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효소에서 미래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에너지 소재와 관련돼 있다는 것.“중학교 생물 시간에 DNA를 배우고 호기심이 생기기
시작
했어요. 고등학교 생물반에 들어가서 바이러스에 대해 배우면서 생물공학을 전공해야겠다고 마음먹었죠. 대학을 마치고 8년간 회사를 다니다가, 단 한 번뿐인 인생인데 하고 싶은 걸 해야겠다는 생각으로 ... ...
iPad, what on earth is it for?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Let me tell you a story. Once upon a time, there was a very rich, very clever man. He got up on a big stage and held up a new kind of computer. It was flat, and it didn’t have a keyboard. This man ... ...
거꾸로 생각하는 방정식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사각형으로 나열한 ‘행렬’은 영국의 수학자 실베스터가 1848년에야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
했지요. 이처럼 수를 사각형으로 나열하는 방법은 수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한편 동양의 산학이 수를 사각형으로 배열하게 된 기원은 ‘낙서’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낙서란 한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광(光) 증폭’의 뜻을 가진 레이저의 탄생은 아인슈타인이 제시한 유도방출 이론에서
시작
됐다.[아인슈타인(➊)은 1916년부터 2년간 양자역학에 관한 세 개의 논문을 차례로 쓰는데, 유도방출에 관한 내용은 1917년에 쓴 마지막 논문 ‘복사의 양자이론’(➋)에 나온다.] 유도방출 이론은 이미 1917년에 ... ...
아미노산 수백 가지 읽는 인공 리보솜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mRNA을 인식하는 방식에 주목했다. 즉 리보솜은 RNA 단일 가닥이면 무조건 결합해 번역을
시작
하는 게 아니라 가닥 앞부분에 ‘샤인-달가르노 연속부분(SD)’이라는 염기서열이 있어야 이를 통해 mRNA라는 걸 인식한다. 리보솜 30S 단위체를 이루는 16S 리보솜 RNA(rRNA)에 이 역할을 하는 부분이 있다.따라서 ... ...
원자번호 117번 원소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원자번호 117인 원소가 인공적으로 만들어졌다. 러시아와 미국의 공동 연구자들은 원자번호 97인 버클리움-249 동위원소에 원자번호 20인 칼슘-48 동위원소를 충돌시 ... 소장은 “다음 단계로는 원자번호 119인 원소를 만들어야겠지만 너무 어려운 과제라
시작
하지 못할 것 같다”고 말했다 ... ...
고추장 1000년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알려져 있던 셈이다.권 박사는 귀국하자마자 옛 문헌에서 고추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기
시작
했다. 조선시대 기록은 상당수가 한글(훈민정음) 대신 한문으로 적힌 탓에 생화학자인 그가 문헌을 해석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 옛 문헌들이 여기저기 흩어진 채 보관된 것도 문제였다. 그러나 이 문제를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2월 9일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독특한 형태의 인터넷 과학 매체가 창간됐다. ‘과학자와 기자가 함께 만드는 뉴스와 비평’이 이들이 내건 콘셉트. 과학을 단순 재미나 흥밋거리 ... 과학 종사자들이 직접 과학 이슈를 제기하고 정확하게 알리는 노력에 이미 동참하기
시작
했기 때문이다 ... ...
나만의 발명 어떻게 지킬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암흑시기가 끝나고 서양 문명을 다시금 꽃피운 르네상스가
시작
되면서 이탈리아 북부 해안의 도시국가들은 모직물 공업을 중심으로 극심한 경쟁을 벌였다. 이들 국가는 자기네 나라의 모직물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이름난 기술자를 영입하고 경쟁국의 기술을 알아내기 위해 염탐하는 데 많은 ... ...
나노응용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나노과학을 공학에 응용시키는 것을 배운다. 초기 대학원은 나노협동과정에서
시작
됐고 융합대학원이 만들어지면서 나노융합학과로 발전했다. 즉 기본적인 필수 과목을 배운 후에 자신이 택한 주 응용분야와 나노분야를 융합하는 응용 학문을 배우고, 관련 연구 활동을 펼치게 된다.7. 취업을 ... ...
이전
714
715
716
717
718
719
720
721
7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