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03. 물고기 호텔, 바다목장이 양식 확 바꾼다과학동아 l2004년 08호
- 만들 예정이다.제주도 북제주 바다목장에서 키울 어종은 돌돔, 전복, 다금바리. 이곳은 수산자원 복원뿐만 아니라 국민들이 실제로 바다목장에서 낚시를 하고 해저관광이나 레포츠도 즐길 수 있는 수중체험형 공간으로 개발될 것이다. 때문에 울진과 북제주 바다목장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첨단 ... ...
- 중국 과학혁명의 산실, 칭화대과학동아 l2004년 08호
- 기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중국의 경우는 어떤가?답 : 아직까지는 그런 조짐이 없다. 이곳에서 피부로 느꼈겠지만 중국사회는 과학과 기술을 매우 높게 평가한다. 따라서 뛰어난 학생들 대부분이 이공계를 택한다. 다만 인기 분야는 있는데 IT와 BT가 그것이다. 물론 순수과학 분야도 여전히 인재들이 ... ...
- 열대지방에서 동면하는 포유류 첫 발견과학동아 l2004년 08호
- 잠을 자는 시기는 비가 거의 오지 않는 혹독한 건기에 해당한다” 며 “따라서 안전한 곳에서 몸의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물과 먹이가 부족한 시기를 버텨내는 방식으로 진화한 것 같다” 고 말했다 ...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과학동아 l2004년 08호
- · 탄화수소 · 아황산가스 · 질소산화물 · 오존 및 산화제 등이며 다소간에 어느 곳에나 존재한다이 밖에 알데히드 · 플루오르화수소 등도 대기 속에 극히 소량이 존재한다또 국소적인 오염원(汚染源)으로 황화수소 · 티오알코올 · 암모니아 · 염소 등이 있고, 유기용제(有機溶劑)의 증기도 ... ...
- 01. 기묘한 생물 천국, 해저 5천m의 세계과학동아 l2004년 08호
- 멍멍해지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한국 과학자로서 최초로 태평양 심해저 5천m가 넘는 곳을 다녀왔다는 기록을 세워 기뻤지만, 마음 한구석에는 우리나라의 유인잠수정을 타고 연구를 하게 되면 더 좋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이번 심해저 탐사는 프랑스와 공동으로 이뤄졌다. 작년 10월 프랑스 ... ...
- 한국형 과학상점 시민참여연구센터 대전에 문 열어과학동아 l2004년 08호
- 제공하는 곳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는데 한국어로 번역된 ‘상점’ 은 물건을 파는 곳이라는 의미가 강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혹 사람들이 ‘과학을 파는 상점?’ 하며 고개를 갸우뚱거릴까봐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연구센터라는 과학상점 본래의 의미를 이름에 그대로 묻어나게 한 것이다.한국형 ...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과학동아 l2004년 07호
- 2만배다. 실제 1992년 6월 랜더스 부근에서 규모 7.5인 강진이 발생하고 3시간 뒤 40km 떨어진 곳에서 규모 6.5의 지진이 뒤따랐다.그렇다면 여진은 왜 일어날까. 단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는 지각이 변형되면서 내부에 응력(stress)이 쌓인다. 그러다 응력이 단층의 마찰력보다 ... ...
- 여름밤 은하수 속 독수리성운 M16과학동아 l2004년 07호
- 여름철 은하수는 쌍안경으로 훑어보기에 너무나 좋은 곳이다. 특히 독수리성운이 위치한 곳은 더욱 그렇다. 쌍안경에서 독수리성운은 뿌옇고 둥글게 보인다. 하지만 두 눈을 가진 특유의 독수리 모습은 다소 애매하다. 중앙이 조금 더 밝은 모습이며 가장자리가 다소 흐릿하지만 비교적 뚜렷하다. ... ...
- 최신강의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MIT 오픈 강의 ocw.mit.edu과학동아 l2004년 07호
- icpr.or.kr 물리학전문연구정보센터는 국내·외 물리학관련 연구정보를 제공하는 곳이다. 국내의 석사 이상의 모든 물리학자를 검색할 수 있으며, 전공에 따른 검색도 가능하다. 즉 물리학의 특정 분야 전문가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각종 학술지와 논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수준높은 강의나 ... ...
- 만약 불 뿜어내는 개가 있다면?과학동아 l2004년 07호
- 털을 가진 추위에 강한 동물이다. 또한 사람은 빛이 있어야 볼 수 있으므로 어두운 곳에서는 빛, 다르게 말하면 불이 필요하지만 개는 사정이 다르다. 개는 시력이 매우 나빠 대부분의 지각을 후각과 청각에 의존하기 때문에 어둠 속에서 불을 지펴도 눈앞이 깜깜하긴 마찬가지다. 마지막으로 인간은 ... ...
이전7117127137147157167177187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