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의대수
대수
d라이브러리
"
일의
"(으)로 총 14,817건 검색되었습니다.
안형준 기자의 한국 최초 우주인 도전기Ⅲ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1
“야호! 우주인을 향한 꿈에 한걸음 다가섰어!”한국 최초 우주인 1차 선발과정 합격증을 받고 나도 모르게 큰 소리로 외쳤어요. 마치 강민이 우주비행사 한국 대표로 뽑혔을 때처럼 말이에요~. 분명‘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의 응원이 큰 힘이 됐을 거예요~! 합격자 발표 일주일 뒤인 10월 21~22일, ... ...
살아 쉼쉬는 녹색의 도시 --유럽의 환경생태도시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1
다시 살리려는 노력을 많이 하고 있어. 이 슈프레발트처럼 말이야. 슈프레 강 역시 독
일의
공업화로 많이 오염되었지만 지금은 수많은 동식물이 살아가고 독일에서 가장 환경보호가 잘 되는 곳이 되었단다. ‘이렇게 하면 강이 깨끗해져요’물고기가 다니는 길을 만들어요.강은 다양한 생물들이 ... ...
다무리아 마을에 나타난 악당 무라카와 쓰지마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1
물이 풍부하기로 소문난 일본의‘다무리아’ 마을에 큰 사건이 터졌다. 갑자기 상수도가 막혀서 마을로 들어오는 물이 모두 차단된 것이다. 원인을 알아보니 세상에서 물을 가장 아끼는 악당인‘무라카와 쓰지마’가 상수도 곳곳을 막아 버렸기 때문이었다. 물이 소중하다는 생각을 하지 못하고 ... ...
수성의 태양면 통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1
지구에서 봤을 때 수성이 태양면을 가로질러 갈 때가 있습니다. 이 때 망원경으로 보면 수성이 검은 점으로 보입니다. 이 현상은 11월 9일 새벽 4시 12분에 시작해서 9시 10분까지 벌어집니다. 해뜨는 시각이 7시 5분이니까 약 2시간 동안 볼 수 있는 셈입니다. 다음 수성의 태양면 통과는 2016년 5월 9일에 ... ...
동이마을 비내리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1
9회말. 2사 3루. 동점. 굳어진 어깨를 흔들며 침을 꼴깍 삼켰다. 상대편 투수의 눈이 날카롭게 빛났다. 준호가 홈쪽으로 슬금슬금 움직인다. 공이 굴러왔다. 직구다.“뻥.”한가운데를 제대로 맞췄는지 발에 짜릿한 충격이 전해 왔다.“뛰어! 뛰어!”내가 1루로 달리는 동안 준호는 홈으로 돌진해 들어 ... ...
어린이 과학동아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0
보름마다 한 번, 세상에서 가장 기다려지는 시간. 바로 어린이과학동아가 나오는 시간이지요. 그런데 이렇게 재미있는 어린이과학동아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궁금하지 않나요? 어린이과학동아 한 권이 어떤 산고를 겪고 탄생하는지 창간 2주년을 맞이하여 알아보아요. ‘우리는 어린이들에게 꿈 ... ...
안형준 기자의 한국 최초 우주인 도전기Ⅱ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0
한국 최초 우주인이 되려면 몸이 아주 튼튼해야겠죠? 힘든 훈련을 모두 이겨내야 하니까요. 만약 K-1 대회에서 활약하는 최홍만 선수가 우주인이 된다면 어떨까요? 힘이 아주 세서 어떤 훈련이라도 이겨낼 수 있을 거예요. 하지만 최홍만 선수는 우주인이 될 수 없어요. 키가 너무 커서 러시아 소유즈 ... ...
똥의 향기에 취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0
더럽고 냄새나고 쳐다보기도 싫다. 똥의 향기에 취한다고?‘똥의 냄새에 속이 뒤집히다’가 맞겠지.잠시 생각해 보자. 똥은 죄가 없다. 사람이 눈 똥이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던 흐름이 깨지면서 단지 갈 곳을 잃은 것뿐이다. 똥을 멀리하던 사람들은 변비에 시달리고 쾌변을 위한 요구르트를 마신다 ... ...
핼러윈 목성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0
미국 사람들은 10월 31일을 핼러윈(Halloween)이라고 부릅니다. 이 날은 어린이들이 떼를 지어 다니며 집집마다 문을 두드리고“Treat or trick!(트릿 오어 트릭)”이라고 외칩니다. 이 말은“우리에게 사탕 같은 것을 주지 않으면 골탕을 먹이겠다”라는 뜻입니다. 그러면 어른들은 준비했던 핼러윈 캔디를 ... ...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9
클수록 확대하는 능력도 커진다. 17세기 레벤후크가 개발한 현미경은 배율이 300배였고, 독
일의
물리학자 루스카에 의해 10만 배 이상 확대할 수 있는 전자현미경이 등장했다. 원자현미경은 배율이 수천만 배여서 10억분의 1 단위의 나노 세계도 시원스레 볼 수 있다 ... ...
이전
715
716
717
718
719
720
721
722
7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