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재들과 한강 철새가 만났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있죠.이 곳에서 볼 수 있는 겨울 철새는 고방오리, 청둥오리, 큰기러기 등이에요.
바로
옆의 동부간선도로를 가득 메운 차량들과 철새들이 섞여 묘한 풍경을 연출했죠.마지막으로 간 곳은 서울 방화대교 부근 강서습지 생태공원이에요. 이 곳에는 습지와 버드나무 숲, 수질이 깨끗한 강이 어우러져 ... ...
캐나다인이 미국인보다 가벼운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뉴욕에 사는 60kg짜리 사람이 오대호
바로
건너편의 캐나다 북서부로 이사 가면 몸무게가 2.4g 정도 줄어든다. 이 재미있는 현상의 이유가 밝혀졌다. 미국 하버드 스미스소니언센터의 마크 타미시아 박사팀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쌍둥이 관측위성 ‘그레이스’(GRACE)를 이용해 캐나다의 중력 변화를 ... ...
토네이도 대해부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초기에 낭배(囊胚)가 완성되면 배는 앞뒤로 선장하고 배의 등 쪽에 뻗은 척색
바로
위의 외배엽(外胚葉)은 두꺼워지며 동시에 납작한 판상(板狀)의 신경판을 형성한다 플라즈마를 아주 짧은 시간에 가열하여 고온화시키면 플라즈마는 이온의 열속도 vt로 팽창하기 시작하며 플라즈마구의 반지름을 ... ...
중력의 마술, 서커스 퀴담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바닥에 착지한다.일순간 관객들의 ‘숨’을 앗아가버린 이 공연의 비밀은 무엇일까.
바로
연기자의 발과 종아리를 감싼 파란 보호대다. 추락하는 연기자는 중력에 의해 가속되기 때문에 다리에 줄을 아무리 세게 감아도 체중을 버텨낼 마찰력을 얻기 힘들다. 조금이라도 미끄러지면 마찰력이 급격히 ... ...
현실과 똑같은 가상공간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현재의 모습이다. 이런 상상과도 같은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 곳은
바로
‘세컨드 라이프’(Secondlife)다.세컨드 라이프는 미국 린든랩에서 개발한 가상현실 서비스다. 게임과 비슷하게 자신의 분신인 아바타를 통해 가상현실 공간에서 전세계 사람들과 만날 수 있다. 모든 ... ...
동양식 피타고라스 정리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있다.그런데 산술 중심의 전통수학에서도 서양의 기하학과 가장 가까운 분야가 있었다.
바로
직각삼각형의 원리를 적용해 문제를 푸는 ‘구고’라는 분야였다. ‘구장산술’에서 취급한 구고 문제는 두 변을 알고 있을 때 구고의 원리를 적용해 한 변을 구하는 단순한 문제였다. 후대로 가면서는 한 ... ...
반짝이는 별 한 번 사볼까?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같은 경우다.비록 널리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우리나라 과학자의 이름이 붙은 별도 있다.
바로
‘원철성’(源喆星)이라는 이름이 붙은 독수리자리의 에타별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이학박사인 이원철 박사가 이 별이 주기적으로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며 밝기가 변하는 맥동변광성이라는 사실을 밝혀 ... ...
에이즈 치료하는 알약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최대 해상도는 1024×1024까지 가능하다 터치 스크린용 펜으로 화면 아이콘을 클릭하면
바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으며, 문자입력 프로그램을 이용해 마치 종이에 글을 쓰듯 입력할 수 있다 키보드를 연결하면 노트북 PC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꼬마펭귄의 행진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달리면 야생동물의 낙원 필립섬이 나타난다. 강화도의 4분의 1 정도인 필립섬의 명물이
바로
꼬마펭귄이다. 1920년대부터 일반인이 서머랜드 해변에서 꼬마펭귄의 깜찍한 행진을 관람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요즘 이곳에는 매년 50만명의 관람객이 다녀간다. 호주에서 꼬마펭귄은 자그마한 크기 ... ...
파일럿이 두려워하는 메가번개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이용하면 처음엔 지름 200km의 넓은 영역을 바라보다 특정 위치에서 메가번개가 출현하면
바로
자세히 촬영할 수 있다”며 “초당 10만장을 찍을 수 있어 메가번개의 비밀을 상당부분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또 “메가번개는 지구 자체가 생명체처럼 전자기적으로 균형을 맞추기 위해 ... ...
이전
710
711
712
713
714
715
716
717
7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