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4 광촉매로 에너지 추가 없이 수소 생산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수소이온과 만나 수소분자(H+ + H+ → H₂))를 이룬다.광촉매로는 혼다와 후지시마 박사가
발견
한 이산화티타늄이 가장 흔히 쓰인다. 이산화티타늄은 빛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활성도 좋기 때문이다. 하지만 단점이 있다. 광촉매가 활성을 나타내려면 빛에너지를 받아 전자와 정공이 만들어져야 ... ...
달걀 삶는 기구의 패러독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때문에 누구도 되묻지 않는 간단한 과정들을 자세히 관찰함으로써 놀라운 사실들을
발견
할 수 있다.뷔르거 박사는 사람들에게 친근한 도구와 주변현상을 물리적 탐구활동의 소재로 삼고 그것을 수학적으로 규명해보인다. 그는 문제의 설명과 해설은 물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까지 제시함으로써 ... ...
갈릴레오호의 탐험 역사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발견
된 민델-리스 간빙기(間氷期 ; 제2간빙기)의 인류 1933년에 두골(頭骨)이
발견
되었고 젊은 성인으로 확인되었다 머리가 길며 눈썹 위의 융기(隆起)가 발달되어 있고 코가 넓다 뇌용량은 약 1,100㏄여서 네안데르탈인으로 보기에는 적은 편이다 이것이 인류의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는 명확하지 ... ...
우주기원 좇아 발진한 적외선망원경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1800년 영국의 천문학자 허셸은 이 영역에 눈에 보이지 않는 빛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이 빛이 적외선이며 파장은 약 1-1천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다. 빛의 파장이 짧은 것에서부터 긴 것까지 근적외선, 중적외선, 원적외선으로 나뉜다. 우리에게 오는 태양빛의 43%는 적외선이다.(그림2 ... ...
1 화석연료 대체할 최적 후보 수소에너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의해서였다. 그는 1766년 묽은 산과 금속을 반응시키면 수소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하지만 당시의 사람들은 이 기체가 수소인지 몰랐다. 수소를 현대적 개념으로 인식한 이는 프랑스의 라부아지에였다. 1783년 그는 뜨거운 철 속에 수증기를 통과시켜 물을 분해하고 수소를 얻는데 성공했다. ... ...
케이블 벗어난 인터넷을 지켜라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무선 인터넷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얼마 전 해외에서는 휴대전화기에서도 바이러스가
발견
됐다는 보도가 있었다. 이는 ‘티모포니카’라는 유해 프로그램이 휴대전화 통신업체의 서버를 공격해 가입자에게 의미없는 문자메세지를 보내는 일로 끝나고 말았지만, 이보다 심각한 피해는 얼마든지 ... ...
오른손잡이는 시계방향 가마 가져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부모 사이에서도 오른손잡이 아이가 흔히 태어난다는 사실을 들고 있다.그러나 이번
발견
을 적용하면 위의 현상이 유전론에 모순되지 않는다. 아이가 부모로부터 받는 열성 유전자(rr)는 손의 우선권을 지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손의 우선권이 서로 다른 일란성 쌍생아가 존재하는 현상도 ... ...
어린 시절 꿈을 간직한 안드로메다은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부근을 지나던 페르세우스가 바위에 묶여 괴물 고래에게 희생되기 직전의 안드로메다를
발견
한다. 페르세우스는 메두사의 머리를 이용해 괴물 고래를 돌로 만들고 그녀를 구한다. 안드로메다는 자신을 구한 페르세우스와 결혼해 함께 살았고 훗날 죽은 후 밤하늘의 별자리가 됐다고 한다.가을이 ... ...
2 진품 그림 한장으로 가짜 두장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진짜인지 가짜인지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가 늘고 있다.가짜 문화재가 가장 많이
발견
되는 분야는 회화와 서예. 이것은 도자기 금속공예품 등 다른 고미술품에 비해 가짜를 만들기가 수월하기 때문이다. 또한 작가를 알 수 없는 도자기나 금속공예품과 달리 회화나 서예에는 유명 작가의 작품이 많아 ... ...
최첨단 비행체 시뮬레이션이 탄생시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이런 형태로 비행할 때 좌우에 따라가는 기러기들이 가장 힘이 덜 든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기러기는 본능적으로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고 있는 셈이다.그러나 기러기가 비행할 때 주위 공기의 흐름을 수치적으로 정확히 분석하지는 못한다. 공기나 물처럼 형상이 자유롭게 변하는 유체(流體)의 ... ...
이전
715
716
717
718
719
720
721
722
7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