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록
부가
게재
삽입
기입
보유
첨부
뉴스
"
추가
"(으)로 총 7,771건 검색되었습니다.
[뉴스 분석] 슈퍼 엘니뇨로 인한 대가뭄, 4대강으로 막기엔 역부족
2015.10.15
따르면 우리나라는 댐 개수로는 세계 7위, 댐 밀집도로는 세계 1위다. 그런데도 여기에
추가
로 지어질 계획인 댐만 10개가 넘는다. 4대강 사업으로 설치된 16개 보 가운데 세종보를 제외한 15개의 보가 대형 댐에 속한다. 댐이 많은 만큼 이로 인한 피해도 더 클 수밖에 없다. 기후변화 대응책으로 꼽힌 ... ...
로봇 손이야 사람 손이야?… '생체모방' 로봇 손 “신기하네”
2015.10.13
에릭 교수는 “이 장치는 열에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동작 시간을 더 빠르게 할 수 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면서도 “인공 손이나 다리와 같이 더 부드럽게 움직이는 보철 장치의 개발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학술지 ‘생물영감 및 생체모방기술(Bioinspiration & ... ...
대마초의 과학
2015.10.12
의 구조를 밝히기도 했다. 두 분자는 오늘날 의약용 약물로 폭넓게 연구되고 있다.
추가
연구 결과 카나비스에는 THC와 CBD 같은 독특한 구조의 분자들이 100여 가지나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들을 아울러 카나비노이드(cannabinoid)라고 부른다. 참고로 최초로 분리된 카나비노이드는 카나비놀 ... ...
아이폰과 영화 ‘터미네이터’의 공통점
2015.10.11
Liquidmetal Techonologies)’ 사가 갖고 있다. 애플은 이 기술의 독점 사용권(MTA)을 얻어낸 후
추가
응용 연구를 계속하고 있는 것이다. 2010년 관련계약을 맺은데 이어 6월에는 이 계약을 2016년까지 연장하는 계약을 다시금 체결해 애플이 조만간 액체금속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폰을 제품으로 선보일 ... ...
아기에게 항생제 많이 썼다가 살 찔라
2015.10.09
3세 미만의 아이에게 항생제를 많이 쓰면 장내 세균집단에 문제가 생겨 비만이나 알레르기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 iStockphoto 제공 항생제 ... 수 있는 길이 열렸다”며 “장내 세균이 회복되는 시간을 단축하려면 유산균 등을
추가
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 ...
미토콘드리아 칼슘 조절 원리 찾았다
2015.10.08
구성돼 있다. 연구진은 이 부위를 삭제하거나 이 부위에 돌연변이를 도입하는
추가
실험을 통해 이 부위에 이상이 생기면 미토콘드리아의 칼슘 유입 활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엄 교수는 “미토콘드리아에 칼슘이 과다 유입되면 세포 사멸로 이어져 심근경색, 뇌전증 등 ... ...
스승-제자 30년 넘게 ‘代물림 연구’… 日정부는 전폭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15.10.08
20년 동안 관측해야 얻을 수 있는 데이터를 1년 만에 얻게 된다. 일본 정부는 이를 활용해
추가
로 노벨상 수상자가 나올 것을 기대하고 있다. 기초과학 투자에 적극적인 기업 문화도 결정적이다. 1대 고시바 교수는 자신의 책에서 “대기업 부설 재단을 찾아가 전자-양전자 충돌 실험 지원을 ... ...
암수 성비 불균형, 포유류는 암컷이 조류는 수컷이 많다
2015.10.07
고리로 된 원의 안쪽 부분은 성염색체의 유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빨간색이 XY형, 파란색이 ZW형을 의미한다. 고리 원의 바깥 부분은 암수 성비를 의미하 ... 것으로 추정된다”면서도 “정확히 어떤 기작에 의해 이러한 양상이 나오는지에 대해서는
추가
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치사율 3위, 패혈증 신약 단초 찾았다
2015.10.07
최근 유행한 질환이나 감염병의 직접적인 사망 원인은 다름 아닌 패혈증”이라며 “향후
추가
실험과 임상시험을 통해 새로운 패혈증 치료제 개발로 연계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재료분야 학술지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 9월 29일 자에 실렸다.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
2015.10.06
그의 목표는 동물의 기생충약을 찾는 것. 그 결과 한 균주에서 탁월한 효과가 있었고
추가
실험을 통해 아버멕틴이라는 분자가 활성을 띤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얘기를 들은 오무라 교수는 아버멕틴을 만드는 균주에 스트렙토미세스 아버멕티니우스(Streptomyces avermectinius)라는 학명을 붙여줬다. ... ...
이전
708
709
710
711
712
713
714
715
716
다음
공지사항