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올림픽 선수를 돕다가 생긴 일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관찰했다. 연구팀은 얼음이 녹는 자세한 과정을 밝혀냈고, 결과를 ‘빙하학’지 2월호에
발표
했다.블랙포드 교수는 “이 연구는 자동차 타이어가 눈과 얼음 위에서 어떻게 멈추는지 파악해 훨씬 안전한 타이어를 만드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며 “모든 것은 컬링에서 시작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 ...
백포도주 즐긴 투탕카멘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항아리를 조사한 결과 백포도주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고고과학지’에
발표
됐다. 투탕카멘은 기원전 13세기 경의 고대 이집트 왕으로 10대에 죽었다.연구팀은 6개의 포도주 항아리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분석기로 조사한 결과 모두 포도 성분은 발견됐지만 오직 한 항아리에서만 ... ...
1. 반갑다, 태권로보트야!!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어떤 모습일까. 현재 태권V 판권은 신씨네가 소유하고 있다. 현재 오는 7월24일 제작
발표
회를 앞두고 시나리오와 3D시안 작업이 한창이다.신씨네는 현재 3~4가지 시나리오를 준비해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월이 흐른 만큼 전체 줄거리와 소재, 등장인물의 전폭적인 개편은 불가피해 보인다. ... ...
차세대 하이브리드카 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장은 앞의 2장의 관찰에 대한 회고와 세포의 형성과정 내용이다특히 마지막에 세포설을
발표
, 그 학설을 모든 생물계에 일반화시키는데 성공했다 모든 동물을 명명하고 기재한 후 분류하며, 분류의 이론적 근거를 밝히는 학문 체계적인 동물 분류는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의 분류에서 시작되었다 ... ...
2. 정자 없이 수정하는 난자 처녀생식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년 시벨리 교수는 원숭이로 처녀생식 배아를 만든 다음 줄기세포를 얻어 ‘사이언스’에
발표
했다.2004년 4월 ‘네이처’는 한국 생명공학벤처기업 마크로젠과 일본 도쿄농대 고노 도모히로 교수의 공동연구팀이 쥐에서 난자만으로 새끼를 태어나게 한 연구결과를 실었다. 연구팀은 쥐에서 덜 자란 ... ...
석탄으로 석유 만들기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오래된 석탄을 석유로 바꿀 수 있는 촉매를 만들었다”고 ‘앙게반트 케미’ 최근호에
발표
했다.이 촉매는 붕소와 요오드로 만들었다. 2단계를 거쳐 석탄을 석유로 만든다. 우선 이중으로 된 탄소와 탄소결합을 단일결합으로 바꾼다. 두번째로 단일 탄소결합을 깨뜨려 여러 길이의 탄소 사슬을 ... ...
험한 우주 다리가 된 레이저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레이저 신호를 주고받는데 성공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 연구는 1월 6일자 ‘사이언스’에
발표
됐다.이번에 레이저 통신 실험에 성공한 우주선의 이름은‘메신저’로 2011년 3월 수성에 도착해 1년 동안 수성 주위를 돌며 정보를 모을 계획이다. 스미스박사는 “우주선과 지상 센터는 레이저신호를 ... ...
부끄럼 많은 태양계의 외톨박이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사건을 겪었기 때문일 수 있다.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5년 5월 26일자 ‘네이처’에
발표
된 한 논문에서는 나중에 천왕성과 해왕성이 될 원시행성들이 원래 목성과 토성 근방에서 형성됐다는 가정이 제기됐다.이때쯤이면 두꺼운 기체층까지 덧붙이며 질량이 급격히 증가한 목성이 다른 ... ...
특집1. 당은 비만의 주범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범위에서 당뇨병 환자들이 설탕을 섭취해도 좋다는 새로운 식이요법 지침을
발표
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당뇨병 환자가 스파게티, 감자, 케이크, 과자등 모든 탄수화물 식품을 동일한 열량 기준에 따라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당이 들어 있는 음식도 정해진 열량 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 ...
분자의 과속은 무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관련 분야에서 인용횟수가 최상위 1%에 드는 논문으로 선정됐다. 지금까지 연구단에서
발표
한 논문만 모아도 150여편에 달한다. 이들 논문이 인용된 횟수를 더하면 무려 3150회다. 원하는 반응만 골라서하지만 아직 김 교수는 성에 차지 않는다. 지금까지 분자가 얼마나 빨리 움직이는지 봤다면 ... ...
이전
709
710
711
712
713
714
715
716
7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