의 곳으로 이동하는 ... ...
- [Origin] 평범한 발상, 비범한 과학자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시즌 1에서는 주로 혈연 사이의 이타성이 어떻게 형성됐는지를 중심으로 현대 진화론의 형성 과정을 살펴봤다. 시즌 2에서는 여러 가지 세부 주제들을 탐구한다. 먼저 비친족간 상호성이다. 가족도 친척도 아닌 생판 ‘남’을 우리는 왜 서로 돕고 있을까.여러분은 오늘 혼자 목욕탕에 왔다. 열심 ... ...
- Part 4. 도시를 바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어린이를 위한 도시를 만든 네덜란드네덜란드의 수도 암스테르담은 세계 최고의 자전거 도시로 유명해요. 네덜란드는 자전거를 교통수단으로 이용하는 비율인 *자전거 교통분담률이 36%로 전세계에서 가장 높아요. 고작 2%인 우리나라는 물론, 23%로 2위인 덴마크나 17%인 일본에 비해서도 월등히 높 ... ...
- [헷갈린 과학] 가재 VS 랍스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얼마 전에 가족이랑 같이 랍스터를 먹으러 갔어요. 가재라고 불렀더니, 엄마가 가재와 랍스터는 다르다고 하시더라고요. 가재의 영어 이름이 랍스터 아닌가요?오현수(안양 래미안유치원) 가재가재는 십각목 가잿과에 속하는 갑각류 동물이에요. 갑각류는 탄산칼슘이 포함된 딱딱한 껍데기로 둘 ... ...
- [도전! 코드마스터] 장애물을 피해 피아노를 옮겨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여러분이 이사를 한다고 가정해 봐요. 방에서 현관까지 아주 큰 물체, 예를 들어 침대나 피아노같은 아주 큰 가구를 옮겨야 해요. 이 가구가 다른 가구 또는 벽과 부딪히는 일 없이, 최소한의 힘으로 최소한의 길만 이동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언뜻 보면 생활 문제 같지만 이 문제를 수학적으로 ... ...
- [도전! 코드 마스터] 전봇대에도 알고리즘이 숨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서울 전역에 전기를 공급할 새로운 발전소가 세워졌다고 가정해 봐요. 이때 전기선을 연결하는 변전소와 전봇대를 어디에 설치하는 게 좋을까요? 가장 싼 가격으로 가장 많은 지역에 전기를 보낼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게 좋겠죠? 즉, 가장 적은 비용이 드는 경로를 찾아야 해요. 바로 이때 ‘최소 ... ...
- [Tech & Fun] 직장과 집만 고집하는 당신, 변해야 ‘동안’된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연말이면 끌려가듯 따라가는 회사 회식자리. 올해도 작년처럼 꿈에서도 마주하고 싶지 않은 과장과 함께 새해맞이 카운트다운을 할 수는 없다. 지긋지긋한 업무 스트레스에 거울 속 지친 내 얼굴이 친구보다 늙어보인다면…, 우리 감정과 노화의 뗄 수 없는 상관관계를 들여다보자. 나이에 비해 ... ...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올해 7월 18~22일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 더반에서 국제에이즈콘퍼런스가 열렸다. 콘퍼런스에 앞서 열린 언론브리핑에서 남아프리카 국립에이즈위원회는 “남아공에서만 매주 약 2000명의 젊은 여성들이 HIV에 감염되고 있다”고 밝혔다. 아프리카 전체에서는 매년 38만 명에 달하는 16~24세 여성들 ...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우주가 등방하다’는 것은 지구 위에서 관측할 때 우주의 방향성을 구별할 수 없다는 뜻이다. 처음 우주 등방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건 1920년대 즈음이다. 현대의 우주론이 자리를 잡아가던 시기다. 시작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었다. 아인슈타인은 특수상대성이론으로 시간과 공간 격자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