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도핑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도핑에 이용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왔는데요, 근육량이나 순발력, 지구력 등을 결정하는 유전자를 편집하는 이른바 ‘유전자 도핑’입니다. 아직 실제 선수에 적용한 사례는 없지만 충분히 가능한 시나리오입니다. 10조 개에 이르는 몸속 세포를 전부 교체하는 건 불가능하지만, 특정 근육만 ... ...
- [과학뉴스] 절지동물은 부자 동네를 좋아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등 다리와 더듬이 등 몸에 붙은 부속지가 마디로 된 동물이다. 연구팀은 카펫이나 다락방 등에 얼마나 다양한 절지동물이 살고 있는지를 조사해 소득, 주거환경과 비교했다.분석 결과 소득 수준이 높은 집일수록 절지동물의 종류도 다양했다. 녹지 면적도 연관이 있었다. 집 주변에 녹지 면적이 ...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신호가 간다. 모니터링 장치는 암반에 균열이 있는 3개 지점을 비롯해 케이블카와 등대 등 주요 구조물에 설치돼 있었다.동행한 박찬 지구환경연구본부 책임연구원은 “경사계와 균열계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낙석과 같은 작은 충돌에도 데이터에 노이즈가 생길 수 ... ...
- Intro. 장내미생물이 제2의 게놈?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실리면서 일약 스타덤에 올랐다. 이후 면역, 해독, 알레르기, 천식, 당뇨, 치매, 우울증 등 장르를 가리지 않고 영향력을 뽐내왔다. 현재는 ‘제2의 게놈’, ‘차기 노벨상 후보’라는 별명도 생겼다(2파트). 장내미생물의 오랜 팬으로서 장내미생물 연구가 어디까지 왔는지, 인기가 거품은 아닌지를 ...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우울증 같은 정신적인 질환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생리학, 면역학, 역학 등 다양한 각도에서 증명되고 있다. 미생물이 단순히 입으로 들어와 대변으로 나가는 ‘뜨내기 손님’이 아니라 오랜 기간 서로 의지해 살아온 ‘의형제’임을 시사하는 대목이다.공생, 언제부터였을까그렇다면 ... ...
- [Knowledge] 패배는 있어도 패배자는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1970년대까지만 해도 식물의 경쟁력은 정해져 있다고 생각했다. 각 식물마다 생장, 번식 등과 관련한 고유의 경쟁력 값이 있기 때문에, 어느 지역에서나 우수한 종은 계속 우수하다는 것이다. 이를 ‘평행설 이론’이라고 한다. 그런데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 생각에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그 ... ...
- [Knowledge] 뛰지 못하는 작은 원숭이의 생존법과학동아 l2016년 09호
- 1.2kg이다. 야행성 영장류로 대부분의 시간을 나무 위에서 보내며, 과일, 새알, 나무수액 등을 찾아 먹거나 나무 위에 사는 곤충을 사냥해 먹는다. 소형영장류이기 때문에 호시탐탐 자신을 노리는 뱀, 고양이, 매, 독수리 같은 육식동물을 피하기도 해야 하다. 먹잇감에 슬그머니 접근하면서 포식자의 ... ...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제브라피시의 유전체에서 포유류의 손목 및 손가락 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hoxa13, hoxd13 등)를 크리스퍼로 제거했다. 쥐의 경우, 이 유전자를 제거하면 손가락과 손목이 생기지 않는다. 그 뒤 제브라피시가 성체가 될 때까지 키우며 지느러미를 관찰했다.실험 결과, 유전자가 제거된 제브라피시에서는 ... ...
- 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모르타르 등을 두고 논란이 있다). 지구라트 같은 고대 건축물에는 모르타르나 역청 등을 벽돌과 벽돌 사이에 발랐다. 이런 재료는 돌과 돌 사이의 접착제 역할을 하기도 했지만, 그 역할은 아주 미미했다. 벽돌은 굉장히 무겁고, 벽돌 사이에 마찰력이 크기 때문에 웬만한 충격으로는 쉽게 ... ...
- 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방법은 데이터 센터로 활용하는 방법이다. 대용량 서버와 저장 장치, 네트워크 장치 등 여러 전자 기기가 모여있는 데이터 센터는 서늘한 온도가 생명이다. 실제 데이터 센터의 내부 온도는 20°C 안팎으로, 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서버 운영에 필요한 만큼의 전력을 추가로 사용한다. 별다른 장치 ... ...
이전7157167177187197207217227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